국경없는기자회, “중국 언론 탄압 심화돼… 사상 검증 거쳐야 기자증 발급”
‘국경 없는 기자회(RSF: Reporters Without Borders)’가 최근 중국의 언론 탄압 실상을 담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권이 전례없는 기술적 검열과 감시 도구를 사용해 정보에 접근하는 것 자체를 범죄로 간주되는 사회 모델을 구축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RSF는 지난 7일, ‘중국 저널리즘의 거대한 퇴보(The Great Leap Backwards of Journalism in China)’라는 보고서를 통해 언론이 중국 공산당을 대변하도록 강요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2019년 10월부터 중국 기자들은 ‘사상 검증 시험’을 의무적으로 치러야 기자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중국이 서방의 ‘적대 세력’에 대항한다는 명분으로 ‘불량 저널리즘(rogue journalism)’ 개념을 국외로 전파하고 있다고 에포크타임스가 8일 보도했다.
또한 스마트폰에 시진핑 사상을 선전하는 애플리케이션(앱)도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RSF는 해당 앱이 개인정보를 감시당할 수 있는 ‘스파이 앱’이라며 기자들에게 민감한 정보를 담지 않을 것을 권고했다.
언론인에 대한 사상 검증 조치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예정이다. 중국 미디어 전담 기구인 국무원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國家新聞出版廣電總局)은 2021년 10월 15일, 직업 언론인들은 연간 최소 90시간에 달하는 ‘중국 공산당 주관’ 교육을 받게 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중국, 세계 최대 ‘언론인 납치’ 국가
보고서는 현재 최소 127명의 언론인(전문 및 비전문)이 중국 당국에 의해 억류 중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고문과 학대가 자행되는 수용소 수감으로 인해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것은 외신 기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 2020년 한해 동안 외신 특파원 18명이 비자 갱신을 거부당해 중국을 떠나야 했다. 또한 중국계 스웨덴 국적 외신기자 구이민하이(桂民海), 호주 국적의 양헝쥔(楊恒均), 중국계 호주인 청레이(成蕾)는 현재 스파이 혐의로 중국 공안 당국에 구금된 상태다.
홍콩, 국가보안법 발효 후 ‘언론 자유’ 추락
보고서는 중국 내에서 언론 탄압이 자행되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홍콩을 지목했다. RSF가 2002년 이후 매년 집계·발표하는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2002년 18위(완전 자유 국가)이던 홍콩은 2021년 80위(부분 자유국가)로 추락했다.
홍콩 언론 자유의 추락은 2019년 발효된 홍콩 국가보안법이 결정적 계기였다. 보고서는 국가보안법 이후 중국이 이 법을 근거로 최소 12명의 언론인과 언론 자유 옹호자들을 기소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홍콩 ‘빈과일보(蘋果日報)’ 폐간을 홍콩 언론 탄압의 대표 사례로 제시했다. 빈과일보는 중국 공산 정권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독립적인 보도를 이어온 언론사였지만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지난 2021년 6월 30일 폐간됐다. 지미 라이(Jimmy Lai, 黎智英) 빈과일보 사주 역시 국가보안법 위반 등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고 복역 중이다.
또한 홍콩에서 기자들에게 가해지는 물리적 위협도 지적됐다. 2019년 9월, 홍콩 시위를 취재하던 수아라 홍콩 뉴스 베비 메가 인다(Veby Mega Indah) 기자는 오른쪽 눈에 고무탄을 맞고 영구 실명됐다. 2021년 5월 11일, 사라 량(Sarah Liang, 梁珍) 에포크타임스 홍콩지사 기자는 자택 부근에서 괴한 1명이 휘두른 야구방망이에 여러 부위를 10여 차례 가격당했다. 모두 취재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언론 탄압으로 추정된다.
이어 보고서는 캐리 람(Carrie Lam) 홍콩 행정장관은 베이징 당국의 눈치를 보며 반복되는 언론인에 대한 폭력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공산당, 언론 통제 위해 전방위 압박
또한 해외에서 중국 내 실상을 보도하는 기자들도 탄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위구르족 인권 실태를 보도하는 굴체라 호자(Gulchera Hoja) 자유아시아방송(RFA) 기자는 “2001년 미국으로 건너온 후부터 중국 내 친척들이 중국 당국의 압력을 받고 있다. 2017년에는 남동생이 체포됐고, 2018년에는 부모와 친척 24명이 체포됐다”고 RSF에 밝혔다.
또 2020년 최소 10명의 언론인과 온라인 평론가가 코로나19 사건을 대중에게 알렸다는 이유로 중국 공안 당국에 체포됐다. 시민기자 장잔(張展)과 팡빈(方斌)은 여전히 구금 상태다.
또한 중국에서 ‘금기 단어’가 늘어나고 있다. ‘티베트’ ‘대만’ 또는 ‘부패’와 같이 일반적으로 검열되는 단어 뿐만 아니라, ‘자연 재해’ ‘#MeToo’ ‘covid-19’ 등의 단어도 검열 대상이 됐다.
이에 크리스토프 들루아르 RSF 사무총장은 중국이 이러한 언론 통제를 계속한다면 중인들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희망을 잃어버릴 것이라며 “정보 통제 자체가 (중국 공산당) 체제를 위태롭게 할 수 있으며 중국인과 해외 언론인들의 취재가 (언론 탄압을 끝내는 데 대한)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보고서는 내년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 열흘 전인 1월 24일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아랍어, 스페인어, 포루투갈어, 독일어로 번역돼 출간될 예정이다.
한편 지난 4월 RSF가 발표한 ‘세계 언론 자유 지수 보고서’에서 중국은 조사 대상 180개국 중 177위인 최하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이에 RSF는 “중국은 전 세계 언론 자유의 최대 위협”이라 지적하기도 했다.
크리스천 퍼스펙티브
최근 중국 공산당이 코로나19로 국경을 폐쇄한데 이어 정보 통제까지 강화해 경제‧인권 실상 등 중국 내부를 파악하기 어려워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뿐만 아니라 지난 9월부터는 데이터보안법이 발효됐고, 국제정치학이나 중국역사 연구자의 해외 교류가 엄격히 통제되는 등, 자국 내 인권침해 정황을 나타내는 자료가 해외에 넘어가지 않도록 철저히 단속하고 있다.
중국의 통제는 언론 통제, 데이터 통제만이 아니다. 시진핑 집권 이래 교회를 향한 통제와 박해가 잇따랐다. 중국은 올해 초 ‘종교 성직자 관리에 관한 조치’를 발효해 가정교회 활동을 금지하고 교회 통제를 강화했다. 교회의 십자가 철거와 목회자‧전도자를 구금하고, 또한 온라인 공간에서도 성경 앱과 기독교 위챗 공공 계정을 삭제하는 등 기독교 박해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성령이 이르신 바와 같이 오늘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광야에서 시험하던 날에 거역하던 것 같이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히 3:7~8)
교회와 국제사회를 통해 듣고 보게 해주시는 중국 공산당의 악행에 대해 중국 당국이 겸손히 인정하고 그 죄악에서 돌이키게 해주시기를 간구하자. 자신의 죄악 된 행위가 ‘옳다’ 하며 오히려 국가의 정보를 통제하고 사람들을 통제하려는 완고한 마음을 깨뜨려주시고, 오직 참으로 의로우신 하나님 앞에 엎드려, 주님의 통치를 즐거워하는 나라로 회복되기를 기도하자.
http://gnpnews.org/archives/99750
“中은 언론인 감옥… 비판 기자 127명 억류”
국경없는기자회 “보도땐 위험 감수”
코로나 정보 막으려 언론탄압 강화… 외국인기자 18명은 비자 갱신 거부
중국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의 기사를 작성하거나 민감한 정보를 기사화했다는 이유로 중국에 억류 중인 언론인이 127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경없는기자회(RSF)는 “중국은 세계 최대 언론인 감옥”이라고 비판했다.
7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RSF는 이날 배포한 82쪽 분량의 ‘중국 저널리즘의 거대한 후퇴’ 보고서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집권한 이후 중국 당국이 언론을 다시 옥죄기 시작했다”면서 “기자를 체포, 구금하는 것도 서슴지 않아 취재와 보도를 할 때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RSF는 보고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관한 정보들이 확산하지 않도록 언론 탄압이 더 강화됐다”고 지적했다. RSF 조사 결과 중국 당국에 억류돼 있는 127명의 언론인 가운데 최소 10명은 즉시 석방되지 않으면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가운데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규모로 발생한 우한(武漢) 사태를 보도한 공로로 올해 RSF의 언론자유상 수상자로 선정된 시민기자 장잔(張展) 전 변호사도 포함돼 있다. 장 전 변호사는 단식 투쟁을 벌이고 있으며 고문 등으로 건강이 극도로 악화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RSF는 중국이 시 주석의 사상을 학습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기자들에게 설치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장위구르 지역의 인권 탄압과 홍콩 국가보안법 등과 관련해 중국에 비판적 기사를 쓴 외국인 기자 18명은 비자 갱신을 거부당해 중국을 떠나야 했다.
RSF가 4월 발표한 2021년 세계 언론자유 지수에서 중국은 180개 국가 가운데 177위였다.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11208/110687455/1
'시진핑 사상 테스트' 앱 설치…중국의 '언론 탄압' 10가지
https://www.nocutnews.co.kr/news/567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