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랩 시선] 20대, 프로야구 관중 1위, 정치 무관심도 1위
2024년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에 길이 남을 해가 될 것이다. 올 시즌, 관중 수가 1천만 명을 돌파하며 야구는 다시 한번 국민적 스포츠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기세의 선두에 선 것이 20대다. 매 경기 관중석을 메운 팬들의 열광적인 응원은, 치솟는 물가와, 좌충우돌 정치의 난감한 사회현실과는 다른 차원의 세상을 연상케 했고 그 열기의 선두에 20대가 열광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단순 수치 비교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00에 따르면, 올해 프로야구 티켓 구매비율 중 20대가 38.1%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했다. 반면, 지난 22대 총선의 20대 투표율은 52.4%로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프로야구 경기장을 가득매운 관중들 (사진 설명 수정. 20대가 들어간 사진과 관련 설명 들어가게. 사진 출처 밝히기)
이런 20대의 ‘관심 편향’ 현상은 일상에서 쉽게 포착이 된다. 대학생 박현섭(22) 씨는 “친구들과 야구를 볼 때 즐겁고 스트레스가 확 풀리는 느낌이지만 정치 뉴스들을 보면 극단적인 의견 대립 상황에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며 정치에 관심을 잘 갖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이렇게 정치의 영역은 일상 속에서 멀어지고, 사람들은 복잡한 사회적 이슈보다는 일상의 즐거움을 쫓으며 스포츠나 오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됐다. 그것이 잘못일까.
이 문제에 대해 각자 긍정, 부정의 의견이 다르고 하나의 답이야 있겠냐만, 국내 한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있는 20대 사회학도의 시선은 야구 관객의 입장 행렬에 합류하기 전에 한번쯤은 곱씹어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생 김재준(29) 씨는 20대의 프로야구 열광 기류에 대해 ‘비판 정신의 약화’와 ‘대중화’의 두가지 문제를 꼽으며 고대와 근대사의 레퍼런스들을 제시했다.
김씨가 소개한 고대 역사를 다룬 00에는 고대 로마제국이 몰락의 행보를 밟고 있던 시절 국민들의 정치인 평가가 시민들에게 빵을 얼마나 나눠주는지, 검투사 경기를 얼마나 자주 볼 수 있게 하는지에 의해 결정되었던 시대 조류를 소개하는 대목이 나온다. 이 대목에서 군부 독재자로 분류되던 전두환 정부 시절 프로야구가 탄생한 사실이 예사롭지 않다.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찾겠다는데 웬 거대담론(?)하며 생경한 느낌을 가질 이도 있겠지만, 그 소소한 즐거움만 추구하는 삶들이 모여 사는 커뮤니티에서 비판적 시각과 태도가 실종할 경우, 과연 소소한 행복은 지속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이 고개를 드는 것도 부인하기 힘들다.
둘째로 상술했던 만족으로 인한 사고의 단순화가 기존의 대중적 생각을 자신의 사고로 무비판적이게 받아들이며, 존 스튜어트 밀이 <자유론(1859)>에서 언급했듯이 대중적 사고를 무오류 적인 것들로 여기게 되는 대중화 (popularity)의 문제가 있다. 또한 현대의 오락들은 미디어를 통해 대중성이 더욱 강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프로야구의 1,000만 관중 달성은 단순한 스포츠 성과로만 볼 수 없다. 이는 현대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일지도 모른다. 스포츠에 대한 열광이 계속될수록,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축소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유호준 대학생기자
첫댓글 밑줄친 부분 수정 보완 필요. 특히, 자유론에서 밀이 말한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대중화? popularity? 그 부분을 확실히 고쳐줘야 완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