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저강도 운동이 대세”
2023년 국민생활체육조사, 걷기가 37.2% 최고, 등산(17.3%)·보디빌딩(16.3%) 뒤이어
최근 걷기·필라테스·요가 등 신체에 부담이 적은 저강도 운동이 청년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때는 빠른 체중 감량과 근력 향상을 목표로 한 고강도 운동이 유행했던 것과 다른 양상이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년 국민생활체육조사' 자료에 따르면, 규칙적으로 가장 많이 참여하는 운동은 ‘걷기(37.2%)’, ‘등산(17.3%)’, ‘보디빌딩(16.3%)’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등산 참여율은 전년 대비 10~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3.0%포인트 이상 증가했으며, 보디빌딩은 30대에서 전년 대비 참여율이 가장 큰 폭(9.2%p)으로 증가했다.
이밖에, 수영(6.3%→7.7%), 골프(6.7%→7.1%), 체조(5.5%→6.1%), 배드민턴(4.4%→5.2%), 탁구(2.3%→4.5%) 등도 소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2023년 국민생활체육조사'
이와 관련, 저강도 또는 고강도 운동을 시작한 계기와 장단점에 대해 청년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윤태준(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23)씨는 “근육을 만들고 체력을 단기간에 늘리고 싶어 크로스핏을 시작했다”며 “근육량이 늘고 체력이 눈에 띄게 좋아졌지만, 부상 위험이 큰 단점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고강도 운동을 통해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만큼 부상 위험도 크고 지속적인 참여가 어렵다“는 것이다.
저강도 운동인 필라테스를 선택한 김보경(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23) 씨는 "허리디스크 교정을 위해 필라테스를 시작했다”며 “4년 동안 꾸준히 하다 보니 유연성과 균형감이 좋아졌고, 부상의 위험 없이 신체가 많이 교정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녀는 "초반에는 동작이 어려워 힘든 점도 있었지만, 저강도 운동이라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전했다.
김서현(한림대학교 러시아학과·23) 씨는 걷기 운동을 통해 체력을 관리해왔다. 김씨는 “학생이라 오래 앉아 있다 보니 체력 관리가 필요해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할 수 있는 걷기 운동을 1년 동안 해왔다”며 “덕분에 체력이 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걷기는 다른 운동에 비해 장비나 특별한 공간이 필요 없고, 매일 실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강북자생한의원 대표 오항태 원장은 “각자 체질과 체형에 맞게 비율과 강도를 조절하여 매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백수정 대학생기자
첫댓글 비율과 강도를 조절한다는 말이 무슨 의미인지 댓글로 달아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