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밝기는 같지 않나요? 교류전압의 실효값이 전기의 기전력과 같다고 두면 직류전원과 같아진다고 알고있는데...
제 생각으로는 직류를 연결 했을때가 더 밝을것 같네요. 초기 효과(코일에 의해 지연현상)를 제외 한다면, 교류에서는 자체 유도( E = - L * di/dt ) 에 의해 역방향의 기전력이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꼬마전구에는 원래의 기전력보다 작은 크기의 전압이 공급 될 것이고, 그 에 따라 밝기도 더 작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자체유도가 발생하는걸 깜빡했네여..근데 태진님에서 그 코일은 어디서 나온것인가요? 인덕턴스를 주어지지도 않았는데... 전선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식은 그것이 아닌것으로 알고있는데 말이죠^^
다른 교과서를 찾아보니..TaeJini님의 말씀이 맞더군요..직류가 더 밝아요..이유도 맞고요...감사합니다..... 파이만님 코일은 회로에 있다고 주어져 있습니다.
첫댓글 밝기는 같지 않나요? 교류전압의 실효값이 전기의 기전력과 같다고 두면 직류전원과 같아진다고 알고있는데...
제 생각으로는 직류를 연결 했을때가 더 밝을것 같네요. 초기 효과(코일에 의해 지연현상)를 제외 한다면, 교류에서는 자체 유도( E = - L * di/dt ) 에 의해 역방향의 기전력이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꼬마전구에는 원래의 기전력보다 작은 크기의 전압이 공급 될 것이고, 그 에 따라 밝기도 더 작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자체유도가 발생하는걸 깜빡했네여..근데 태진님에서 그 코일은 어디서 나온것인가요? 인덕턴스를 주어지지도 않았는데... 전선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식은 그것이 아닌것으로 알고있는데 말이죠^^
다른 교과서를 찾아보니..TaeJini님의 말씀이 맞더군요..직류가 더 밝아요..이유도 맞고요...감사합니다..... 파이만님 코일은 회로에 있다고 주어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