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석기시대 | 청동기시대 | |||
토기 | 전기 | 원시민무늬토기(原始無文土器), 덧무니토기(隆起文土器), 눌러찍기무늬(押印文土器), | 토기 | 밑바닥이 좁고 아가리를 뒤집어 겹으로 만든 (二重口緣, 이중구연) 적갈색을 띤 민무니토기(無文土器), 덧띠새김무늬토기(각목돌대문토기, 刻目突帶文土器), 미송리식토기, 붉은간토기(홍도(紅陶), 적색마연토기(赤色磨硏土器), 단도마연토기(丹塗磨硏土器)), 흑도(黑陶), 가지무늬토기(架子文土器) |
중기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 |||
후기 | 납작빗살무늬토기(平底櫛文土器), 물결무늬토기(波狀文土器), 번개무늬토기(雷文土器), 타래무늬토기(渦文土器, 螺旋文土器) | |||
간석기(磨製石器) | 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화살촉(石鏃), 창(石槍), 갈돌판(갈돌, 갈판, 碾石, 磨石) | 청동제품 |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遼寧式銅劍), 거친 무늬거울(多鈕粗文鏡), 청동검(靑銅劍), 화살촉(靑銅鏃), 청동창(靑銅戈), 청동방울(靑銅鈴), 방패형동기(防牌形銅器) | |
기타 | 낙시도구(그물추(石錘), 작살(杈)), 조그마한 동물 토우(土偶, 암사동), 흙으로 만든 작은 얼굴(土面, 오산리), 조개껍데기 가면(貝面, 동삼동), 가락바퀴(紡錘車), 바늘통과 뼈바늘(骨針) | 기타 | 반달형돌칼(半月形石刀), 바퀴날도끼(달도끼, 환상석부, 環狀石斧), 홈자귀(有溝石斧) 등 바퀴날도끼(달도끼, 환상석부, 環狀石斧) |
신석기 시대의 유물은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 덧무늬토기(융개의 하므로
2 ⑤ 백제 13대왕 근초고왕(346~375)이다. 근초고왕은 정복군주로서 24년 마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고구려가 치영성을 공격하자 물리치고 26년 371년 왕자 수(나중의 14대왕 근구수왕)과 함께 3만의 군사로서 평양성까지 진격하여 고구려 16대왕 고국원왕(斯由, 사유. 331~371) 전사케 하였으며 중국 요서, 산동과 일본의 큐수까지 점령하고 공손씨가 세운 대방군(帶方郡)을 추방하였다. 근초고왕은 현재의 경기, 충청 및 전라의 전부와 강원・황해의 일부 차지하고 신라와 우호관계를 다지고 중국 동진(317~420) 남쪽 왜(七支刀 선사. 阿直岐와 王仁 파견)와 통교하였다. 근초고왕때 부자상속 왕위계승 확립되고 진씨(眞氏) 왕비 시대가 시작되었다. 근초고왕 30년 375년 박사 고흥(高興)으로 하여금 국사인 서기(書記)를 편찬하게 했다.
① 익산 미륵사 창건 : 백제 30대왕 무왕(600~641)이 익산에 세운 거찰(巨刹)이다.
② 대야성 공격 : 백제 31대왕 의자왕(641~660) 2년 642년 8월 윤충(允忠)이 1만명의 군사로 신라의 요충지 대야성(大耶城, 합천)을 비롯한 40여성을 함락시키고 김춘추의 사위 김품석과 딸 소랑을 죽였다.
③ 백제의 불교 전래 : 15대 침류왕(384~385) 원년 384년 동진의 마라난타(摩羅難陀)
④ 사비 천도 및 남부여 : 백제 26대 성왕(523~554) 16년 538년 수도를 웅진(熊津. 공주)에서 사비(泗沘. 부여)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南夫餘)로 변경했다.
3 ② 부여(夫餘, 扶餘)는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農安, 長春)에 위치하여 농경에 유리했다. 부여 전성기 영토는 북 아무르강(the Amur, 黑龍江. 弱水), 남 백두산에서 요하 상류(고구려), 동 연해주(Vladivostok)(挹婁) 및 서 선비족(鮮卑族)과 접해 있었고 사방 4천리, 인구 8만이었다. 백제는 부여족의 갈래이고 왕족이 부여(夫餘)씨이다. 부여의 제천행사는 12월에 열리는 영고(迎鼓)였다. ⑶ 경제 : 말, 주옥, 모피 등이 특산물로 유명하다. 부여는 왕 아래 馬加, 牛加, 狗加, 豬加의 사출도가 있었고 그 외 使者 등의 관리 존재하여 가(加)들은 四出道를 다스리고 왕이 직접 통치하는 중앙과 합쳐 5부족 연맹으로 형성되었다. 법률이 매우 엄하였고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으며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를 배상(一責十二法)하고 간음한 자는 사형에 처했다. 부여는 선비족의 침입으로 쇠퇴하다가 494년 고구려 문자왕때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① 삼한의 정치적 지배자 : 삼한의 정치적 지배자로 거수(渠帥, 渠率), 신지(臣智), 험측(險側), 번예(樊穢), 살해(殺奚), 불예(不例), 견지(遣支), 읍차(邑借) 등의 군장이 있었다.
③ 8조금법 : 고조선
④ 소도(蘇塗) : 제사장인 소도가 있는 곳은 삼한.
⑤ 착화(責禍) : 동예. 그 외 족외혼. 무천(舞天, 제천행사). 특산물로 단궁(檀弓), 과하마(果下馬), 반어피(班魚皮)를 생산했으며 명주, 삼베 등의 방직기술이 발달했다.
4. ② 434년 상황이다. 고구려 20대왕 장수왕(413~491)이 중국 남북조와 등거리 외교정책을 전개하면서 왕 15년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성으로 옮기고 남진정책을 적극 추진하자 백제와 신라는 나제동매을 체결한다. 신라 19대 눌지마립간(417~458)때 왕위 부자상속이 확립되었으며 왕 17년 433년 백제 20대 비유왕(毘有王, 427~455)과 나제동맹을 맺었다. 이 무렵 고구려의 아도(阿道) 또는 묵호자(墨胡子)에 의하여 불교가 전래되었다.
① 무령왕(501~523) 담로 파견은 6세기 초
③ 연개소문의 쿠데타 : 보장왕 원년 642년 연개소문은 27대 영류왕과 반대파를 대량으로 학살하고 무단통치를 시작했다.
④ 대가야 병합 : 진흥왕 23년 562년 대가야 병합(지증왕 13년 512년 우산국 병합, 법흥왕 20년 532년 금관가야 병합)
⑤ 법흥왕 병부 설치 : 법흥왕 4년 516년
5. ③ 챙해진이 나왔으므로 장보고(張保皐, 張弓福, 張弓巴)의 해상활동을 알아보는 것이다. 장보고는 42대 흥덕왕(興德王) 3년 828년 완도에 해군기지 및 무역기지로서 청해진(靑海鎭. 828~851)을 설치하고 해적을 소탕하고 일본과 당과 국제통상을 전개하였다. 장보고는 청해진대사, 감의군사, 진해장군으로서 김우징(金祐徵)을 도와 45대 신무왕(神武王)으로 즉위하게 하여 중앙정계에 개입하고 딸을 문성왕비로 보내려다 귀족의 반대에 직면하여 46대 문성왕(文聖王) 8년 846년 난을 일으켰으나 염장(閻長)에게 암살되어 청해진은 문성왕 1년 861년 폐지되고 1만 군대는 벽골군(碧骨郡)으로 이주되어 재생이 억제되었다.
① 여진인과의 무역 : 고려
② 쇼토구 태자 스승 혜자(惠慈, ?∼623・일본명 에지) :영양왕 6년 595년 일본에 건너가 섭정(攝政)이었던 쇼토쿠태자(聖德太子)의 사부(師傅)가 되고 이듬해 대신(大臣)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가 세운 호코사(法興寺)가 낙성되자 백제의 승려 혜총(惠聰)과 더불어 그 사찰에 있으면서 포교에 힘쓰다가, 615년 쇼토쿠태자가 지은 소(疏)를 가지고 귀국하였다.
④ 발해의 수도
⑤ 칠지도 : 근초고왕 및 백제의 일본과의 교류
6. ④ 백제 금동대향로 : 국보 제287호. 부여 능산리지 출초
① 가야의 금관
② 가야의 갑옷과 투구
③ 경주 호우명그릇. 장수왕 3년 415년 제작. 국립중앙박불관 소장
⑤ 석수
7. ② 가. 다, 나
가. 분황사 모전석탑 : 7C선덕여왕. 석재를 벽돌모양으로 만들어 축조. 국보 제30호.원 래 9층 현재 3층. 경북 경주시 분황로 94-11승탑
나.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 : 국보 제57호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번지
다. 불국사3증석탐(석가탑) : 경덕왕 10년 751년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 석굴암을,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불국사를 창건. 국보 21호. 경북 경주시 불국로 15-1
8. ④ 검모잠 부흥운동(669~670) : 검모잠(劍牟岑, 鉗牟岑)이 668년 궁모성(窮牟城)에서 패수(浿水, 대동강) 남쪽으로 근거를 옮겨 한성(漢城:황해도 재령)에서 보장왕의 서자 안승(安勝. 安舜)을 맞아 왕으로 추대하고 당의 장군 고간(高侃)이 대군을 끌고 쳐들어오자 대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의견대립을 보인 끝에 670년 안승이 검모잠을 살해하고 4,000여 호를 거느리고 신라로 망명해 버렸다.
① 나당연합군 백강에서 왜군 격퇴 : 663년 백제부흥운동군의 요청으로 400여척의 배ffm 타고온 3만명위 왜군은 백촌강에서 나당연합군과 치열한 전투 끝에 패배했다.
② 복신의 부흥운동 : 왕족 복신은 도침과 더불어 부여 풍을 모시고 부흥운동을 일으킨후 내분으로 도침을 죽이고 자신도 풍의 자결을 명령받고 자결하였다.
③게백의 황산 싸움 : 660년
⑤ 김춘추의 당나라와의 군사동맹 : 648년
9. ③ 경덕왕 16년 757년의 일이다.
31대 신문왕 7년 687년 관료전(官僚田)을 지급하고 9년 689년 녹읍(祿邑)을 폐지하였다. 성덕왕 21년 722년 정전 지급, 경덕왕 16년 757년 녹읍부활
10. ⑤ 궁예는 : '삼국사기' 궁예전에는 궁예의 아버지가 신라 제47대 왕 헌안왕(憲安王. 誼靖. 재위 857~860년) 또는 제48대 왕 경문왕(861~875년)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견훤은 고구려 부흥을 기치로 효공왕 5년 901년 송악에서 후고구려국을 건설하였다. 이후 국호를 904년 마진(摩震)으로 연호를 무태(武泰), 905년 도읍을 철원으로 옮겼고 연호를 성책(聖冊)으로 911년 국호를 태봉(泰封) 연호를 수덕만세(水德萬歲), 914년 연호를 정개(政開)라고 하면서 반신라 정책 강화와 통일 정책을 추진하였다.
① 김헌창의 난 : 제41대 헌덕왕 13년 882년 3월 웅천주도독 김헌창(金憲昌)은 원성왕에게 왕위를 빼앗긴 무역왕계의 김주원(金周元)의 아들로서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원한을 품고 웅주(熊州, 공주)에서 국호 장안(長安). 연호 경운(慶雲)으로 하고 대규모의 난을 일으켜 한때 무진주(武珍州, 광주), 완산주(完山州, 전주), 청주(菁州, 진주), 사벌주(沙伐州, 상주)등이 호응했으나 실패했고 다시 헌덕왕 16년 825년 김헌창의 아들 범문(梵文)이 다시 한산(한산, 서울)에 도움을 정하고 반란을 계속했으나 역시 실패했다.
② 훈요십조 : 왕건
③ 후백제 : 견원은 효공왕 4년 900년 완산주(전주) 점령하고 자신이 거느린 군사와 전라도 지역의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全州)에서 후백제를 건국
④ 포석정 사건 : 견훤(甄萱, 867~936)은 미륵신앙에 근거한 전제군로서 행세하였다. 견훤은 55대 경애왕(景哀王) 4년 927년 경주를 공격하여 포석정(鮑石亭)에서 놀고 있는 경애왕을 자살하게 하고 김부(金傅)를 경순왕(敬順王)으로 내세웠다.
11. ② 발해의 3대왕 문왕(文王, 大欽茂. 737~793)이다. 3성 6부를 정비했다. 당과 화친을 맺었다. 국립대학격인 주자감(冑子監)을 설치했다. 수도를 동모산에서 중경, 상경, 동경으로 옮겼다. 신라와 상설교툥로(신라도)를 개통했다. 많은 유학생을 당에 보내 빈공과에 합격했다. 758년 보덕장군 양승경(陽承慶)과 귀덕장군 양태사(陽太師)를 일본에 파견하였다.정효공주지묘(貞孝公主誌墓)의 묘는 전축분이다.
① 698년 대조영 동모산에서 진국 건립
③ 등주 공격 l 발행 2대왕 무왕
④ 5경 15부 62주: 10대 선왕
⑤ 행동성국 : 10대 선왕
12. ② 백제와 고구려의 초기 무덤방식이 돌무지무덤(積石冢. 고구려 장군총/백제 송파석촌동고분)이고 그후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 고구려 강서대묘, 쌍영총/백제 송산리 고분군. 능산리고분군)과 벽돌무덤(무령왕릉)으로 발전했다. 신라는 벽화를 그릴수 없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에서 굴식돌방무덤으로 발전했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도굴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장품이 많다. 황남대총(皇南大冢, 99호분),. 금관총(金冠冢), 금령총(金鈴冢), 서봉총(瑞鳳冢), 천마총(天馬冢)이 그것이다. 기록상은 고종 21년 1234년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이나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는 우왕 3년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한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며 현재 프랑스 르부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백제무령왕릉과 발해 정효공주묘는 벽돌무덤(磚槨墳)이다.
① 장군총 돌무지무덤/ 팔만대장경(1236~1248) 목판인쇄물
③ 천마총 돌무지덧널무덤/팔만대장경
④ 천마총 돌무지덧널무덤/직지심체요절
⑤ 무령왕릉 벽돌무덤/무구정광대다라니경9無垢淨光大陀羅尼經) 751년 이전의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활자
13. ④ 공양왕 3년 1391년 과전법(科田法)은 경기도에 한하여 관료들에게 그 관직의 고하에 따라서 분배하였다.
고려의 토지제도의 변천
역분전(役分田) | 태조 23년 940년 | 통일후의 논공행상 |
시정전시과(始定田柴科) | 경종 원년 976년 | 관품과 인품도 고려하여 직관(職官)과 산관(散官)에게 전지(110~33결)와 시지(110~20결) 지급 |
개정전시과(改定田柴科) | 목종 원년 998년 | 목종 원년 998년. 관직의 고하에 따라 18과로 전지(100~20결)와 시지(70~10결) 지급. 16. 17. 18품 시지 미지급. 과전(관리에 대한 보수, 사망시 국가에 반환). 군인전. 기타 |
경정전시과(更定田柴科) | 문종 30년 1076년 | 직관(職官)에게 전지(100~17결)와 시지(50~5결) 지급. 15. 16. 17. 18품 시지 미지급 |
녹과전(祿科田) | 인종 12년 1271년 | 전시과 붕괴 뒤 경기 8현의 토지를 현직자에게 토지를 분배하기로 한 제도. |
과전법(科田法) | 공양왕 3년 1391 | 경기도에 한하여 관료들에게 그 관직의 고하에 따른 분배로 조선시대의 토지제도 |
14. ② 최승로의 시무책 28조를 수용하고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한 왕은 고려 6대 성종(成宗)이다. 성종의 업적은 다음과 같다.
1. 유교의 정치이념화 : 성종 6년 987년 연등회 팔관회의 일시 중단
2. 성종 1년 982년 최승로의 시무책 채택
가. 오조정적평(午朝政跡評) :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에 이르는 5명의 국왕의 치세를 평가한 것
나. 시무28조(時務二十八條) : 불교는 수신(修身)의 도리이고..유교는 치국(治國)의 도리
3.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신분제 확립
4. 성종 2년 983년 중앙관제 및 지방제도 정비 : 3성6부제와 12목에 최초 지방관 파견 및 향리제 마련으로 지방호족의 지위 격하
5. 성종 11년 992년 국자감(國子監), 수서원(서경), 비서성(개경) 설치
6. 성종 12년 993년 거란 차 침입 격퇴
7. 성종 14년 995년 문신월과법(文臣月課法)
8. 성종 15년 996년 건원증보(乾元重寶, 최초의 철전) 발행
① 노비안검법 : 광종 7년 956년
③ 인사권을 가진 정방(政房) 폐지 : 고려 공민왕 5년 1356년
④ 경순왕 김부(金傅) 사심관 임명 : 태조 왕건
⑤ 과거제도 도입 : 광종 9년 958년 중국 후주의 쌍기(雙冀)의 건의
15. ⑤㈐㈏㈎㈑
거란2차 침입 : 현종 원년 1010년
윤관의 별무반 : 숙종 9년 1104년. 여진 정벌 예종 2년 1107년
김윤후의 살리타이(撒禮塔) 살해 : 고종 19년 1232년 몽골 2차 침입시 처인성
최영의 왜구 격퇴 : 우왕 2년 1376년 왜구가 충청도, 전라도 일대에 창궐하여 왜구가 여름철 불어난 강물을 이용하여 대규모로 내륙 깊숙이 쳐들어와 공주를 점령하고 논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일대까지 침범하여 마을마다 불을 지르고 약탈과 살상을 일삼았다. 고려원수 박인계(朴仁桂)가 왜구와 싸우다 낙마하여 전사하자 육도 도순찰사(六道 都巡察使)이었던 60세의 최영(1316~1388)장군이 왜구 토벌을 간청하고 나서자 우왕d의 장인이어서 우왕이 말렸으나 양광도 도순문사 최공철(崔公哲), 조전원수 강영(康永), 병마사 박수년 (朴壽年)등과 함께 홍산(鴻山)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르고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피봉되었다.
16. ③ 의종(毅宗) 24년 1170년 보현원에 갔을 때의 상황이다. 태평호문(太平好文)의 왕 의종은 태평대・환희대・미성대 등을 짓고 환락을 즐겼고 호종하는 무신들은 호위병에 불과할 정도로 비참했다. 또 일찍이 정중부는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金敦中)에게 촛불로 수염을 태워졌고 대장군 이소응(李紹膺)은 문신 한뢰(韓賴)에게 뺨을 맞았다. 군인들은 전시과에 규정된 군인전도 지급받지 못하거나 관리들의 녹봉을 위하여 빼앗기기도 하였고 전쟁뿐만 아니라 평시에는 천역에도 동원되었다. 의종 24년 1170년 국왕이 보현원에 갔을 때 호위하던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이고(李高) 등은 반란(무신정변, 경인의 난)을 일으켜 김돈중(金敦中)・한뢰(韓賴) 등 수많은 문신을 죽이고 의종을 폐하고 그 아우 익양공 명종(明)을 즉위시켰다.
① 김흠돌(신문왕 장인)의 난 : 신문왕 원년 681년
② 묘청의 칭제건원과 금국정벌론 : 인종 13년 1135년
④ 이자겸의 권력 독점 : 의종때인 1122~1127년까지
⑤ 김부식 거경 반란 진압 출정 : 1135~1136년 사이
17. ⑤ 향, 부곡, 소가 존재한 시기는 고려이다. 통일 신라까지는 향, 부곡만 존재하다가 고려에 들어와서 향, 부곡, 소가 존재하고 조선시대에 가면서 소멸했다. 5도 양계는 고려 현종 9년 1018년에 정착되었다.
① 경재소 조선시대
② 전국의 군현에 지방관 파견은 조선시대
③ 상수리 제도 통일신라시대
④ 9주 5소경 통일신라시대
18. ③ 최초의 제도는 고구려 9대 고국천왕때 진대법(賑貸法)이다. 고려 태조가 세운 흑창(黑倉)을 성종때 의창(義倉)으로 개칭하였고 후에 물가조절기관인 상평창(常平倉)이 대신하다가 조선시대에는 환곡(還穀)으로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었다가 추수기에 받아 들이는 제도였다.
① 구제도감(救濟都監), 구급도감(救急都監) ②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 ④ 학보(學寶), 양현고(養賢庫) 또는 섬학전(贍學錢) ⑤ 혜민국(惠民國)
19. ③ 영주 부석사(우왕 2년 1376년 건립) 소조여래좌상, 논산 관촉사 은진미륵(석조)보살입상,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下司倉洞鐵造釋迦如來坐像, 출토 e아시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춘궁리여서 춘궁리 철불이라고도 한다)은 고려 시대의 것이고 금동연가7연명여래좌상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사유상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있다.
20. ② 병산서원, 봉정사 극락전, 법흥사지 칠층전탑, 도산서원 등을 보면 경상북도 안동이다. 공민왕 10년 1361년 주원수가 5만을 거느리고 홍건적 2차 침입시 개경아 함락되자 공민왕은 복주(福州, 안동)으로 피난을 갔다. 정세운, 안우, 이방시르 이성계, 최영 등이 물리쳤다. 혼건적 1차 침입은 공민왕 8년 1359년 모거경이 4만으로 쳐들어 왔다.
① 대몽항쟁(1270~1274)의 삼별초 근거지 : 강화, 전남 진도 용장산성, 남도석성, 제주도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③ 병자호란(1636~1637)때 남한산성에서 45일간 버티다 굴욕적인 항복
④ 고종 3년 1866년 병인양요 정족산성(양헌수), 문수산성(한성근)
⑤ 1920. 6.7 봉오동 전투 : 대한독립군(홍범도)과 군무도독부(최진동). 1920. 10.21~23 청산리전투 : 북로군정서 김좌진
21. ③ 조광조(趙光祖, 1482~1519)는 너무 올곧은 사람으로 도학정치를 주창하였다. 연산군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정치를 개혁하고, 패기에 넘치는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를 등용하여 성리학(性理學=주자학)을 크게 장려 하였다. 조광조 등은 중종의 신임을 받아 왕도정치를 실행하고 현량과를 실시하고 소학을 장려하였다. 또 중종반정공신(中宗反正功臣)중에서 실제로는 공이 없이 공신으로 책봉된 76명의 훈(勳)을 깍은 위훈삭제사건(僞勳削除事件)후 과격한 혁신정책에 분격한 심정, 남곤, 홍경주 등 훈구파들이 갖은 주초위왕(走肖爲王) 등 모략과 음모로 조광조 일파가 민중의 지지를 받아 반역을 꾀한다고 주장하여 중종 14년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에서 조광조, 김식, 기준, 한충, 김구, 김정, 김안국, 김정군, 이자 등 30대 젊은 선비들이 죽임을 당하고 이를 옹호한 대신들이 파면되거나 죽음을 당하였다. 심곡서원(深谷書院)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에 있는 서원으로효종 1년 1650년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하여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① 최초 서원인 백운동서원: 중종 38넌 1543년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
② 양명학과 강화학파 : 정제두(鄭齊斗). 정몽주의 11대손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 1649~1736)에 의해서 체계화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하였다. 정제두는 주자로부터 손을 끊고 강화(서울, 안산 41・6, 강화 61~87)에 옮겨 살며 반관적(半官的)인 일민(逸民)으로서 살며 일반민을 도덕 실천 주체로 인정하고 양반 신분제 폐지 주장하며 강화 학파 형성하고 실학자들과 교류하였다. 정제두의 대표적인 저서는 존언(存言)에서 양명학 체계를 나타내 주고 있고 하곡집(霞谷集)이 있다.
④ 동호문답과 다양한 개혁방안 : 이이(李珥, 1536~1584)는 관념적 도덕세계 중시, 현실문제의 개혁 주장, 이와 기는 두 개가 아니라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이기이원적일원론(理氣一元的二元論)을 주장하고 형이하학의 기가 먼저 발동하면 이에 기에 올라탄다는 기발이승설(氣發理乘說)을 내세웠다. 4단과7정은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4단에도 기가 들어 있고 7정에도 이가 들어 있다고 하였다. 기호학파 형성. 동호문답(東湖問答), 성학집요(聖學輯要), 10만양병설,
⑤ 조선경국전(1394), 경제육전(1397), 불씨잡변 : 정도전
22. ③ 천문 역법기기(대소간의, 혼천의, 자격루, 앙부일구(일영), 측우기, 수표, 풍기죽, 칠정산 내외편, 규형, 인지의), 농업(농사직설[정초], 금양잡록[강희맹]), 의약서(향약채집월령, 향약집성방, 향약제집성방, 태산요록, 의방유취), 금속활자(계미자, 갑인자), 병서와 무기(신기전, 화차, 거북선, 비거도선, 청통등록, 동국병감, 병장도설), 한글이 대표적인 조선 초기의 부국강병과 민생안전을 위한 것이고 1790년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전통 무예 24기를 그림과 함께 설명한 책이다.
23. ①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동의보감)은 15대 광해군(1608~1623) 2년 1610년에 완성되었다. 광해군은 명청 사이에서 중립외교정책을 전개하였다.
② 초계문신(招啓文臣) : 정조 5년 1781년 40세 이하
③ 탕평비(蕩平碑) : 영조 18년 1742년 영조가 자신의 탕평책을 중외에 표방하여 경계하도록 하기 위하여 세운 비.
④ 6조 직계제 : 태종, 문종, 세조(의정부서사제 : 세종, 단종, 성종, 중종),
⑤ 집현전(集賢殿) 설치 : 세종 1년 1420년에 학문 연구를 위해 궁중에 설치한 기관이지만 고려시대에도 집현전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아서 세종이 이를 확대 개편한 것으로 보인다. 세조 2년 1456년 사육신과 관련해서 집현전을 폐지했다.
24. ⑤ 병농일치제가 붕괴하고 16세기 대립제와 방수군수포제가 등장했다. 군역기피자의 의무는 남아 있는 농민들의 부담을 가중시켰고 각 군영, 감영마다 군포를 징수하여 농민들은 이중, 삼중으로 균역을 부담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영조 26년 1750년 양역 변통론(농병일치, 호포론)을 절충하여 균역법 실시하였다. 그 내용은 군포 2필을 1필만 받기로 하고 부족분 어세, 염세, 선세를 정부수입으로 하고 선무군관포 1필, 결작 1결당 2두를 징수하는 방법으로 보충하였다. 균역법의 시행으로 농민 부담 감소, 균역의 평준화되었다.
①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 : 세종 26년 1444년 새로운 공법
② 선혜법(宣惠法) : 대동법(大同法) 광해군 원년 이원익의 주장으로 1608년 경기도 시행
③ 신행통공(辛亥通共) : 정조 15년 1791년
④ 대동법과 방납 폐해
25. ④ 조선 후기의 상공업의 상황이다. 수공업 발전은 원료생산을 촉진하여 광업의 발달을 초래하였고 청과의 무역으로 인해 은광 개발이 촉진되었다. 광산 개발 형태의 변화하여 처음에는 관영 광업으로 군영문(軍營門)과 호조(戶曹)에서 관장하다가 민영화 경향을 띠는데 17세기에는 설점수세법(設店收稅法, 별장제0라고 하여 정부는 광산의 채굴제련장과 그 부대시설을 포함하는 점(店)을 설치하고 여기에 참여한 민간광업자에로부터 서울의 부상이나 권세가의 사인으로서 호조가 점을 주어 파견한 별장(別將)이 조세를 거두었다. 18세기에는 수령수세제(守令收稅制)하고하여 별장제를 폐지하고 물주가 호조의 허가를 받아 자기 자본으로 점을 설치 운영하고 호조에서 정한 조세를 수렵에게 납부하였다. 혈주(穴主) 또는 덕대(德大)가 직업적 광산노동자인 광군(鑛軍)을 고용하여 광산을 경영하고 물주(物主)에게 일정한 몫을 분배금으로 제공하는 제도이다.
물주(物主) | 호조의 허가를 받아 자기자본으로 점을 설치하고 호조가 정한 조세를 수령에게 납부 |
혈주(穴主)・덕대(德大) | 실질적 광산경영자로서 광산을 경영하고 물주에게 일정한 몫의 분배금 지급 |
광군(鑛軍) | 광산노동자 |
ㄱ. 해동통보 : 고려 숙종 때 1102년
ㄴ, 담배와 면화 재배 : 조선 후기 17세기부터 상업적 재배
ㄷ. 시전 감독기관 경시서 :
동시전(東市典)은 신라 22대 지증왕 10년 509년 경주 동시(東市)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으로 그 업무는 시장을 열고 닫는 시간, 도량형의 사용, 상인들 사이의 분쟁 해결, 왕궁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조달, 잉여 생산물의 판매 등의 일을 담당했다. 경시서(京市署)는 고려 문종과 조선 태조원년 1392년 설치되어 시전(市廛)을 관리·감독하거나 국역(國役)의 부과 등을 맡아본 관청이다. 경시서는 세조 12년 1466년 평시서로 개칭되어 존속하다가 고종 31년 1894년 갑오개혁때 폐지되었다.
ㄹ. 송상(松商)의 중계무역 : 17세기부터 강상(江商. 서울), 송상(松商, 개성), 만상(灣商.의주), 내상(萊商, 동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