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인사海印寺 법보종찰(法寶宗刹) 해인사는 불보사찰(佛寶寺刹) 통도사, 승보사찰(僧寶寺刹) 송광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 사찰로 꼽힌다. 해인사는 한국 화엄종의 근본 도량이자 우리 민족의 믿음의 총화인 팔만대장경을 모신 사찰이다. 。 해인사는 해동 화엄종의 초조(初祖)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의 법손인 순응(順應)화상과 그 제자인 이정(理貞)화상이 신라 제40대 임금 애장왕 3년, 곧, 서기 802년 10월16일에 왕과 왕후의 도움으로 지금의 대적광전에 자리에 창건하였다. 성철스님 부도탑
자운스님 부도
혜암스님과 일타스님 부도 해인사는 신라시대에 그 도도한 화엄종의 정신적인 기반을 확충하고 선양한다는 가치 아래, 이른 바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로 세워진 가람이다. 화엄종의 근본 경전인 화엄경은 4세기 무렵에 중앙아시아에서 성립된 대승 경전의 최고봉으로서, 그 본디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며 동양문화의 정수라고 일컬어진다. 이 경전에 해인삼매(海印三昧)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해인사 이름은 바로 이 '해인삼매'에서 비롯되었다. 。 가야산 해인사 일주문이다.伽倻山海印寺라는 커다란 붓글씨가 힘차게 빛나고 있는 현판을 만난다. 일주문 계단부터 시작하여 팔만대장경을 모시고 있는 장경각의 계단까지 모두 108개가 된다고 한다. 해인삼매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한 없이 깊고 넓은 큰 바다에 비유하여, 거친 파도 곧 중생의 번뇌 망상이 비로소 멈출 때 우주의 갖가지 참된 모습이 그대로 물 속에(海)에 비치는(印) 경지를 말한다. 이렇게 여실(如實)한 세계가 바로 부처님의 깨달음의 모습이요 우리 중생의 본디 모습이니, 이것이 곧 해인삼매의 가르침이다. 범종각은 사찰의 경내에서 마당을 내려다 보았을 때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어 왼쪽을 체로 오른쪽을 용으로 말하는 화엄의 사상에 따라 설치 된 것이다. 。 범종각의사물은 범종 · 법고 · 목어 · 운판을 말한다.
범종 지옥에서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친다. 운판 청동으로된 구름 모양의 판. 목어 예불 또는 의식을 행할 때 두드리는 법기이며 물속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고통을 구제하기 위하여 소리를 낸다. 북 예불 때와 의식할 때 치며 북소리가 널리 울려 퍼져나가는 것처럼 부처님의 가르침이 널리 펴져서 모든 이에게 언제나 참다운 이치를 전하여 준다는 뜻이며 짐승 세계의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두드린다 구광루 。 구광루는 해인사의 모든 건물 가운데에서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구광루라는 이름은 화엄경의 내용에서 따온 것인데, 화엄경에는 부처님께서 아홉 곳에서 설법하시면서 그 때마다 설법하시기 전에 백호에서 광명을 놓으셨다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에는 노전스님을 비롯한 큰스님들만이 법당에 출입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이 누각은 법당에 들어갈 수 없는 일반 대중들이 설법을 듣는 곳으로서 지은 것이다. 。 의상스님이 7 년동안 화엄경을 공부한 후, 꿈에 나타난 청의동자의 청에 의하여 깨달은 바를 ‘대승장’ 10권을 편집하여 스승에게 받치니, 스승 지엄이 보고 난되 뜻은 좋으나 말이너무 옹색하다 다시 고쳐 지었다. 의상대사가 부처님 앞에서 ‘부처님 가르침에 맞는다면 이 책이 불에 타지 않게 하소서’라고 기도하고 책을 불속에 던졌는데, 그 중에서 210자가 타지 않은 기적이 일어났다. 의상대사는 타지 않은 210자의 순서를 배열하여 게송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법성게’이다. 。 의상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원제목), 줄여서 ‘법성게(法性偈)’라고 부르는 7언 30구 210자 게송이다. 화엄법성게(華嚴法性偈) 。 신라 고승 의상대사가 창안하였다. 해인도(화엄법계도)란 화엄사상의 요지인 210자의 함축된 게송을 54각이 있는 계도의 도인 (도장) 。 불교에서의 法법의 의미 "법(法)" 은 산스크리트의 다르마(dharma), 팔리어의 담마(dhamma)를 중국어로 번역된 것이며 1. 불변의 진리 。 이세상의 모든"법"은 꿈과 같고 환과 같이 잠시 일어 났다가 사라지는 안개와 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해인사 석등 해인사 삼층석탑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통일신라시대 탑으로 일명 정중탑(庭中塔)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석탑이 사찰 안 넓은 마당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유래된 명칭으로 보인다. 이 석탑은 대적광전의 중심선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약 2.5m 벗어난 위치에 건립되어 있어, 가람배치상 중심축에 건립되는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난 특수한 예를 보이고 있다. [출처 한국대백과사전] 대적광전 해인사는 신라 40대 애장왕 3년(802년)에 왕비의 불치병을 고쳐준 의상대사의 법손인 순응화상과 그 제자인 이정화상에 대한 보답으로 지금의 대적광전 자리에 화엄경을 중심 사상으로 하여 창건되었다. 。 해인사는 화엄경을 중심 사상으로 하여 창건되었으므로, 석가모니 부처님 대신에 화엄경의 주불인 비로자나부처님이 모셔져 있다. 그래서 법당의 이름도 대웅전이 아니라 대적광전이다. '비로자나'는 산스크리트어인 Vairocana에서 온 말로서, 영원한 법 곧 진리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신 대적광전은 부처님의 진리의 몸이 화엄경을 언제나 두루 설하는 대적광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응진전 。 나한전이라고도 불리는 응진전은 1488년에 처음 세워졌는데, 지금의 건물은 1817년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1918년에 판전 서재에 봉안되었던 십육 나한을 옮겨와 모셨다. 응진전 가운데에는 석가여래상이 토조로 조성되어 있다. 명부전 。 명부전은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지옥 중생을 모두 제도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는 큰 서원을 세운 지장보살이 목조로 조성되어 주불로 모셔져 있고 그 좌우에 각각 도명보살과 저승에서 죽은 이들을 재판한다고 하는, 일명 시왕이라고 하는 십대왕이 있다. 지금 건물은 1873년 곧 고종 십년에 지어졌다.
해강 김규진의 글씨이다
안평대군의 글씨 해강 김규진의 글씨 대웅전 4면에 걸려있는 편액 대적광전에는 6개의 주련이 있는데 본래 2개는 고종이, 나머지 4개는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썼다 한다. 佛身普放大光明 불신보방대광명 부처님이 대광명을 두루 놓으사 。 대적광전의 적광(寂光)은 번뇌를 끊고 적정(寂靜)한 자리에서 발하는 진지광명(眞智光明)을 의미한다. 대적(大寂)이란 여래가 일체의 산란한 마음을 여의고 드는 선정을 의미한다. [자료제공. 해인사 홈페이지] 해인사 가는 길 허형만 산길의 안개는 슬픔의 무게로 어깨를 누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