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활을 체험하다! 1.
몇 년 전, 부활 체험에 대해 강의 부탁을 받은 적이 있었습니다. 얼떨결에 부탁을 수락해 놓고 막상 강의를 준비하자니 막막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활은 죽음을 전제로 하는 것인데, 죽어 보지도 않고 어떻게 부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까? 이런저런 궁리 끝에 죽음은 꼭 육체적인 생명의 종말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각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습니다.
본래 죽음은 숨이 끊어지고 육체적 활동이 중단된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다른 차원의 죽음, 이를테면 정신적, 영적인 죽음도 있습니다. 모든 희망을 잃고 아무런 의욕도 없이 무감각하게 지낸다면, 혹은 마음에 큰 상처를 입고서 미움과 증오 속에서 산다면, 이는 정신적인 죽음이라고 하겠습니다. 또는 많은 잘못을 범하고서 하느님과 이웃을 향한 마음의 문을 닫아걸고 자신 안에 고립되어 산다면 이는 일종의 영적인 죽음입니다.
만일 이런 정신적 · 영적 죽음을 극복하고 다시 새롭게 살게 됐다면, 이미 이 세상에서 부활을 체험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부활은 세상 종말에 있을 궁극적인 부활과 같은 차원이 아니라 ‘우리의 비천한 몸이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몸과 같은 형상으로 변화’(필리 3,21)되는 본래적인 부활을 미리 조금 맛보는 것일 뿐입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작은 부활’ 체험을 통해 마지막 날에 있게 될 궁극적인 부활을 어렴풋하게나마 추측하면서, 그 마지막 날을 두려움이 아닌 희망으로 기다릴 수 있지 않을까요?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을 살리시고 존재하지 않은 것을 존재하도록 불러 내시는”(로마 4,17) 분이라고 고백하면서 그리스도의 부활을 하느님의 창조 사업과 연관시켜서 설명하였습니다. 즉 부활은 無에서 有를 불러내시는 전능하신 창조주 하느님의 새로운 창조 행동이라는 것입니다. 죽음은 모든 것을 무로 돌리는 세력으로서, 예수님과 그분의 사명 전체를 무를 돌리려고 했지만,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부활시키심으로써 죽음의 세력을 꺾으셨습니다.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모든 것을 무로 돌리려는 죽음의 세력이 여기저기에서 도사리고 있어 우리를 괴롭힙니다. 하지만 예수님을 죽음에서 부활시키신 능력의 하느님께서는 이런 죽음과 무의 세력에 맞서 싸우십니다. 바꾸어 말하면 죽음과 무의 세력이 극복된 곳에서 우리는 ‘작은 부활’을 체험하게 됩니다.
어느 신부님이 유학 시절에 겪은 경험을 소개합니다.
『오래전 내가 유럽 유학 시절에 겪은 일입니다. 10년 유학 생활의 마지막 2년 7개월의 시간은 남자 수도원에서 머물며 지냈습니다. 별일이 없는 한 수도원의 일과표에 따라 그곳 수도회원들과 성무일도와 미사, 식사를 함께 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그곳 수사 신부들과 수련자들과도 친해져서 공부에도 도움을 받고 서로 농담까지 나누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그동안 비교적 친하게 지내던 수사 신부가 나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내 독일어 발음이 잘못됐다고 지적해 주었습니다. ‘네가 독일어를 한 지가 벌써 몇 년이 되었는데, 그런 것도 틀리느냐?’는 말이 약간의 비웃음이 담긴 지적처럼 들렸습니다. 그 순간 모욕을 당했다는 느낌과 함께 그 신부에 대한 미운 감정이 솟아올랐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미운 감정이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기는커녕 점점 더 강해지는 것이었습니다.
너그러울 때에는 온 세상을 다 받아들일 듯이 하다가도 옹졸해지면 바늘 하나 꽂을 자리도 없는 것이 마음이라는 어느 선승의 말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그 신부와 대화는 물론 시선조차도 마주치기가 싫었습니다. 작은 일에 내가 이래서는 안 되지 하면서 마음을 다잡고 기도 중에 하느님께 도움을 청해도 별반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한 집안에서 매일 마주치는 사람에 대해 미운 감정을 갖고 살자니 우선 내가 불편해서 견디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수도원 아침 미사 때 그 신부도 함께 참석한 가운데 하느님께 간절히 청했습니다. ‘하느님, 제 힘으로는 도저히 안 되니 이제는 당신이 어떻게 좀 해 주십시오.’ 나도 어쩌지 못하는 내 마음을 하느님께 봉헌한다는 심정으로 그렇게 했습니다. 신기하게도 이 미사 후에 그 신부에 대한 미운 감정이 눈 녹듯이 사라졌고, 다시 평소처럼 그와 대화도 하고 농담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거의 단절되다시피 한 인간관계가 다시 이어지는 체험을 통해서 소박하게나마 부활이 무엇인지를 느낄 수 었었습니다. 죽음은 모든 것을 무로 돌리는 세력이고, 돈독했던 인간관계가 끊어진 곳에는 분명히 죽음의 세력이 활동한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단절된 인간관계가 다시 이어졌다면, 모든 것을 무로 돌리는 죽음의 세력이 극복된 것이고, 바로 여기서 죽음을 넘어선 부활이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첫댓글 아멘. 아멘.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