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사상에서 유가(儒家)와 도가(道家)는 두 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유가의 이념이 현실 정치의 지배적인 힘을 의미한다면, 도가는 지식인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논리로 작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흔히 도가 사상은 노자(老子)와 장자(莊子)가 남긴 글들에 포함된 이념을 아울러 일컫지만, 연구자들에 의하면 이들 두 사상은 이질적인 특징을 지닌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사마천의 역사서인 <사기>에서는 공자가 노자를 찾아 가르침을 청했다는 에피소드가 기록되어 있는데, 그것의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노자의 사상이 유가의 논리를 초월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두 사상 중에서 노자의 <도덕경>은 ‘도(道)’와 ‘덕(德)’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는데, 특히 ‘도’라는 개념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삶의 자세를 지칭하는 거으로 이해되고 있다. 유가에서도 ‘도’라는 개념은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지만, 두 사상에서 가리키는 지점은 서로 통하는 듯하면서도 지향하는 바가 서로 다르다고 이해된다. 노자의 언행을 기록한 <도덕경>은 노자 사상의 진수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주로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관념적인 내용으로 그 사상을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 담긴 추상적인 사유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가 <도덕경>을 이해하는 요체라고 할 수 있다.
실존 인물이냐의 여부가 논란이 될 정도로 그 행적이 베일에 쌓여 있지만, 노자는 대체로 중국의 춘추시대에 활동했던 인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걸출한 영웅들이 연달아 배출되면서 서로의 힘과 권력을 다투던 당시의 현실에서, 노자는 인위적인 것을 배제하고 자연 그대로의 삶을 의미하는 ‘무위(無爲)’의 사상을 내세웠다. 당시에는 ‘인(仁)’을 강조했던 공자의 사상이 군주들에게 외면되었듯이, 노자의 사상도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부국강병을 추구하던 춘추시대에 법가가 주류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노자의 사상은 그 뿌리로 거론되기도 한다.
그동안 <도덕경>을 비롯한 동양 고전들을 여러 차례 강독하고, 또 다양한 번역본들을 접했다. 노자나 장자의 사상을 간략하게 정리한 개론서들도 적지 않았지만, '개념'과 '관념'을 앞세운 <도덕경>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음을 고백한다. 이 책의 제목을 접하고서, 처음에는 기존의 번역서나 해설서와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번역서나 해설서를 읽었을 때와는 분명 다르다고 느꼈다. 책의 제목에서 내세운 '나 홀로'가 저자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을 염두에 둔 표현이라는 것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저자는 <도덕경>을 공부하는 한 독자와의 만남을 계기로 이 책을 기획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 독자로부터 <도덕경>에 관한 여러 가지 질문을 듣고서, 저자는 이에 대한 답변이 필요함을 절감했다고 한다. 이미 오랫동안 <도덕경>을 연구해 온 전문가들에게는 너무도 익숙한 표현과 개념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 개념과 의미조차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전체 2부로 구성된 1부는 그 독자로부터 제기된 질문에 대해서 저자의 답변으로 그 내용이 채워져 있다. 독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질문에 대한 답을 마련하면서, 아마도 저자 역시 그동안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개념들에 대해서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라 여겨진다. '묻고 답하는 도덕경'이란 제목의 1부는, 여기에 다시 '도덕경을 읽기 전에‘와 '도덕경 속으로' 그리고 '도덕경의 현재와 미래'라는 항목을 통해서 노자 사상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고 있다.
이미 <도덕경>을 읽고 그 내용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아마도 1부의 내용이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역시 그동안 막연한 개념으로만 알고 있었던 용어와 표현들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비단 <도덕경>뿐만이 아니라, 모든 공부가 나의 삶을 진지하게 되돌아보는 행위라는 것을 절감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공부의 목적과 방향에 대해서 나름의 관점을 제기하고 있는 저자의 주장들에 공감할 수 있었다. 이념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나의 삶으로 끌어들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도덕경>은 노자의 사상을 기록한 정수로서, 전통시대 동양의 지식인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했던 문헌이다. 노자의 사상은 대체로 개인의 정신적 수양과 자연 중심의 사유를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노자가 강조한 '무위(無爲)'라는 개념이 실제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것을 최소한으로 줄이라는 의미라고 이해된다. <도덕경>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바로 '도(道)'와 '덕(德)'이며, 동양사상 대부분에서 논하고 있는 '도'란 사람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삶의 자세를 관념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원문과 해설을 꼼꼼하게 읽더라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바가 적지 않은데, 이 책에서는 전반부에 독자와의 대화를 통해서 충분히 <도덕경>과 그것을 이해하기 위한 저자의 설명이 마련되어 있다.
독자의 입장에서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했기에,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이라는 2부에서는 원문과 저자의 번역만으로 제시된 내용들이 비교적 어렵지 않게 다가왔다. 여기에서 저자는 '도경'과 '덕경'을 구분하지 않고, 81장으로 구성된 원문과 번역문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동안 다른 번역본이나 해설서를 읽으면서 어렵게 느껴졌던 부분이 적지 않았지만, 이 책은 전반부에 서술한 저자의 설명으로 인해서 본문의 내용과 번역이 이전보다 더 명확해지는 느낌이었다. 물론 이전부터 <도덕경>을 여러 차례 강독하고, 개념이나 내용들에 대해서 고민했던 것도 번역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 여겨진다. 사상을 어떤 개념으로 특정한다는 것은 내용을 명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반면에, 그 의미를 제한하기도 한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독서 경험은 고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차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