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사 삼성암 (直指寺 三聖庵) - 김천 황악산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김천 직지사(直指寺)의 산내암자

직지사 주차장에서 공자동으로 넘어가는 고갯마루를 넘자마자 바람재 올라가는 길 아래에
화실(花室)이라는 마을이 보인다. 화실 동네로 들어가는 진입로를 따라가다 보면
삼성암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보인다. 긴 급경사의 길.
그런대로 승용차가 다닐만하게 포장되어있지만 엔진과열에 신경을 써야 한다.

신라 중기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기록은 없다. 조선시대까지만 하여도 선승(禪僧)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선원(禪院)으로서 널리 알려졌던 곳이다. 우리고장 애국지사들의 발자취를
더듬어 보다가 편강렬(片康烈)선생이 1915년부터 약 10년 동안 일본경찰의 눈을 피하여
제자들과 같이 무술을 닦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성철스님이 기거하던 가야산 해인사 백련암에서
신령스러운 분위기와 풍광을 보고 감탄을 했더니 삼성암의 경치도 그에 못지않았다.




학교에는 교훈이 있고 회사에는 사훈이 있고 도서관은 관훈 등이 있지만 절에 사훈(寺訓)이 있다는 것은 금시초문이다.
엄격하게 말하면 암자(庵子)니까 암훈이라고 해야하나?
삼성암 들어가는 전신주 곳곳에 ‘비교하지 마라’ ‘따지지 마라’ 라는 글귀가 보인다.

주지스님께 인사를 들리려 드른 종무소 옆 방

약사보전

구절초꽃이 반갑게 느껴진다.



삼성암의 가장 높은곳에 위치한 큰 법당으로 참배하러 들어가봅니다.







직지사 삼성암 사훈(寺訓)
비교하지 마라
모든 중생은 미물에 이르기 까지
부처님을 이룰 거룩한 존재이니
불자는 비교하지 마라 . . .
따지지 마라
세상에 모든 시비.분쟁.다툼은
따지는 것으로 부터 시작되는 것이니
불자는 따지지 마라 . . .







프랑스의 정치사상가 몽테스키외(몽테스큐)는 일찍이 행복을 원한다면 남과 비교 하지마라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단지 행복해지려고만 한다면 쉽게 행복해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게 되기를 바란다.
남들보다 행복하게 되는 것은 항상 어려운 일이다. 왜냐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실제보다 더 행복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철학자도 ‘남의 밥 콩이 굵어 보인다.’ 는 사실을 알았던 모양이다. 금강경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들께 공양 올리는 것이
무심도인 한 사람에게 공양 올리는 것만 못하다는 말이 있다. 그것은 무심한 사람에게는 일체의 비교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해서는 무심(無心)하라는 말이 조금은 이해가 가는 듯하다. 세상의 모든 사물은 같은 것이 없다고 한다.
오로지 한번뿐인 일기일회(一期一會)의 삶을 다른 사람의 인생과 비교하여 부러워하거나 의기소침 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으리라.
따질 것은 따지고 넘어가야 사회가 발전하고 인간관계도 집고 넘어갈 일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물론 따질 것은 분명하게 따져야 한다. 그러나 어지간한 일은 그냥 넘어가는 것이 오히려 인생살이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어떤 사안을 가지고 따질 것인지는 각자의 인생관과 가치관에 달렸다. 삼성암의 사훈이 말하는 ‘따지지 말자’는 어떤 뜻일까?
법구경에 "마음에 좋고 나쁜 것을 따지지 마라. 좋은 것에서부터 슬픔이 생기고, 근심이 생기고, 속박이 생겨난다." 라는
말씀이 있다. 여기서 따온 것인가는 속인의 짐작이고 언제 주지스님(보륜)을 만날 기회가 있으면 여쭈어봐야겠다.
웬만하면 참고 내가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따지지 않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비교하지 마라’ ‘따지지 마라’
두 가지 가르침만 마음에 새기고 살아도 세상을 살아가는데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2014.9.26.12.36.
첫댓글 수행결사님 고맙습니다
비교하지마라...
비교하지 마라
감사드립니다
직지사가 우리 방생가는곳 아닌가요?
예 아름다운 절입니다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