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섬에 반디젖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뽂운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 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기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 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밥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릇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을 잔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 여우난골족: 여우가 나오는 마을(여우난골) 부근에 사는 일가친척들 * 진할아버지 진할머니: 친할아버지와 친할머니 * 별자국: 천연두의 증상으로 남은 다발성 흉터 * 포족족: 빛깔이 고르지 않고 푸른 기운이 돎 * 벌: 매우 넓고 평평한 땅 * 고무: 고모 * 매감탕: 엿을 고아낸 솥을 가셔낸 물 * 토방돌: 낙수 고랑 안쪽으로 돌려가며 놓은 돌 * 오리치: 평북지방의 토속적인 사냥도구로 동그란 갈고리 모양으로 된 야생오리 잡는 도구 * 안간: 안방 * 저녁술: 저녁밥. 저녁숟갈 * 숨굴막질: 숨바꼭질 * 아릇간: 아랫방 * 조아질: 부질없이 이것저것 집적거리며 해찰을 부리는 일. 아이 공기놀이를 이렇게 부르기도 함 * 쌈방이: 주사위 * 바리깨돌림: 주발 뚜껑을 돌리며 노는 유희 * 호박떼기: 아이들의 놀이 * 제비구이구손이: 다리를 마주끼고 손으로 다리를 차례로 세며 ‘한알 때 ~ 빠땅’이라는 놀이 * 화디: 나무나 놋쇠 같은 것으로 촛대 비슷하게 만든 등잔을 얹어놓는 기구 * 사기방등: 훍으로 빚어서 구운 방에서 켜는 등 * 홍게닭: 새벽닭 * 텅납새: 처마의 안쪽 지붕이 도리에 얹힌 부분 * 동세: 동서 * 무이징게국: 징거미민물새우에 무를 넣은 국
첫댓글그렇잖아도 설날 북적이는 분위기에 생각나는 시였는데 카페에서 보니 참 좋아요. 어릴 적 명절 기분, 제대로 소환해주는 시입니다. 새옷의 내음새~ 설날 대목장에 할머니가 미리 사오신 옷을 설날 아침까지 기다리던 설렘 지금도 떠오르는데, 요즘 아이들은 설빔을 모른다고 하대요.
첫댓글 그렇잖아도 설날 북적이는 분위기에 생각나는 시였는데 카페에서 보니 참 좋아요. 어릴 적 명절 기분, 제대로 소환해주는 시입니다. 새옷의 내음새~ 설날 대목장에 할머니가 미리 사오신 옷을 설날 아침까지 기다리던 설렘 지금도 떠오르는데, 요즘 아이들은 설빔을 모른다고 하대요.
무이징게국이었나봐요. 민물새우를 꺼내며 무,고춧가루 넣고 끓이라기에 옛썰! ^^복종했지만 처음 시도한 새우국, 고개 갸우뚱하며 밍밍하다는 평가. 액젓을 넣더니 조금 나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