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기로는 아마도 크기와 관련 있을듯해요.. 양이온의 크기와 음이온의 크기가 비슷하면 용해도가 떨어집니다. 가장 흥미로운예로 LiF LiCl LiBr LiI 중 LiF가 가장 용해도가 떨어집니다.( 휴이 4판 P343 아래서9번째줄) Fajans 나쁜사람이예요.. (농담) 저를 많이 곤혹스럽게 했지요...모든것을 Fajans 룰로 설명하려는것은 위헙합니다. 제생각에는 글쓴님의 문제도 일단 모든 화합물이 이온성이 매우 강하니까(알칼리토금속과 음이온이니) Fajans 효과 보다는 이온들의 크기효과 봐야할듯 싶어요. 그래서 BaSO4 의 경우 바륨양이온과 황산 음이온이 크기가 비슷해서 용해도가 가장 낮은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제생각은 휴이책을 토대로 제가 그냥 추론해본것입니다.근데 황산바륨이 가장 용해도가 낮은건 맞나요? 여담으로 Fajans룰로 안폴리는게 또 있습니다. P340을 보면...칼륨할로겐물과 나트륨할로겐물이 나오는데.. 음이온이 동등한경우 녹는점이 나트륨할로게화합물이 더높습니다. 나트륨이온이 칼륨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구요. 이것역시 Fajans 룰이 배신때린 경우라 생각해요. 답은 알고 있느데 쓰다 보니 너무 길어져서 못쓰겠어요. 간단히 말하면 둘다 이온성이 매우크니 이온결합중 공유성을 생각한 Fajans효과는 거의 없고 순수 이온결합이라 생각하면 나트륨화합물이 거리가 짧으니, 인력이 쎄고 그결과 더높은격자에너지를갖게되는것같아요
첫댓글 위 순서대로 보자면, 양이온의 전하는 일정하지만 크기는 커지면서, + 전하밀도가 작아지잖아요. 그러면 편극이 잘 안되니까 이온성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되는거죠. 그래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물에 대한 용해도가 커지는 것이 아닐까요?
님은 오개념을 가지고 계시네요..
제가 알기로는 아마도 크기와 관련 있을듯해요.. 양이온의 크기와 음이온의 크기가 비슷하면 용해도가 떨어집니다. 가장 흥미로운예로 LiF LiCl LiBr LiI 중 LiF가 가장 용해도가 떨어집니다.( 휴이 4판 P343 아래서9번째줄) Fajans 나쁜사람이예요.. (농담) 저를 많이 곤혹스럽게 했지요...모든것을 Fajans 룰로 설명하려는것은 위헙합니다. 제생각에는 글쓴님의 문제도 일단 모든 화합물이 이온성이 매우 강하니까(알칼리토금속과 음이온이니) Fajans 효과 보다는 이온들의 크기효과 봐야할듯 싶어요. 그래서 BaSO4 의 경우 바륨양이온과 황산 음이온이 크기가 비슷해서 용해도가 가장 낮은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제생각은 휴이책을 토대로 제가 그냥 추론해본것입니다.근데 황산바륨이 가장 용해도가 낮은건 맞나요? 여담으로 Fajans룰로 안폴리는게 또 있습니다. P340을 보면...칼륨할로겐물과 나트륨할로겐물이 나오는데.. 음이온이 동등한경우 녹는점이 나트륨할로게화합물이 더높습니다. 나트륨이온이 칼륨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구요. 이것역시 Fajans 룰이 배신때린 경우라 생각해요. 답은 알고 있느데 쓰다 보니 너무 길어져서 못쓰겠어요. 간단히 말하면 둘다 이온성이 매우크니 이온결합중 공유성을 생각한 Fajans효과는 거의 없고 순수 이온결합이라 생각하면 나트륨화합물이 거리가 짧으니, 인력이 쎄고 그결과 더높은격자에너지를갖게되는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