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이동근의 일본어 클리닉!
 
 
 
 

자주가는 링크

 
등록된 링크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 한자 공통 or 상식 일본어에는 한자를 써야만 하는 이유
대기만성 추천 0 조회 5,077 05.08.26 10:31 댓글 3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5.06.30 08:13

    첫댓글 감사합니다

  • 05.06.30 22:03

    한자를 열심히 외워야 겠습니다..^^

  • 05.07.15 10:09

    와~~ 대단하십니다*^^* 오늘 첨 방문 인데요...깨닫고 가는게 많습니다..^^'' 열심히 할 수 있도록 많으 도움(?) 바랍니다!! 즐주 되세요!

  • 05.10.31 15:34

    감사합니다. 이해가 가면서도 그래도 어렵네요.

  • 05.10.31 15:58

    후, 띄어쓰기가 없으니 불편한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네요, 그래서 한자를 쓰는군요 !! ^^

  • 05.12.08 09:25

    이야기가 너무 재미있r군요...^^

  • 06.02.16 08:42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06.09.09 00:46

    전 어렵게만 느껴지네요.. 그러나 왜그럴까? 했던 부분들은 이해가 되고있습니다.

  • 06.12.21 16:13

    새로운 마음으로..

  • 07.02.14 12:12

    정말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고개가 절로 끄덕끄덕~~

  • 07.03.12 16:52

    감사합니다.

  • 07.03.15 09:44

    꼭 숙지하겠습니다.

  • 07.03.21 20:23

    꼭 음독과 훈독을 알아봐야하는데...정말 한자는 친근감이 안느껴저여..

  • 07.04.12 21:07

    제가 생각하기에는 복합어도 한자어의 한종류로 보이는데요..아닌가요?

  • 07.04.17 16:26

    조금 이해가 되네요...감사합니다..

  • 07.04.18 00:17

    굉장히 많은 것을 알게 되었네요. 덕분에 생각도 많이 했답니다.

  • 07.08.02 20:27

    잘읽었습니다. 한자어 때문에 힘들었는데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 07.09.14 10:41

    그래요..역시 아는 것이 힘입니다.정말알고싶었던 정보네요..감사히보고갑니다.

  • 07.11.01 23:43

    좋은 글 보고 갑니다...감사해요..

  • 08.02.04 11:11

    정말 이해 될 듯 하면서 또 어려운거 같네요~~

  • 08.02.10 13:10

    한자 때문에 정말 힘들었는데 조금씩 길이 보이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08.04.22 12:52

    음독→ 한자를 음으로만 읽는 것 예) しゅみ [趣味] 취미 / 훈독 →한자를 뜻으로 읽는 것 箱(はこ )상자

  • 08.04.22 12:52

    じゅうばこよみ [重箱読み] →じゅう는 음독 ばこ는 훈독→ 한자(漢字) 두 자로 된 숙어의 앞자는 음(音)으로, 뒷자는 훈(訓)으로 읽는 법. 《「重箱(じゅうばこ)찬합」 「総身(そうみ)전신.온몸」 「縁組(えんぐみ)부부·양자 등의 관계를 맺음. 결연」 등》 ↔ 湯桶読(ゆとうよみ).

  • 08.04.22 12:52

    湯桶読(ゆとうよみ)→ゆ는 훈독 とう는 음독 →한자 숙어를 앞글자는 훈(訓)으로, 뒷글자는 음(音)으로 읽는 방식. 《「身分(みぶん)신분」 「荷物(にもつ)짐」 「手本(てほん)1.글씨본.그림본2.모범.본보기」 등》

  • 08.04.22 13:17

    かんご(漢語)한어: 1. 漢字の音読による語.。また、その熟語。2. むかし、中国から伝わったことば。1. 한자의 음독에 의한 말..또, 그 숙어.2. 옛날, 중국에서 전해진 말.

  • 08.04.22 13:17

    ふくごうご(複合語)복합어: <文法>二つ以上の単語が合わさって別の一つの単語となったもの。「吹く」と「込む」で「吹き込む」、「山」と「道」で「山道」、「朝」と「日」で「朝日」など。<문법>둘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 다른 하나의 단어가 된 것.「분다」와「붐빈다」에서 「불어온다」, 「산」과「길」에서 「산길」, 「아침」과「해」에서 「아침해」 등.

  • 08.04.22 13:17

    あさひ [朝日]아침해/やまみち[山道] 산길/しまぐに [島国] 섬나라/てくび [手首] 손목.팔목/はなぢ [鼻血] 코피

  • 08.04.22 13:20

    저도 공부하면서 이런 부분이 궁금했는데~^^* 정말 기본적인것을 모르고 (왜 그런지 이유도 모르고) 무조건 외웠네요~^^* 답답했던 부분을 알게되어 기쁩니다. ^^* 정말 이 글은 중요하며 반드시 읽어 두어야 할 부분입니다. 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 08.04.26 21:38

    훈과음으로 읽는 방법은 알고 있는데 외우는데 시간이.....

  • 08.09.30 17:30

    우와 ^^ 한자는 그저 어렵게만 느껴졌었는데, 열심히 공부해야겠습니다!

  • 08.12.13 13:32

    경어방 공부 마치고 한자 공부방도 세세히 공부해야겠습니다.^^* 한자를 보고 음독으로 읽을지 훈독으로 읽을지 구분해 내는 일도 중요하겠네요~

  • 09.02.03 14:28

    감사합니다~ 한국어 조사와 한자를 겹쳐놓으니 일본어의 훈독이 아주 와 닿았어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