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大乘正宗分
佛告.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불고 수보리 제보살마아살 응여시항복기심.
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소유일체중생지류 약란생 약태생 약습생 약화생 약유색 약무색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 非無想
약유상 약무상 약비유상 비무상
我皆令入無餘涅槃 而滅度之
아개영입무여열반 이멸도지
如是滅度無量無數無邊衆 生實無衆生得滅度者
여시멸도무량무수무변중생 실무중생득멸도자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卽非菩薩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大乘正宗分 제 3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 받을지니라.
세상에 있는 일체 중생의 종류인, 알에서 태어난 것, 태에서 태어난 것,
습기에서 태어난 것, 변화로 태어난 것, 형색이 있는 것, 형색이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 생각이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닌 것들을 내가 다 무여열반에 들게 하고 제도하리라. 이와 같이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고, 끝이 없는 중생들을 제도하되 실은
제도를 받은 중생은 없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이나 인상이나 중생상이나 수자상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제삼 대승정종분 (第三 大乘正宗分)
누가 누구를 제도 한단 말인가?
약난생.약태생.약화생.약유상.약무상.
약비유상.비무상을 모두 교화하여
해탈의 열반에 들게 제도하지만
실로 한 중생도 제도 된 바 없다는 것은
네가지 상에 집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모든 중생들을
무여열반에 들 수 있게 원을 세워야 하고
자기 마음을 어떻게 항복 받을 것인가를
생각 해야하는 내용이다.
모든 중생이란
자성중생에서 비롯되고
나의 본 마음자리에서 일어난 것이기에
본 마음자리에서 한 생각을 일으킨 것이
이런 저런 중생으로 나투게 된것이다.
결국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생각들이 중생인데
일체 모든 관념과.모양.소견.집착.번뇌.
온갖 상으로 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말을 하고있는 것이다.
결국은 내 마음속 중생이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로 된 바깥 중생으로 태어나게 된것을
내가 무여열반에 들수있게
제도하리라고 발원을 세우는것이
마음을 항복받는 비결인 것이다.
내 마음속 중생부터
먼저 제도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중생들은 항상 시비하고, 분별하면서
지난일을 후회하고
오지 않은 일을 걱정하고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은
찌꺼기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무여열반은
남김없는 열반을 뜻하며, 불이 꺼진 상태.
완전연소로 찌꺼기가 남지 않은 삶을 말한다.
일체 모든 존재는 이미 제도되어 있지만
다만 무명 때문에 모를 뿐
환상과 같은 탐.진.치.
삼독에 빠져 괴로움을 만들고
환상같은 열반을 찾아
헤메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 모든 것이 환상이고, 신기루이며
꿈 인줄 알면 반야이며
더 이상 상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모든 중생들은 이미 구제 되어있다.
새삼스럽게 또 다시 분별을 일으켜
누가 누구를 깨닫게 할 것도 없고
구제 할 것도 없다는 것이다.
구제한다는 착각에 빠져서도 안되고
거기에 집착을 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제도 할 중생도 없고
제도 해야 할 나 또한
모두 공하고 무아인 것이다.
나라는 상이 근본이 되어
일체 모든 상이 만들어진다.
나다. 내 것이다. 내가 옳다라는
아상이 있으므로서
나와 너를 둘로 나누는 분별이 있게 되고
인간과 자연을 생사와 열반을
중생과 보살을 나누는 분별들을 비롯한
일체의 분별망상이 시작되는 것이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은
나라는 상을 깨어버리는 수행을 말하며
무아를 깨닫는 의미로 해석된다.
연기의 존재이기 때문에
무아이고 공이라고 보면
사상의 타파가 곧 연기법을 깨닫는 것이고
공성을 깨닫는 것으로
불법수행의 요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부분의 설법이
불교의 핵심이며. 금강경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