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용, 박수홍, 김두규,『러닝퍼실리테이터 입문』(학지사, 2019)







1) 단계별 모둠 토론
모둠 토론활동을 진행하게 되면 주도권을 가진 학생이 주도하게 되는 경우와 소극적인 학생들이 무임승차하게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론자의 참여 범위를 2명에서 시작하여 점차 확대시켜 나가는 방법을 적용시켜 볼 수 있다. 먼저 토론주제가 정해지면 다음 순서에 따라 토론을 진행시킨다.
① 짝토론(2명) 짝끼리 주어진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표현하고 정리한다.
② 모둠토론(4명) 짝토론에서 논의된 내용을 모둠원들과 공유하고 협의하여 모둠 안을 정리한다.
③ 모둠발표 및 전체 논의 : 모둠안을 발표하고 이를 칠판에 정리하고 전체 논의를 통해 학급안을 도출한다.
2) 토론을 통한 내용도출 방법
① NGT 아이디어 도출 :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방법이다.
② 친화도법 : 도출된 아이디어를 범주화하여 아이디어를 구조화 시킨다.
③ 어골도(Fishborn diagram)법 : 도출된 아이디어를 분석하여 구조화 시킨다.
어골도법 예시(p84)

어골도2 예시(교실을 바꾸는 48가지 수업디자인, p203)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생선 뼈 토론 수업(남대호선생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