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물에 대한 역설적 감사
장애물이란 우리 앞에 장애가 되는 약점, 사건, 물건, 시기, 그리고 사람을 말합니다. 장애물이란 우리 앞을 가로막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애물 때문에 우리는 전진하지 못합니다. 장애물 때문에 길이 막히기도 합니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장애물을 만나면 멈추게 됩니다. 장애물 때문에 괴로워하게 됩니다. 좌절하게 됩니다. 포기하고 싶은 유혹을 받게 됩니다. 그렇지만 장애물도 하느님의 섭리의 안목에서 보면 감사의 대상이 됩니다. 장애물도 감사함으로 받으면 축복이 됩니다. 장애물을 통해 깨달은 감사는 역설적 감사입니다.
장애물 때문에 우리는 잠시 멈출 수 있습니다. 살아가면서 배우는 가장 소중한 능력 중에 하나는 멈출 줄 아는 능력입니다. 멈출 줄 모르는 사람은 브레이크가 없는 차와 같습니다. 위험하기 그지없습니다. 가장 좋은 차는 빠른 속도를 내는 차보다 멈춰야 할 때 멈출 줄 아는 차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잠시 멈춰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장애물을 만나게 하십니다. 더 큰 문제를 만나기 전에 잠시 멈추게 하심은 하느님의 은총입니다. 장애물이 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장애물을 통해 속도를 조절하고, 방향을 점검하라는 의미입니다. 내려놓음은 자포자기와 다릅니다. 올바른 방향, 올바른 목표를 위해 잠시 내려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애물로 인해 우리는 간절함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장애물 앞에 쉽게 자포자기한다면 추구하는 목표가 간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랜디 포시는 <마지막 강의>에서 “장벽이 나타난 것은 이유가 있다. 장벽이 거기 서 있는 것은 가로막기 위해서가 아니며 그것은 우리가 얼마나 간절히 원하는지 보여줄 기회를 주기 위해 거기에 서 있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장애물을 만나면 무엇을 얼마나 절실하게 원하는지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장애물로 인해 우리는 목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헨리 포드는 “장애물이란 당신이 목표 지점에서 눈을 돌릴 때 나타나는 것이다. 당신이 목표에 눈을 고정시키고 있다면 장애물이란 보이지 않는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때로 삶의 목표를 상실하거나 망각할 수 있습니다. 그때 우리는 이전에 보지 못했던 장애물을 보게 됩니다. 장애물은 우리의 목표를 점검하는데 도움이 되는 축복의 도구입니다.
장애물로 인해 우리는 더욱 지혜로워지고, 강해질 수 있습니다. 더욱 성장하고, 더욱 성숙해질 수 있습니다. 장애물은 우리가 더욱 지혜로워지도록 도전합니다. 장애물로 인해 우리는 하느님을 의지하게 됩니다. 하느님께 지혜를 청하게 됩니다. 장애물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 내면에 감추어진 지혜를 발견하게 됩니다. 장애물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이 문제입니다. 장애물을 극복하는 길은 장애물보다 크신 하느님과 동행하는 것입니다. 또 하나는 장앰루보다 더 성장하는 것입니다.
1952년에 애드먼드 힐러러는 에베레스트 산에 도전했으나 실패했습니다. 그때 그는 “에베레스트 산아, 처음엔 네가 날 이겼지만 다음엔 내가 널 이기겠다. 왜냐하면 넌 이미 성장을 멈췄지만 난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결국 에베레스트 산을 정복했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성장했고, 그 까닭에 에베레스트 산을 정복할 수 있었습니다. 장애물은 우리로 하여금 계속해서 성장하도록 권면합니다. 어릴 적에 그토록 커 보이던 장애물도 어른이 되어 보면 하찮은 것이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장애물이 작아진 것이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성장한 것입니다.
장애물이 문제인 것 같지만 엄밀히 따지면 우리 자신이 문제입니다. 잭 피아는 “삶은 장애물 코스 같은 것인데, 가장 큰 장애물은 바로 나 자신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장애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장애물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입니다. 장애물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입니다. 장애물을 하느님과 함께 바라보고, 감사하는 태도로 대할 수 있다면 장애물은 은총의 도구가 됩니다. 닉 부이치치는 팔도 없고, 다리도 없는 선천적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그렇지만 그의 장애가 그의 앞길을 막지 못했습니다. 닉은 그의 장애를 선용해서 수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장애물을 극복한다는 것은 눈물겨운 일입니다. 그렇지만 아무리 힘이 들어도 장애물을 극복해야 합니다. 장애물이 우리를 정복하게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장애물을 정복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장애물을 허락하심은 우리를 좌절시키려 하심이 아니라 우리를 성장시키려 하심입니다. 장애물보다 훨씬 크고 하느님과 함께 승리하라고 주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장애물마저도 감사해야 합니다.
첫댓글 아멘. 아멘.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