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매미가 우리나라의 남해안에 상륙할 때 중심기압이 950hPa이었다.
이 태풍이 해안에 상륙할 때 평상시의 기압(1013hPa)과 비교하여 해수면의 상승효과가 얼마나 될 것인지 계산하시오.
(단, 1hPa=1000dyne/cm^2=10N/cm^2이고
해수의 밀도는 1g/m^3,중력가속도는 10m/s^2이다.)
<풀이>
태풍이 해수면을 지날 때 상승한 물의 높이는
평상이 대기압과 태풍의 중심 기압의 차이에 반비례 한다.
즉, 태풍 매미의 경우
1013hPa-950hPa=63hPa의 압력에 해당하는 만큼의 해수면이 상승한다.
P= ρ gh이므로,
63hPa=63*1000dyne/cm^2=1g/cm^3*1000cm/s^2*h
1dyne=1000g*cm/s^2 이라하면 h=63m가 된다.
만일 이 때가 조차가 심해지는 사리일 경우 밀물 때 해일이 일어날 수 있다.
-----------------------------------------------------------------------
제가 궁금해 하는 것은,
- 문제 상 1000dyne/cm^2=10N/cm^2 에서 밑줄 부분이 0.01 이지 않나요?
- 해수 밀도가 문제에서 1g/m^3으로 주어졌는데, 풀이에서 1g/cm^3가 되니까 계산에 의한 것인지, 오타인지....
- 풀이에서 1dyne=1000g*cm/s^2의 밑줄은 1이어야 정의대로의 cgs단위아닌가요?
- 그렇다면 답은 얼마인가요? 문제에서의 63cm정도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푸니까 답이 너무 크게 나옵니다. ㅠㅜ
도와주세요~
첫댓글 제 생각을 올려봅니다. 1. 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100000dyne=1N 이니까요. 2. 오타인듯하네요. 1000kg/m^3가 맞겠지요. 3. 1dyne=1g*cm/s^2입니다. 답은 63cm되겠네요. 문제 만든사람 누군지 몰라도 단위설정이 엉망이네요. ㅡㅡㅋ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틀린 부분 정정하니까 답이 나오네요-^^
왼쪽 메뉴에 '과학 오류 바로잡기'에 보시면 '하이탑 지구과학 정오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하....이제서야...알게 되었네요~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