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과 20대 여성 사이에서 연예인 눈동자를 만드는 써클렌즈가 유행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되고 있다.
시력 보정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소프트렌즈, 하드렌즈와 달리 써클렌즈는 렌즈 표면에 핑크색·회색·갈색 등 색을 투여하여 특수처리한 미용용 렌즈이다. 렌즈 테두리에 예쁜 색을 입혀 영롱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내고 동공을 또렷하게 만들어 눈이 커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써클렌즈를 장시간 착용하고 있을 경우 눈 건강의 위험이 높아진다.

탁해현 씨의 충혈된 눈
써클렌즈를 자주 착용하는 탁해현(22·여)씨는 1일 4시간 이하 착용을 권장하는 대한안경사협회 기준에서 한참 벗어난 9시간 이상을 착용한다. 탁씨는 “장시간 써클렌즈를 착용하여 생활하고 써클렌즈를 착용한 채 잠이 들면 다음 날 눈이 붉게 충혈 되어 눈을 감을 수 없을 정도의 고통을 느낀다”며 “써클렌즈 착용 후부터 인공눈물이 없으면 눈이 건조해져 훌라 현상(렌즈가 눈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심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서울 종로구 새얀안과의원 홍진표 안과 전문의는 “일반 소프트렌즈 역시 산소투과율이 낮다. 각막은 눈물을 통해서도 산소를 얻게 되는데 소프트렌즈를 끼면 눈물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산소가 모자르게 된다”며 “써클렌즈는 이 소프트렌즈에 색소를 입혀놨기 때문에 더더욱 산소가 투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색소가 눈물에 녹아나오는 ‘용출현상’으로 인해 눈에 자극이 온다”고 전했다. 또한 써클렌즈를 통해 질병을 얻게 되는 이유로 “색소를 입히다 보면 렌즈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는데 이것으로 인해 세균의 침착이 잘 되서 세균성 각막염이 걸릴 수 있다”고 위험을 설명했다.
식약처는 렌즈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문가와 상담 후 구매하여 질병 및 알러지 체질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과 착용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권장하였으며 눈이 아프거나 충혈될 시에는 즉시 렌즈를 빼고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사의 진단을 받아야 된다고 하였다. 또한 렌즈를 돌려쓰지 말고 렌즈를 사용할 때는 손을 깨끗이 닦고 렌즈 관리 용액을 사용할 땐 한번 사용했던 용액의 재사용 금지를 강조했다.
문희경 학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