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카르스트 지형 모식도 | ▲ 석회암 분포 |
사례 2 카르스트 지형의 이용과 훼손
▲ 자병산(강원도 강릉) 석회암 지역에서는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시멘트 공업 이 발달하며, 산의 일부가 석회석 채굴로 깎여 나간 모습을 볼 수 있다.
▲ 화암 동굴(강원도 정선) 석회동굴은 관람객이 증가하면서 종유석과 석순 등 이 몰래 잘려 나가거나 쓰레기가 많이 버려져 동굴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다.
사례 3 카르스트 지형의 지속 가능한 개발
강원도 평창의 백룡 동굴은 동굴 환경에 따라 입장 시간과 관광 인원이 제한되며, 동굴 내에는 동굴 생성물을 보전하기 위해 조명 시설을 거의 설치하지 않았다. 관광객들은 동굴 탐험복을 입고 오염 방지 장갑을 착용한 채 깜깜한 동굴에서 안내자의 지시에 따라 관람해야 한다.
생각해 보기
1 카르스트 지형의 형성 과정을 기반암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자.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이 용식 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석회암은 고생대에 형성된 해성층인 조선누층군에 많이 매장되어 있다. 카르스트 지형이 잘 형성되기 위해서는 강수량이 풍부해야 한다
2 석회동굴을 훼손하지 않고 개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말해 보자.
석회 동굴의 석순, 종유석 등의 동굴 생성물은 과거의 기후 변 화를 추적할 수 있어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동굴 내에 살고 있는 희귀 생물은 난치병 치료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독특한 내부 환경은 다양한 생물을 살 수 있게 해 주며 이런 생물이 가지는 다양한 유전 물질은 앞 으로 소중한 자원이될수있기 때문에 석회 동굴은 보존 가치 가 매우 크다. 석회 동굴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관람객들에게 환 경 교육이 필요하며 관람객 수를 제한하거나 환경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조명 시설 등을 제한해야 한다.
사·진·으·로·보·는 지·리·이·야·기
독특한 지형 생태 관광
우리나라는 산지, 하천, 해안 등 다양한 지형 경관이 나타난다. 독특한 지형 경관은 그것 자체로도 훌륭한 관광 자원이며, 각종 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생태적 측면과 환경 보전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❶ 제주 저지오름
❷ 부산 태종대 -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생긴 해안 절벽 과기암괴석이발달해있다
❸ 철원 직탕 폭포 - 용암이 식으면서 만 들어진 주상 절리에 형성된 폭포이다.
❹ 가평천 돌개 구멍 - 하천이 흐를 때 자갈이 부딪히면서 침식이 이루어져 오목한 구멍이 생기고 이 구멍이 계속 커진 것이다.
❺ 목포 갓바위 - 파랑에 의한 침식 작용과 염분에
의한 풍화 작용의 결과 만들어진 지형이다.
대단원 매듭짓기
❸ 함께 활동하기
활동 주제 우리나라의 주요 지형 경관 홍보 자료 만들기
다음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주요 지형 경관을 널리 알리는 홍보 자료를 만들어 보자
•고위 평탄면(평창) •화진포(고성) •동강(영월) •성산 일출봉(서귀포)
•채석강(부안) •갯벌(순천) •삼각주(부산) •설악산(속초)
개별 활동
1, 위에 제시된 지역을 찾아 아래 지도의 빈칸을 채워보자
2 각 지형별 주요 특징을 적어보자.
모둠활동
3 정리한 자료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하나의 지형 경관을 선택한 후, 다음 조건을 고려하여 홍보 자료를 만들어 보자.
조건 •지형 경관의 형성 과정을 소개할 수 있는 홍보 자료를 기획한다.
•지형 경관의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고 개발하거나 관광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홍보 자료를 만든다.
예시풀이
<예시> 개별 활동: 주요 지형 경관 | 모둠 활동: 화진포(속초) - 송림과 해당화가 어우러진 철새 도래지 |
| 고성 화진포는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해안 저지대가 침수된 만입 지의 전면에 사주가 쌓여 형성된 자연 호수이다. 호숫가에 해당화가 만발해 이름 붙여진 화진포는 넓은 갈대밭 위에 수천 마리의 철새와 고니가 날아들고 울창한 송림으로 둘러싸여 있다. 호수 주변에는 생태 탐방로가 만들어져 있으며 관람을 할 때는 송림과 철새 서식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참고 사이트
•국토생태탐방포털(http://ecosystem.nier.go.kr)
•생태관광(http://www.ecotour.go.kr)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