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 위드심리상담센터 http://cafe.daum.net/with911]
* 엄마가 꼭 봤으면 하는 동영상
(EBS 아기성장보고서 3부) 애착,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조건
한국의 한 초등학교에서 실험을 했습니다.
'생일에 초대하고 싶은 사람 3명 적기'

아이들은 진지하게 초대하고 싶은 사람을 적었답니다.

반 친구들로부터 전혀 초대받지 못한 아이들이 있었는데,
이 아이들의 공통점은 신생아 시기(생후 18개월까지)에 엄마와 떨어져 있거나 애착형성이 잘 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아기와 엄마와의 정서적 친밀감에 따라 향후 그 사람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행동할지를 보여주는 실험들을 몇가지 소개합니다.
과거에는 애착을 형성하는 조건이 '충분한 음식'이라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러나 할로우 박사는 음식물이 제공되었다고 해서 애착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접촉'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혔습니다.

아기 원숭이들을 젖병이 달려 있는 모형 원숭이와 부드러운 감촉의 모형 원숭이가 있는 실험공간에 두었습니다.
처음에는 젖병이 달려있는 모형원숭이 쪽으로 가 음식을 먹었지만, 위험상황이나 두려운 상황이 닥치자 부드러운 감촉의 모형원숭이 곁에서 18시간동안 떨어지지 않고 접촉과 보살핌을 받기를 원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낯선 상황에서 아이와 엄마가 분리/재회를 통해 아이가 반응하는 것을 보고 아이와 엄마의 애착여부를 알아보는 '낯선상황'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먼저, 안정애착을 가진 아이는 엄마가 돌아오면 반가워하고 쉽게 안정을 찾았습니다. 엄마가 자신을 반겨주고 반응해 줄 것이라는 신뢰가 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안정애착을 가진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의 욕구와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또래 사이에 인기가 많습니다. 학습 능력에도 영향을 끼쳐 호기심, 탐색 욕구가 강한 성향을 가집니다.
반면, 오랜기간 동안 아이 옆에 아무도 없으면, 아이는 아무도 자기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아무에게도 어떤 반응을 기대하지 않고 흥미가 없어져 손을 뻗거나 웃지 않는 아이가 됩니다.
그렇다면, 생후 3개월 ~ 3년까지이 분리는 아이에게 불안감을 준다고 하는데, 직장 여성이 아기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것은 안정애착에 방해가 될까요?
다행스럽게도, 애착형성은 양육시간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아기의 신호에 양육자가 얼마나 민감하고 안정적으로 반응해 주는 양육의 질에 비례한다고 합니다.
불안정 애착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회피형 애착
엄마가 아기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반응하지 못한 경우 아기는 엄마로부터 거절당했다고 느낍니다. 엄마가 나는 안아주고 달래줄 것이라는 기대가 없기 때문에 엄마가 돌아와도 회피하는 유형입니다.
이러한 회피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나중에 또래관계에서 자기 감정을 억제하고,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기보다는 혼자 놀기를 좋아합니다.

(2) 저항형 애착
낯선 상황에서 엄마가 나가자 심한 불안감을 느끼던 아기는 엄마가 돌아와도 쉽게 울음을 그치지 않는데, 이는 일관되지 않은 양육을 할 때 나타나는 유형입니다.
불안하고 화가 안 것을 과장된 애착 표현으로 나타내며 상대방의 반응을 예측할 수 없어 분노를 과장되게 표현하고 쉽게 화를 내거나 공격적입니다.

(3) 혼란된 애착
부모가 경제적으로 어렵다거나 심한 우울증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낯선 상황에서 엄마를 찾았으나 선뜻 안기지 못하는 유형입니다.
울면서 뒷걸음질 치거나 팔다리를 뻗은채 꼼짝하지 않고 바닥에 누워있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엄마가 안아줘도 몸이 무기력, 위로 받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은 뇌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번 불안정 애착은 영원한 불안정 애착일 수 밖에 없는 것일까요?
- 부드러운 정서, 안정 애착적인 엄마
- 아이들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
- 아이에게 잘 맞추저야겠다는 의지를 가진 사람
이렇게 세가지 조건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안정적 애착을 형성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머니 자신이 부모로부터 받았던 애착이나 양육 환경이 어떤 것이었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생후 1년간 부모와 보낸 시간은 행복한 삶의 보증수표는 아닐지라도, 가장 큰 자산임에는 틀림없다."
나를 온전히 믿고 사랑하고 필요로 하는 아기에게 엄마는 무엇을 어떻게 해주어야 할지, 무엇이 나의 아이를 행복하게 해 주는 것일지 (EBS 아기성장보고서 3부) 애착,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조건을 보면서 생각해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