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음(知音)/백아절현(伯牙絶絃)
오늘 고문진보 시간에 양보 이창호 선생이 ‘峩洋曲’에 대한 이야기로 도입부분을 접근한 후 등왕각서 마지막 부분을 강의했다. 지음(知音)에 대해서 여러 차례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오늘은 그 원문이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그 원문은 이러하다.
列子 湯問第五(열자 탕문제오)
伯牙善鼓琴,鍾子期善聽。伯牙鼓琴,志在登高山,鍾子期曰:「善哉!峨峨兮,若泰山。」志在流水,鍾子期曰:「善哉!洋洋兮,若江河。」伯牙所念,鍾子期必得之。伯牙游於泰山之陰,卒逢暴雨,止於巖下,心悲,乃援琴而鼓之,初爲霖雨之操,更造崩山之音。曲每奏,鍾子期輒窮其趣,伯牙乃舍琴而歎曰:「善哉!善哉!子之聽夫。志想象猶吾心也。吾於何逃聲哉?」
伯牙善鼓琴(백아선고금) 鍾子期善聽(종자기선청) : 백아(伯牙)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鍾子期)는 그것을 잘 듣는다.
伯牙鼓琴(백아고금), 志在登高山(지재등고산) : 높은 산에 오르고 싶은 마음으로 백아가 거문고를 타면
鍾子期曰(종자기왈) ; 종자기가 말하기를
善哉! 峩峩兮(선재아아혜)若泰山(약태산) : "좋도다! 높고 높은 태산과 같구나"하고,
志在流水(지재류수): 뜻을 흐르는 물에다 두면,
鍾子期曰(종자기왈) ; 종자기는 말하기를
善哉! 洋洋兮若江河(선재양양혜약강하) : "좋도다! 넓고 넓은 강물과 같구나“라고 하여,
伯牙所念(백아소념), 鍾子期必得之(종자기필득지) : 백아가 생각하는 바를, 종자기는 꼭 그것을 깨달았다.
伯牙遊於泰山之陰(백아유어태산지음) 卒逢暴雨(졸봉폭우) : 백아가 태산 북쪽에서 노니는데, 갑자기 폭우(暴雨)를 만나,
止於岩下(지어암하)心悲(심비) : 바위 밑에서 비를 피하면서, 슬픈 생각이 들어,
乃援琴而鼓之(내원금이고지) : 거문고를 당겨 그것을 연주하였다.
初爲霖雨之操(초위림우지조) : 처음에는 장마 비의 가락으로 타고,
更造崩山之音(갱조붕산지음) : 다시 산이 무너지는 음곡(音曲)을 탔다.
曲每奏(곡매주) 鍾子期輒窮其趣(종자기첩궁기취) : 곡(曲)이 연주될 때마다, 종자기는 문득 그 취향을 알아 들었다.
伯牙乃舍琴而歎曰(백아내사금이탄왈) ; 백아는 이에 거문고를 놓고 탄식하여 말하였다.
善哉(선재)! 善哉(선재)! 子之聽夫(자지청부) : "좋도다. 좋도다. 그대의 듣는 것이여,
志想象猶吾心也(상상예오심야) : 그대가 상상하는 뜻은 나의 마음과 같다.
吾於何逃聲哉(오어하도성재) : 내 어찌 나의 음악을 감추겠는가?
지음(知音) : 소리를 알아듣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속마음을 알아주는 친구를 이르는 말.
지기지우(知己之友)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백아절현(伯牙絶絃) : 백아(伯牙)가 거문고 줄을 끊다.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을 잃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