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의 역사 교육에서 조선시대는 왕의 시호 순서까지 외울 정도로 익숙하지만, 그로부터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고려시대나 삼국시대의 경우 몇몇 사건과 인물들 중심으로만 기억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역사를 재구할 수 있는 사료가 부족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역사 교육의 초점이 조선시대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라는 반증일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만화로 엮은 <박시백의 고려사>는 고려시대 역사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여겨졌다.
지난 1권에서는 고려를 건국할 시기부터 6대 임금인 성종이 즉위하는 모습까지를 다루었다면, 2권에서는 성종의 본격적인 치세로부터 17대 인종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그려내고 있다. ‘전쟁과 외교, 작지만 강한 고려’라는 부제가 말해주고 있듯, 2권에서는 북쪽 변방에 위치했던 거란과의 3차례에 걸친 전쟁으로 시작되고 있다. 이 시기에 역사에서 강조했던 서희의 담판으로 인해 압록강 인근의 ‘강동 6주’를 회복하고, 몇 차례의 정변을 거쳐 마지막 3차 침입을 막아낸 강감찬의 활약상이 소개되고 있다. 거란의 침입을 막아낸 이후 8대 현종부터 15대 숙종 때까지는 외부의 위협 없이 ‘태평시대’가 이어졌음을 그려내고 있으며, 예종이 즉위한 이후 북쪽에서 흥기한 여진과의 갈등 양상이 형상화되고 있다.
이른바 여진 정벌을 통해서 두만강 근처의 ‘동북 9성’을 반환받았지만, 이것을 끝까지 지켜내지 못했던 저간의 사정이 그려지고 있다. 여진족의 후예로 중국에서 성장한 금나라와 거란족의 후예인 요나라가 서로 대립하는 동안, 이 시기에는 ‘요와 금 사이에서’ 중립적인 정책을 펼쳤던 예종의 정치로 인해 외침에서 다소 비껴날 수 있었다. 2권의 마지막은 외척인 이자겸의 발호와 몰락, 그리고 역사가 신채호에 의해 우리 역사에서 ‘일천년 이래 일대 사건’으로 평가되었던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에서 비롯된 반란과 이를 진압하는 과정이 소개되고 있다.
이른바 ‘묘청의 난’을 진압했던 김부식에 의해서는 여전히 역사적으로도 상반된 평가가 존재하고 있지만, 그에 의해 저술된 <삼국사기>는 과거의 기록들을 수합해서 삼국의 역사를 정리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어지는 3권에서는 드라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던 ‘무신정권’과 원나라와의 전쟁으로 고통을 겪는 상황이 소개될 것이라 짐작된다. 비록 만화 형식이지만, 이 책을 통해서 고려시대의 역사적 흐름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사>와 관련 역사들을 보다 자세히 검토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차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