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문 표기 방법을 바꿨습니다.
오랫동안 사용해온 구슬꿰는실 표기를 내려놓고,
우리나라 일반 표기 방법을 따라갑니다.
일반 표기. *마침표를 저자 연도 제목 출판사 모두 찍습니다.
최선웅. (2020). 『호숫가마을이야기』. 구슬꿰는실.
공저인 경우
최명민, 김정진, 김성천, 정병오. (2022). 『사회복지실천론』. 사회평론아카데미.
번역한 책인 경우
셰퍼, B., & 호레이시, C. (2010).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남기철, 정선욱, 조성희 역). 나남.
여러 명이 엮은 책 가운데 한 사람 글만 인용한 경우
주혜미. (2024). 그날을 기다리며. 김세진 엮음, 『발바닥이 닳도록, 당사자의 삶으로, 지역사회 안에서』. 구슬꿰는실.
일반적인 논문 인용
강민지. (2024). 『사회복지관 임파워먼트 사례관리 실천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선. (2022).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에게 나타난 무형식학습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때는 학교 다음에 쉼표입니다.
학술지 논문을 인용했을 때
이은희. (2021).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8(2), 45–68.
논문 저자가 여려 명일 때
김태형, 이수진. (2020).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65(3), 101–125.
*78(2) : 78권 2호. 78번째 학술지이며, 그 해 두 번째로 발행하였음을 뜻합니다.
온라인 자료를 참고한 경우
TSW. (2023). Social Work Methods. Think Social Work. https://thinksocialwork.com/social-work-methods
영화나 드라마를 참고한 경우
NHK. (2014). 드라마 『사일런트 푸어』. 일본 NHK 방송.
신문을 참고한 경우
경향신문. (2024년 3월 18일). 복지관, 더 이상 서비스 기관 아니다.
*종이 신문과 온라인 신문 표기를 달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종이 신문을 보는 경우가 거의 없기에 이 정도로 표기합니다.
강의, 특강, 세미나에서 나눈 자료집인데 미간행물인 경우
강민지. (2024). 「대안 사례관리 실천 사례 발표 대본」. 서울사회복지관협회, 평가 공유회 우수사례 발표 원고, 2024년 12월 10일.
조아름. (2025). 「선미 님 지역사회 주민자치회관 노래교실 지원」. 사회복지사사무소 구슬, 장애인주간센터 사례발표회 발표 원고, 2025년 3월 7일.
학술지 인용할 때 권, 호, 통권 표기
*64(2) : 64권 2호. 창간 뒤 64번째 해에 출판한 학술지이며,
그 해 두 번째로 발행하였음을 뜻합니다. 통권 251호.
2022년 제64권 / 제1호, 제2호, 제3호, 제4호 / 통권 제250호~253호
2023년 제65권 / 제1호, 제2호, 제3호, 제4호 / 통권 제254호~257호
2024년 제66권 / 제1호, 제2호, 제3호, 제4호 / 통권 제258호~261호
‘권(卷, Volume)’은 학술지 출간 연차에 해당하는 연도 단위.
‘호(號, Number)’는 해당 연도 안에서 발간된 순서.
‘통권’은 창간 이후 전체 순번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며, 참고문헌에는 보통 표기하지 않습니다.
첫댓글 상록 확인했어요. 이번 책에 반영하도록 동료들에게 전달하겠습니다.
유진 선생님, 고맙습니다. 상록장애인복지관 선생님들과는 벌써 올해로 네 번째 공부 모임이에요.
늘 이렇게 함께하니, 덕분에 나도 많이 배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