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700hPa에서 500hPa에 걸쳐 존재하는 구름이 있다고 가정하자. 구름 안에서 응결된 물방울의 혼합비가 3g/kg일 때, 이 구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최대 강수량을 mm단위로 계산하시오.(단, 중력가속도는 10m/s^2 이고,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 이 문제풀이가 있는데요...
단위면적당 물방울의 양 = w*dP/g로 풀었어요~~여기서 w는 혼합비구요...
F/A=dP 에서 mg/A=dP이고 단위면적이니까 A는 없어지고. m=dP/g로 푼다는 것은 알겠는데요~
여기에 혼합비를 곱해준것이 물방울의 양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겠어요~~
저는 혼합비로 수증기압을 따로 구해주어야 되는 줄 알았는데 그렇게 푸니깐 답은 다르게 나오더
라구요~~
--> 이 문제의 답은 6mm입니당...위에 제가 궁금하다고 적어놓은 부분 설명 부탁드려요~~
첫댓글 문제에서 혼합비가 우리가 생각하는 개념으로 혼합비가 아닌 것 같은데요.. 문제에서는 단지 공기의 단위질량당 '물방울'의 질량을 '혼합비'라는 명칭으로 쓴 것 같습니다. 결국 두 압력사이의 단위면적당 공기의 질량을 구할 수 있는지, 밀도의 개념으로 강수량을 알아내는지를 묻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저는 원래 혼합비를 절대 수증기량으로 이해했는데, 다른 개념도 또 있나요? 궁금해서 ,,
제가 말한건 위의 문제에서 '혼합비'라는 명칭을 씀으로해서 혼돈이 생긴 것 같다는 말이었습니다. 명사로써 '혼합비'는 저도 한 가지 개념밖에 몰라요.. ^^
수증기량/건조공기량이 혼합비의 정의이니까.. scteach 님께서 설명하신게 맞는 것 같네요~~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