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작자 :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홍경호 옮김/이기석 옮김/송영택 옮김
갈래 : 장편 소설. 성장 소설. 교양 소설
성격 : 자전적, 심리주의적, 종교적, 상징적, 신비주의적, 내면 탐구적
경향 : 헤세의 작품 경향은 전후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기에서는 '페터카 멘찐트','사랑의 3중주', 등 서정이 넘치는 작품을 썼다. 그러나 1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그는 자아 탐구와 더불어 현대 문명의 준엄한 비판자가 되었다. 이 두 작품의 분기점을 이루는 문제작이 '데미안'이다.
문체 : 간결체
배경 : 시간(제1차 세계 대전 전후). 공간(독일)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제재 : 나의 성장 과정
주제 : 자기 발전을 통하여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과정
구성 : 서장과 8장으로 되어 있다. 1-2장에서는 소년 시절의 이야기를 소박하고 감상적으로 그려 먼 훗날의 인생의 흐름을 함축성 있게 암시하고 있고, 3장에서부터 독심술의 꿈의 해석이 수시로 인용되고 신비로운 환상적 여운이 전편에 흐른다.
표현 : 작자의 젊은 시절의 초상이라 할만큼 영혼의 성숙 과정을 자전적으로 그려냈다. 신비주의적 동양 정신이 담겨 있다.
줄거리 : 싱클레어는 신앙이 깊고 청결하며 예의 바른 부모의 세계와 하녀·장인(匠人)들의 입을 통해 듣는 부랑자·주정뱅이·강도 등의 더러운 악의 세계가 자기의 내면에서 대립되고 있는 것을 느낀다. 바로 이때, 데미안이 건너 준 메시지를 받고 자기 의식의 눈을 뜨게 된다. 싱클레어는 자기 운명을 개척하고 자신을 찾기 위해 유럽 문화를 철저하게 비판한다.
등장 인물
싱클레어 : 독심술(讀心術)에 빠져 인간의 영혼에 대해 회의를 품고 방황하는 소년
막스 데미안 : 에바 부인의 아들로 개성이 강하고 성숙하여 싱클레어에게 큰 영향을 주는 인물.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는 순수 명령을 따라야 한다는 철학을 가진다.
프란츠 크로마 : 양복점 아들로 성격이 거칠고 악의 상징 같은 존재
크라우어 : 싱클레어의 동급생으로 섹스와 금욕에 고민하다가 자살 미수까지 저지르는 인물
⊙주인공 에밀 싱클레어는 내부에 두 개의 상반되는 세계를 가지고 그 대립 때문에 괴로워한다.
그것은 선과 악의 세계이다. 신앙심이 깊고 청결하며 예의 바른 부모로부터 영향받은 선의 세계와 하녀·장인들의 입을 통해 듣는 부랑자·주정뱅이·강도 등의 악의 세계가 자기의 내면에서 대립되고 있는 것을 느낀다.
독후감
이책의 내용은 싱클레어라는 아이가 따돌림을 받지 않으려고 과수원에서 사과를 훔쳤다고 거짓말한 것이 나쁜 아이에게 걸려든 빌미가 되었다.이런 일은 우리들 사이에서도 일어나기도 한다.가끔 친구들과 이야기를 할때 나도 없는일을 보태어 말한적이 많이 있다.
나는 싱클레어가 점점 악의 구렁텅이로 빠지는것이 안타까웠다.다행이 신비로운 힘을 지닌 데미안의 도움으로 싱클레어는 더이상 고통을 받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그 뒤부터는 이해하기가 참 어려웠다.
세상에는 밝은세계와 어두운세계의 두가지가 있다는것은 대충 이해가 되는데 아브락사스란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통 알수가 없었다.
그래서 나는 이책을 완전히 이해하는것은 뒤로 미루어 두기로 마음먹었다.
세계적인 문학 ‘데미안’을 처음 읽을 땐 굉장히 어려운 책이라고 생각했다. 일반인들이 평범하게 살아가는 인생을 밝은 세계와 어두운 세계로 분류하고, 악을 가진 신 아프락사스가 있다고 하는 이 책은 하나의 신앙도 믿지 않는 나에게는 이해하지 못할 문학이였다. 헤세의 문학은 참 어렵고 이해못할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자연히 헤세가 어려운 작가라고 느껴졌다. 하지만 이 책에 대해 알면 알수록 배울게 많은 작품이란게 느껴졌고, 헤세가 많은 문학상을 받을 만 했다고 생각했다.
이 책은 주인공 싱클레어가 방황하는 청소년시기에서부터 성인이 되는 즉 영혼이 발전을 하는 과정을 세세하게 쓴 책이다. 이제까지 많은 책을 봐왔지만 이 책처럼 특이하고 특별한 책은 처음이였다. 특히 나는 이제까지 단한번도 성경에 나오는 카인이 성스럽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카인은 하느님과 부모님께 사랑받는 그의 동생 아벨을 질투했다. 결국 카인은 질투심에 눈이 멀어 그만 아벨을 죽이고 말았다. 그 뒤로 살인자들은 아벨을 죽인 카인에서 따와 ‘카인의 후예’라고 부른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사람들이 카인의 후예들을 두려워 하고 이 사람들을 불미스럽게 해석하므로써 카인을 악한 사람으로 말하지만, 이것은 사람들이 무섭고 강한 카인의 후예들에게 일종의 보복을 가한 것이고 카인은 뛰어난 사람이라고 말했다. 난 이 부분을 읽으면서 소설속의 데미안, 즉 헤세는 가치관이 특이하고 평범하지 않은 사상을 가진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김나지움에 진학한 싱클레어는 악의 구렁텅이에 빠지면서 데미안과 멀어졌다. 그러던도중 그는 베아트리체라는 소녀를 만나고 그녀를 사랑하게 된다. 싱클레어는 그녀를 그리지만 그림에는 베아트리체가 아닌 데미안의 얼굴이 있었다. 싱클레어는 데미안이 점점 그리워졌고, 새를 그린 그림을 데미안에게 보냈다. 데미안은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곧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새는 신을 향해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프락사스라고 한다‘라는 글을 받았다. 난 이 데미안의 말이 고정관념을 뜻하는 알을 깨지 않으면 세상의 모든 것을 달리볼수 없다는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싱클레어가 크면서 데미안과 헤어지고 피스토리우스를 만나게 되었다. 여기서 피스토리우스는 데미안처럼 가치관이 뚜렷하고 자신만의 세계를 가진 사람이지만 데미안이 싱클레어의 아버지이며 친구이고, 선생님이고, 기둥이고, 나무이고, 안식처인 조력자라면 피스토리우스는 싱클레어가 깊고 넓게 생각할수 있게 하고 데미안의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헤르만헤세의 데미안은 어려운 책이었지만 성인이 되가는 나에게 싱클레어의 청소년기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싱클레어의 조력자 데미안처럼 나도 나의 가치관에 혼동이 오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청소년기에 나를 이끌어줄 조력자가 있었으면 좋겠다. 선은 선이 아니고 악이 악이 아닌 둘다 어짜피 하나라는 헤르만 헤세의 사상은 나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과 감명을 주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