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가 지난 14일 두산그룹이 신청한 삼천동 라데나콘도 부지의 ‘유원지 조성계획 변경안’을 승인함에 따라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춘천시는 조만간 두산그룹과 ‘연수원 건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춘천시는 라데나콘도를 철거하고 그 부지에 두산그룹 직원 연수시설 및 숙소와 컨벤션센터, 시민 휴식 공간 등을 신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유원지 조성계획 변경안’을 승인했다. 최종 확정된 부지는 휴양시설 부지 1만7천171㎡와 연수원, 컨벤션센터, 직원숙소 부지 4만7천246㎡ 등 총 6만4천417㎡이다. 휴양시설 부지에는 시민과 관광객을 위한 자전거 도로와 휴게시설 등이 설치된다. 족구장, 농구장 등의 시민 체육시설과 공용주차장, 배수펌프장 등의 공공시설도 조성된다.
하지만 라데나콘도 일대는 유원지로 관련법 상 연수원 건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춘천시가 두산그룹 기업에 특혜를 준 것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춘천시는 2013년 라데나콘도 재건축을 조건으로 두산그룹이 연수원을 지을 수 있도록 부지의 용도를 휴양시설에서 기타시설로 변경했다. 두산그룹은 그러나 지난해 11월 라데나콘도를 철거하고 해당 부지에 연수원 숙소동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건립 계획을 수정한 뒤 기타시설로 용도 변경해 줄 것을 또다시 요청했다. 춘천시는 연수원 부지 내 조성될 체육시설을 부대시설로 간주하고 이를 승인했다.
임금석 시의원은 “결국 시민, 관광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콘도는 없어지고 특정 기업을 위한 연수원이 들어서게 됐다”고 지적했다.
춘천시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연수원 및 직원숙소에 지역민 일자리를 50개 이상 창출하고 춘천지역에서 생산된 쌀과 채소 등 지역 물품을 식재료로 구매하기로 두산그룹과 협의했다”면서 “주민을 위해 부지 내 공공시설을 제공하고 연수원 내에서 지역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관광지 홍보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 콘도운영 때보다 지역 기여 효과가 크다”고 해명했다.
라데나콘도는 1997년 문을 연 춘천의 대표적 숙박시설이었지만 지난해 11월부터 휴업 상태다. 권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