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청의 사랑방이야기(14)
못 믿을 건 여자. ?
과거에 또 낙방한 한 초시
새 신부 홀로 남겨두고
참봉댁 집사로 들어가 일하다가
어느날 집에 갔더니 웬 사내가….........
십년 세월이 흘러
한 귀부인이 남자아이 손 잡고
영월 현감을 찾아왔는데….....
한 초시는 또 과거에 낙방하고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삼십리 밖 천석꾼 부자 조 참봉 댁 집사로 들어갔다.
쓰러져 가는 초가삼간에 신부 혼자 남겨 두기 뭣해서
늙은 이모님을 불러다 함께 지내도록 했다.
한 초시가 하는 일이 고되지는 않았다.
조 참봉의 서찰을 대필해 주고 장부를 만들어 소작농들을
관리하고 곳간의 재고를 기록하는 정도다.
한달에 집에 갈 수 있는 사흘을 빼면 나머지 날들은
조 참봉 댁 행랑채에서 잠을 잔다.
월말에 집에 갈 땐 구름을 타고 바람에 흘러가는 듯하지만
아리따운 새 신부와 꿀 같은 사흘을 보내고 조 참봉
집으로 돌아올 땐 천근만근 발길이 무겁다.
조 참봉의 생일날 친척과 친구들이 모여들자 산해진미가
상다리가 휘어져라 상에 올랐다.
행랑채 호롱불 아래서 한 초시도 푸짐한 저녁상을 받았다.
술을 몇잔 마시고 수저를 들다 한 초시는 그만 목이 콱 잠겼다.
상에 오른 쇠고기산적과 문어, 조기를 보니 늙은 이모와
마주 앉아 겉보리나물죽을 먹고 있을 새 신부 생각에
가슴이 미어지는 것이다.
집에 가려면 아직 보름이 남았지만 한 초시는 유지를
펼쳐 놓고 상에 오른 음식을 싸서 그대로 집으로 갔다.
살며시 사립문 안으로 들어가 방문을 열었더니, 이럴 수가! 그 조신하던 새 신부가 벌거벗은 채 죽은 듯이 누워 있고
간부(姦夫)는 상의를 벗은 채 바지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한 초시는 낫을 치켜들고 간부를 내리치려다가 멈췄다.
간부는 달빛에 번쩍이는 낫을 보고는 목을 감싸 쥐고
머리를 처박았지만 새 신부는 희멀건 아랫도리를 그대로
드러낸 채 기절한 듯 꼼짝하지 않았다.
한 초시는 털썩 주저앉았다. “모든 것이 내 탓이로다.
집안이 넉넉했으면 새 신부를 혼자 두지 않았을 것을….”
한 초시는 대성통곡하다가 시퍼런 낫을 간부의 목에 대고
말했다.
“네놈의 목숨을 살려주겠다. 단, 한가지 조건이 있다.
내 색시를 데려가 한평생 호강시켜 줄 수 있겠느냐?”
간부는 떨리는 목소리로 답했다. “예…예. 틀림없이 언…
언약을 지키겠습니다.”
춘하추동이 왔다가 사라지고 십년 세월이 흘렀다.
나이 든 귀부인이 열살쯤 된 남자아이 손을 잡고 영월 동헌
대문을 지키는 포졸에게 현감을 만나게 해 달라고 간청했다.
현감 앞에 선 귀부인이 입을 열었다.
“지금으로부터 십년 전 무술년 유월 보름날 밤 달빛이
밝았지요.” 귀부인의 첫마디에 영월 현감은 얼어붙었다.
얘기는 이렇다.
주색에 빠진 개차반 청년이 한 초시의 새 신부 미색에 반해
온갖 궁리를 하다 새 신부와 함께 사는 한 초시의 늙은
이모에게 돈주머니를 쥐여 줬다.
개차반이 돈과 함께 준 미약을 감주에 타서 새 신부가 마시게 하고 이모는 도망친 것이다. 귀부인이 얘기를 이어갔다.
“개차반 젊은이가 정신을 잃고 자는 새 신부의 옷을 벗기고
자신도 옷을 막 벗으려던 때 한 초시가 들어왔습니다.
절대로 교접하지 않았다 합니다.”
그 개차반은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나자 새 신부를 깨워
집으로 데려가 제 어미에게 자초지종을 얘기했다.
어미가 말했다. “한 초시란 분은 의인이다.
너는 새 신부에게 절대로 손끝 하나 댈 수 없다.
이 시각부터 새 신부는 나의 딸이다.”
귀부인은 숨을 고르더니 말했다.
“못난 내 아들놈은 각성하여 삭발하고 출가를 했습니다.”
새신부는 그때 한 초시의 씨를 받아 둔 몸이었다.
귀부인이 함께 온 달덩이 같은 아이에게 조용히 말했다.
“아버지께 인사를 올려라.” 영월 현감은 뛰어 내려가
아들을 꼭 껴안고 눈물만 흘렸다.
못 믿을 게 여자라며 영월 현감은 그때까지 재혼하지 않고 있었다.
카페 게시글
조주청 사랑방이야기
못 믿얼건 여자(14)(조주청의 사랑방이야기)
권재원
추천 0
조회 10
24.10.03 17:15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