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소이(大同小異)(별을줍는아이)
대동소이(大同小異) – 큰 차이가 없고 비슷하다는 뜻.
대동소이(大同小異)는 ‘크게 같고 작게 다르다’, ‘큰 부분은 같고 작은 부분은 다르다’라는 뜻 입니다.
전체적으로는 거의 같고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큰 차이가 없고 비슷하다는 뜻의 고사성어 입니다.
출전(出典): 장자(莊子) 잡편(雜篇) 천하편(天下篇)
요약(要約):
혜시(惠施)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송(宋)나라의 학자로, 장자(莊子)와 같은 시대의 사람이었습니다. 저서로는 혜자(惠子)가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으며, 장자의 저서에서 그의 사상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장자의 잡편 천하편에 혜시의 소동이(小同異), 대동이(大同異)에 대해 소개를 하며 의견을 덧붙여 놓은 글이 있으며, 대동소이는 이 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입니다. 다음은 장자 잡편 천하편의 일부 입니다.
원문(原文) / 해석(解釋):
惠施多方 其書五車 其道舛駁 其言也不中.
혜시다방 기서오거 기도천박 기언야부중.
혜시(惠施)는 여러 방면으로 그의 책이 다섯 수레나 되지만, 그의 도(道)는 천박(舛駁)하고 그의 말(言) 또한 (이치에) 맞지 않는다.
多方(다방): 여러 방향. 다방면.
舛駁(천박): 고르지 못하거나 바르지 못함.
歷物之意 曰.
역물지의 왈.
(혜시는) 만물의 의미를 열거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至大無外 謂之大一,
지대무외 위지대일,
지극히 커서 바깥이 없는 것을 대일(大一)이라 하며,
至小無內 謂之小一.
지소무내 위지소일.
지극히 작아서 안이 없는 것을 소일(小一)이라 한다.
無厚不可積也 其大千里.
무후불가적야 기대천리.
(지극히 작아 안이 없는 것을 소일(小一)이라 하므로, 그 소일의 입장에서 생각하여 본다면) 두께가 없고 쌓을 수 없는 것도 그 크기가 천리이다.
不可(불가): ~할 수가 없다.
天與地卑 山與澤平.
천여지비 산여택평.
(지극히 커서 바깥이 없는 것을 대일(大一)이라 하므로, 그 대일의 입장에서 생각하여 본다면) 하늘과 땅은 낮고, 산과 늪은 평평하다.
日方中方睨 物方生方死.
일방중방예 물방생방사.
태양은 금방 뜨고 금방 기울며, 만물은 금방 태어났다가 금방 죽는다.
大同而與小同異 此之謂小同異,
대동이여소동이 차지위소동이,
크게 보면 같으나 작게 보면 다르니, 이것을 가리켜 소동이(小同異)라 하며,
萬物畢同畢異 此之謂大同異.
만물필동필이 차지위대동이.
만물은 모두 같고 모두 다르니, 이것을 가리켜 대동이(大同異)라 한다.
유의어(類義語):
- 소이대동(小異大同)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오십보소백보(五十步笑百步)
- 오십소백(五十笑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