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는) 의식주, 종교, 민족, 언어 등의 문화 요소가 비슷하게 분포하는 공간적 범위로, 오랜 기간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어떤 문화 요소를 기준으로 삼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
( 문화권(문화 지역) )
2. 다음 내용을 읽고 맞으면 O표, 틀리면 X표 하시오.
⑴ 문화권은 주로 산맥, 하천, 사막 등 지형을 경계로 구분된다. [ O ]
⑵ 문화권이 만나는 곳에는 두 문화권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는 점이 지대가 형성되지 않는다. [ X ]
⑶ 기후와 지형은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 양식에 영향을 미쳐 문화권을 형성하는 요인이 된다. [ O ]
3. 각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환경과 그 영향을 받아 형성된 음식 문화를 옳게 연결하시오.
⑴ 유럽의 밀농사와 목축업 ∙ ∙㉠ 쌀 ⑵ 아시아의 고온 다습한 계절풍 기후 ∙ ∙㉡ 빵과 고기 ⑶ 남아메리카 고산 지역의 냉량한 기후∙ ∙㉢ 감자와 옥수수 |
( ⑴ - ㉡ ⑵ - ㉠ ⑶ - ㉢ )
4. 다음 괄호 안의 내용 중 알맞은 말에 ○표 하시오.
⑴ 종교, 언어, 예술, 산업 등 (자연환경, 인문 환경)은(는) 문화 경관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의식과 가치관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⑵ (산업, 종교)은(는) 주민들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쳐 문화권의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로, 문화권을 구분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02 세계의 문화권별 특징은 무엇일까?
(교과서 200~203쪽)
│학습 목표│다양한 문화 요소를 고려하여 세계의 문화권을 구분하고, 문화권의 특징과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비교할 수 있다.
│평가 계획│
•세계 문화권의 지역적 구분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다양한 세계 문화권의 특징과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비교 문화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모둠별로 세계 문화권의 특징을 조사한 후 결과물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고 잘 발표하였는지 평가한다.
│통합 수업을 위한 제안│
•정치, 경제, 지리, 역사 등의 측면에서 세계 문화권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문화 전파의 관점에서 문화권이 형성된 이후 다른 문화권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한다.
• 모둠별로 세계 문화권의 특징을 조사하고 문화권 홍보물을 만들어 보면서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주요 내용 정리>
1. 세계 문화권의 지역적 구분과 특징
⑴ 세계의 문화권 구분
① 구분 기준: 하나의 문화 요소 또는 여러 문화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구분
② 세계의 문화권 구분: 북극 문화권, 유럽 문화권, 건조 문화권, 아프리카 문화권, 아시아 문화권, 아메리카 문화권, 오세아니아 문화권 등
→ 한 개의 문화권은 다시 여러 개의 지역 문화권으로 세분화 가능
⑵ 세계 문화권별 특징
① 북극 문화권: 북극해 연안 지역, 한대 기후 지역, 순록 유목과 이동 생활, 대표적 민족은 사모예드족, 라프족, 이누이트
② [ 유럽 문화권 ]: 산업 혁명의 발상지, 세계 경제의 중심지, 크리스트교 신봉, 북서 유럽·남부 유럽·동부 유럽으로 구분
③ 건조 문화권: 북부 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 지역, 건조 기후 지역, 유목 및 오아시스 농업 발달, 주로 아랍어 사용, [ 이슬람교 ] 신봉
④ 아프리카 문화권: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 열대 기후 지역, 부족 단위의 공동체 형성, 토속 신앙 발달, 일부 원주민의 원시 농업·수렵·채집 생활
⑤ 남부 아시아 문화권: [ 인도 ]와 그 주변 지역, 힌두교(인도, 네팔), 이슬람교(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불교(스리랑카) 신봉
⑥ 동남아시아 문화권: 계절풍 기후 지역, 벼농사 발달, 해양과 대륙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 동서양의 문화와 원주민 문화, 대륙 및 도서 문화의 혼재, 다양한 민족과 종교
⑦ 동아시아 문화권: 계절풍 기후 지역, [ 벼농사 ] 발달, 유교와 불교문화, 한자 문화권, 젓가락 사용
⑧ 앵글로아메리카 문화권: 리오그란데강 이북의 미국, 캐나다 지역, 주로 영어 사용, 크리스트교(개신교) 신봉, 다인종·다민족 국가, 세계 최대의 경제 지역
⑨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 리오그란데강 이남의 중남미 지역, 주로 포르투갈어와 [ 에스파냐어 ] 사용, 크리스트교(가톨릭교) 신봉, 원주민과 아프리카인, 유럽인 간의 문화 융합
⑩ 오세아니아 문화권: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태평양의 도서 지역, 주로 영어 사용, 크리스트교(개신교) 신봉, 대표적 원주민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애버리지니와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영역별 주요 내용 살펴보기
•역사: 문명의 역사, 종교의 역사, 지리상의 발견
•윤리: 보편 종교, 민족 종교
•지리: 세계의 문화권, 문화 전파, 문화 융합
<형성 평가>
1. 동아시아 문화권의 문화적 공통점은?
( 벼 농사, 유교·불교, 한자 등 )
2. 유럽 문화권의 영향을 크게 받은 문화권은?
( 오세아니아 문화권 등 )
+
1. 다음 내용을 읽고 맞으면 O표, 틀리면 X표 하시오.
⑴ 세계의 문화권은 반드시 하나의 문화 요소만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 X ]
⑵ 하나의 문화권은 다시 여러 개의 지역 문화권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 O ]
2. 빈칸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⑴ ( 북극 ) 문화권은 북극해 연안 지역으로, 원주민들이 주로 순록을 유목하며 생활한다.
⑵ 건조 문화권에 해당하는 북부 아프리카와 ( 서남 )아시아의 주민들은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다.
⑶ 동남아시아 문화권과 동아시아 문화권은 공통적으로 ( 계절풍 ) 기후 지역에 속해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3. 각 문화권의 주요 종교를 옳게 연결하시오.
⑴ 아프리카 문화권∙ ∙㉠ 불교 ⑵ 동아시아 문화권∙ ∙㉡ 토속 신앙 ⑶ 앵글로아메리카 문화권∙ ∙㉢ 크리스트교 |
( ⑴ - ㉡ ⑵ - ㉠ ⑶ - ㉢ )
4. 다음 질문을 읽고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⑴ 해양과 대륙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분포하는 문화권은?
( 동남아시아 문화권 )
⑵ 리오그란데강의 남쪽 지역으로, 포르투갈어와 에스파냐어를 주로 사용하는 문화권은?
(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 )
⑶ 주로 영어를 사용하고 크리스트교를 믿으며, 원주민인 애버리지니와 마오리족이 거주하는 문화권은?
( 오세아니아 문화권 )
2. 문화 변동과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
01 문화 변동은 어떻게 나타나는 것일까?
(교과서 204~207쪽)
│학습 목표│문화 변동의 요인을 이해하고 문화 변동의 양상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평가 계획│
•문화 변동의 요인을 이해하고, 발명과 발견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문화 접변의 의미와 다양한 문화 변동 양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모둠별로 제시된 사례의 문화 변동 양상과 다양한 문화 변동 양상의 사례를 바르게 찾았는지 평가한다.
│통합 수업을 위한 제안│
• 강화도 성공회 성당이 있는 공간적 특징, 건축된 시기의 역사적 상황, 건물의 건축 양식 등을 설명하면서 간접적인 문화 탐방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주요 내용 정리>
1. 문화 변동의 요인
⑴ 발명: 새로운 문화 요소를 만들어 내는 것
⑵ [ 발견 ]: 이미 존재하고 있지만 알려지지 않은 것을 찾아내는 것
⑶ [ 문화 전파 ]
① 의미: 한 사회가 다른 사회와 교류하거나 접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문화 요소가 전달되어 정착하는 현상
② 종류
직접 전파 | 두 문화 간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이루어지는 문화 전파 |
간접 전파 | 책, 인터넷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문화 전파 |
[자극 전파] |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새로운 문화 요소를 발명하는 것 |
⑷ 현대 사회의 문화 변동: 오늘날 교통·통신 수단의 발달로 문화 전파가 문화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
2. 문화 변동의 양상
⑴ [ 문화 접변 ]: 두 문화 체계가 장기간에 걸쳐 전면적인 접촉을 함으로써 변동이 나타나는 것
⑵ 문화 접변의 결과
문화 병존 | 한 사회 내에서 기존 문화와 외래문화가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함께 존재하는 것 |
[문화 동화] | • 기존의 문화가 외부에서 들어온 문화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는 것 •기존 문화의 정체성 상실을 가져올 수 있음. |
문화 융합 | 기존의 두 문화 요소와 성격이 다른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것 |
영역별 주요 내용 살펴보기
•사회·문화: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
•지리: 지역 간 문화 전파
<형성 평가>
1. 문화 변동의 요인 세 가지는?
( 발명, 발견, 문화 전파 )
2. 기존의 두 문화 요소와 성격이 다른 새로운 문화가 등장하는 문화 접변 양상은?
( 문화 융합 )
+
1. 다음 괄호 안의 내용 중 알맞은 말에 ○표 하시오.
⑴ 문화 변동의 요인 중 새로운 문화 요소를 만들어 내는 것을 ( 발명, 발견 )이라고 한다.
⑵ 두 문화 간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이루어지는 문화 전파를 ( 직접 전파, 자극 전파 )라고 한다.
⑶ 책, 인터넷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문화 전파를 ( 간접 전파, 자극 전파 )라고 한다.
2. 다음 글의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한 사회가 다른 사회와 교류하거나 접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문화 요소가 전달되어 정착하는 현상을 ( )라고 한다. 오늘날에는 교통·통신 수단이 빠른 속도로 발달하면서 ( )가 문화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 문화 전파 ]
3. 다음 설명이 맞으면 ○표, 틀리면 ×표 하시오.
⑴ 문화 동화는 외래문화의 유입 결과, 기존의 문화가 외래문화에 흡수되어 해체되거나 소멸되기 때문에 기존 문화의 정체성 상실을 가져올 수 있다.[ O ]
⑵ 동양의 건축 양식과 서양의 건축 양식 및 종교 사상이 결합된 강화도 성공회 성당은 문화 병존의 사례로 볼 수 있다. [ X ]
4. 문화 접변의 양상과 그 내용을 옳게 연결하시오.
⑴ 문화 병존 • ⑵ 문화 동화 • ⑶ 문화 융합 • |
• ㉠ 기존의 두 문화 요소와 성격이 다른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것 • ㉡ 기존의 문화가 외부에서 들어온 문화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는 것 • ㉢ 한 사회 내에서 기존 문화와 외래문화가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함께 존재하는 것 |
[ ⑴ ㉢ ⑵ ㉡ ⑶ ㉠ ]
02 현대 사회에서 전통문화가 갖는 의의
(교과서 208~211쪽)
│학습 목표│전통문화의 의의를 알고,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평가 계획│
•전통문화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우리 전통문화의 종류를 파악하고,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제시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위해 학생들이 직접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모으고 계승 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통합 수업을 위한 제안│
•우리 전통문화를 분석할 때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서 우수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 방안을 마련할 때 상품 선정, 제안서의 형태, 발표 방식 등에서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주요 내용 정리>
1. 전통문화의 중요성
⑴ [ 전통문화 ]의 의미: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오랜 시간 동안 이어온 생활 양식
⑵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① [ 물질문화 ]: 한복, 김치와 불고기, 한옥과 온돌 등
② [ 관념 문화 ]: 한글, 협동 정신, 예와 효를 중시하는 문화 등
⑶ 전통문화의 중요성
① 사회 통합에 기여함.
② 사회 구성원 간에 유대를 강화함.
③ 사회 구성원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킴.
④ 대외적으로 국가의 이미지를 높이고 부가 가치가 높은 문화 산업 육성에 기여함.
2.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발전
⑴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방안
① 우리 문화에 관심을 갖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우리 문화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찾아야 함.
② 다른 나라의 문화 요소를 비판적으로 수용함.
⑵ 전통문화의 [ 세계화 ]
① 전통문화를 현대 사회에 맞게 계승하여 세계 문화와 적극적으로 교류해 나가야 함.
② 세계의 문화를 다양하게 하고 인류의 문화 발전에 기여함
영역별 주요 내용 살펴보기
•윤리: 한국 윤리 사상
<형성 평가>
1. 한 사회에서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어 온 생활 양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전통문화 )
2.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한다는 것은 우리 고유 전통 문화의 정체성을 그대로 지켜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 ○, × )
+
1. 빈칸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문화는 끊임없이 변화의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환경과 시대의 변화에도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오랜 시간 동안 이어온 생활 양식이 있는데 이를 ( )라고 한다. |
( 전통문화 )
2.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중 물질문화와 관념 문화의 사례를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보기> ㄱ. 한복 ㄴ. 불고기 ㄷ. 한글 ㄹ. 협동 정신 ㅁ. 온돌 ㅂ. 한옥 |
⑴ 물질문화: [ ㄱ, ㄴ, ㅁ, ㅂ ]
⑵ 관념 문화: [ ㄷ, ㄹ ]
3. 전통문화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골라 쓰시오.
<보기> ㄱ. 사회 구성원 간 유대를 약화시킨다. ㄴ. 대외적으로 국가의 이미지를 높인다. ㄷ. 사회 구성원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킨다. ㄹ. 고유의 생활 양식을 강조하여 문화 산업 육성을 저해한다. |
( ㄴ, ㄷ )
4. 다음 설명이 맞으면 ○표, 틀리면 ×표 하시오.
⑴ 전통문화를 계승하려면 우리 문화에 관심을 갖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우리 문화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찾아야 한다. [ ○ ]
⑵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한다는 것은 전통문화를 있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 X ]
⑶ 전통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을 확산시켜 인류의 문화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 ○ ]
3. 문화 상대주의와 보편 윤리적 성찰
4. 다문화 사회와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