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語文會 주관 . 韓國漢字能力檢定會 시행 第61回 全國漢字能力檢定試驗 特級[국가공인] 問題紙
特級 200 문항 / 100분 시험 / 시험일자 : 2013. 05. 25.
* 성명과 수험번호를 쓰고 문제지와 답안지는 함께 제출하시오.
성명( ), 수험번호 □□□-□□-□□□□
[問 1-45] 다음 제시한 漢字語의 讀音을 쓰시오.
○ 스승께서는 偲偲[1], 訐揚[2], 訔訔[3]을 삼가고, 顒顒[4]을 지키며 袢燠[5]을 조심하도록 하고 訾(訿)毁[6]를 경계하라고 하셨다.
○ 경사스러운 날에는 사람들이 赭面[7]이 되도록 傞傞[8]하거나 緦麻[9]를 피한다.
○ 鏘鏘[10]과 鎛磬[11]을 들으며 埤堄[12]를 넘어 闚閾[13]을 거쳐 궁 안에 들어가니 黻冕[14]을 係緤.[15]하고 갓끈을 緌緌[16]한 벼슬아치들이 오락가락하며 隩室[17]에서 靚粧[18]하던 나인들이 뛰어 나왔다.
○ 그는 密諗[19]을 달게 받아들이는 쪽이지만 직원 가운데에는 憸佞[20]하는 이는 많고 肫肫[21]하는 이는 이가 적다고 齎(賫)咨[22]한다.
○ 무장 기마대에는 驈馬[23], 騂馬[24],驕騧.[25]들이 駪駪[26]하고 俁俁[27]한 기마병들이 徭役[28]에 출발하려고 대기하고 있었다. 그 중에는 犉牡[29]같은 말을 탄 이도 있었다.
○ 큰 강에는 강물이 汩流[30]하고 鰋魚[31]가 헤엄치며 놀란 새가 鴥飛[32]한다.
○ 가는 길에 臲卼[33]을 극복하고 覿面[34]만 보지 말고 전진하다.
○ 수십 년 전만 해도 秧揷(歃)[35]농업 이외에도 桑柘[36]를 심어 잠업을 하며 蒐田[37]하는 농가가 많았다.
○ 棖棖[38] 소리가 들려서 달려가 보니 棕(椶)櫚[39] 나무 밑에 簟褥[40]을 깔고 篪器[41]를 잘 다루던 耋老[42]가 있었다.
○ 牂羊[43]을 戕害[44]하고 그 고기를 象筯[45]로 먹는 사냥꾼이 있다.
[問 46-85] 다음 밑줄 친 漢字語의 漢字를 正字로 쓰시오.
○ 그는 사장의 고굉[46] 신하처럼 충성을 다 했지만 남을 긍휼[47]히 여길 줄 모르고 만사에 인색[48]한 데다가 공금을 탕갈[49]하여 견책[50] 끝에 도태[51]되고 말았다.
○ 근래에는 황혼 이혼으로 평생 형극[52]의 길을 함께 해 온 조강[53]지처를 배신하는 패륜[54]아가 늘었다.
○ 그의 고질[55]인 지루한 강연에 청중이 권태[56]와 곤비[57]를 느낄
정도였다.
○ 지구상에는 아직도 가혹[58]하게 인권을 유린[59]하고 백성을 도륙[60]하다시피 하는 독재자가 있다.
○ 오늘날에는 대국의 교활[61]한 비호[62] 아래 비열[63]하게 연명하는 정권이 있다.
○ 옛날에는 영토 팽창[64]과 팽배[65]만을 추구해오던 대국들의 기반[66, 굴레]과 질곡[67]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다.
○ 선거철이 되면 상대방을 무고[68]하고 비방[69]하는 타매[70, 침을 뱉고 욕함]할만한 추태가 지난번 선거 때를 능가[71]하고 있다.
○ 하천의 와력(륵)[72]처럼 많은 입후보들이 범람[73]하고 자칭 경륜가[74]라는 이들이 발호[75]하고 있다.
○ 명배우를 방불[76]케 할 정도로 만인의 갈채[77] 속에 등장한 그가 기대 이하의 연기로 관객의 기소[78, 비웃음]를 사고 말았다.
○ 전간[79]을 앓는 이는 관개[80]용수로의 구거[81]에도 전락을 조심해야 한다.
○ 일제 강점기의 착취[82]와 속박[83] 아래서 신음[84]하던 시절을 우리는 몽매[85]에도 잊어서는 안된다.
[問 86-112] 다음 漢字의 訓과 音을 쓰시오.
[ 86] 墍 [ 87] 俾 [ 88] 熠 [ 89] 掾 [ 90] 軏 [ 91] 敔
[ 92] 柞 [ 93] 僤 [ 94] 瓓 [ 95] 晛 [ 96] 諴 [ 97] 炰
[ 98] 盥 [ 99] 囂 [100] 睆 [101] 扞 [102] 渝 [103] 奘
[104] 怲 [105] 杠 [106] 徂 [107] 嗑 [108] 恊 [109] 脢
[110] 譸 [111] 瑱 [112] 彘
[問 113-117] 다음 漢字語의 뜻을 쓰시오.
[113] 虹霓
[114] 霢霖
[115] 帨鞶
[116] 襁褓
[117] 臝襢
[問 118-127] 다음 ( ) 속에 漢字를 써 넣어 四字成語를 完成하시오.
[118] ( )龍得水
[119] 朽木( )牆
[120] 絡( )不絶
[121] 陋巷( )瓢
[122] 白( )過隙
[123] 上下( )石
[124] 舌( )於劍
[125] 十( )九倒
[126] ( )耳盜鈴
[127] 長頸烏( )
[問 128-137] 다음 漢字語의 類義語를 漢字로 쓰되, 제시한 글자를 다시 쓰지 마시오.
[128] 冊匣 - ( )( )
[129] 瘥度 - ( )( )
[130] 稱觥 - ( )( )
[131] 拓本 - ( )( )
[132] 資賄 - ( )( )
[133] 興亡 - ( )( )
[134] 蓼廓 - ( )( )
[135] 咸池 - ( )( )
[136] 解冤 - ( )( )
[137] 天地 - ( )( )
[問 138-147] 다음 漢字語의 反義語(相對語)를 漢字로 쓰되, 제시한 글자를 다시 쓰지 마시오.
[138] 奢侈 ↔ ( )( )
[139] 懶惰 ↔ ( )( )
[140] 獨占 ↔ ( )( )
[141] 先祖 ↔ ( )( )
[142] 親近 ↔ ( )( )
[143] 榮光 ↔ ( )( )
[144] 迎接 ↔ ( )( )
[145] 利己 ↔ ( )( )
[146] 持續 ↔ ( )( )
[147] 親家 ↔ ( )( )
[問 148-157] 다음 漢字의 部首를 쓰시오.
[148] 蝥 [149] 蒿 [150] 彝
[151] 殍 [152] 潝 [153] 雎
[154] 惛 [155] 盪 [156] 悵
[157] 輊
[問 158-167] 다음 각항의 漢字語들 중 첫 음절이 長音인 것을 골라 그 기호(①-④)를 쓰시오.
[158] ① 自酌 ② 子爵 ③ 雌雄 ④ 刺字
[159] ① 粘性 ② 占術 ③ 漸進 ④ 鮎魚
[160] ① 節孝 ② 典讀 ③ 絶筆 ④ 折衷
[161] ① 借得 ② 車輛 ③ 蹉跌 ④ 次上
[162] ① 沈靜 ② 鍼灸 ③ 針匠 ④ 浸蝕
[163] ① 舵輪 ② .魚 ③ 妥當 ④ 他黨
[164] ① 波長 ② 罷場 ③ 頗行 ④ 爬.
[165] ① 飽和 ② 派出 ③ 浦口 ④ 泡沫
[166] ① 寒流 ② 閑談 ③ 許諾 ④ 限定
[167] ① 胡弓 ② 狐. ③ 浩氣 ④ 糊口
[問 168-170] 다음 漢字의 略字를 쓰시오.
[168] 歐
[169] 盡
[170] 鐵
[問 171-180] 다음 제시된 내용에 맞게 同音異義語(漢字語)를 쓰시오. [171] 澗溪 : 간사 한 꾀
[172] 祈求 : 산길이 험함
[173] .宸 : 몸의 영양을 보충함
[174] .苗 : 종묘나 사당에 배알함
[175] 齋壇 : 마름질
[176] 天桃 : 도읍을 옮김
[177] 哺育 : 얇게 저미어서 양념을 하여 말린 고기
[178] 壺觴 : 복을 누리고 오래 산 사람의 상사
[179] 飯店 : 동식물 몸에 박혀 있는 얼룩얼룩한 점
[180] 騷擾 :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問 181-200] 다음 漢文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子夏問孝 子曰 色難① 有事 弟子②服其勞③ 有酒食④ 先生⑤ 饌⑥ 曾⑦ 是以爲孝乎
[181] 色難①의 뜻은?
[182] 이 글에서 弟子②의 뜻은?
[183] 服其勞③의 뜻은?
[184] 酒食④의 뜻은?
[185] 이 글에서 先生⑤의 뜻은?
[186] 이 글에서 饌⑥의 뜻은?
[187] 이 글에서 曾⑦의 뜻은?
○ 子曰 學而不思則罔① 思而不學則殆②
[188] 이 글에서 罔①의 뜻은?
[189] 이 글에서 殆②의 뜻은?
○ 又逐①而炤之② 因而有孕③ 生一卵大如五升許④ 王棄之 與⑤犬豕 皆不食 又棄之路中 牛馬避之 後棄之野 鳥覆翼之⑥ 王欲剖之 不能破 遂還其母 以物裹之⑦ 置於暖處 有一男兒 破殼而出 骨表英奇⑧ 年甫⑨七歲 嶷(薿)然⑩異常 自弓矢射之 百發百中 扶餘俗語 善射爲朱蒙⑪故以名云
[190] 逐①의 뜻은?
[191] 炤之②의 뜻은?
[192] 有孕③의 뜻은?
[193] 五升許④의 뜻은?
[194] 이 글에서 與⑤의 뜻은?
[195] 覆翼之⑥의 뜻은?
[196] 裹之⑦의 뜻은?
[197] 骨表英奇⑧의 뜻은?
[198] 年甫⑨의 뜻은?
[199] 嶷然⑩의 뜻은?
[200] 善射爲朱蒙⑪의 뜻을 쓰시오.
정답과 해설
[1-45]
1. 시시 2. 알양 3. 은은 4. 옹옹 5. 번욱 6. 자훼 7. 자면 8. 사사 9. 시마 10. 장장 11. 박경 12. 비예 13. 규역 14. 불면 15. 계설 16. 17. 유유 17. 욱실(燠室, 따듯한 방. 어문회 정답은 오실) 18. 정장 19. 밀심 20. 섬녕(험녕, 첨녕) 21. 순순 22. 재자(제자) 23. 율마(술마) 24. 성마 25 교왜(괘/와/과) 26. 신신 27. 우우 28. 요역 29. 순모 30. 율류 31. 언어 32, 율비 33. 얼올(얼울) 34 적면(척면) 35. 앙삽 36. 상저 37. 수전 38. 정정 39. 종려 40. 점욕 41. 지기 42. 질로 43. 장양 44. 장해 45. 상저
[46-85]
46. 股肱 47. 矜恤 48. 吝嗇(悋嗇, 恡嗇) 49. 蕩竭 50. 譴責 51 淘汰(陶汰)
52. 荊棘 53. 糟糠 54. 悖倫 55. 痼疾 56. 倦怠(勌怠, 劵怠) 57. 困憊 58. 苛酷 59. 蹂躪(蹂躙, 蹂蹸) 60. 屠戮 61. 狡猾 62. 庇護 63. 鄙劣(卑劣) 64. 膨脹 65. 澎湃(彭湃, 砰湃) 66. 羈絆(覊絆) 67. 桎梏 68. 誣告 69. 誹謗 70. 唾罵 71. 凌駕 72. 瓦礫 73. 氾濫(汎濫) 74. 經綸家 75. 跋扈 76. 彷彿(髣髴)
77. 喝采 78. 譏笑 79. 癲癎 80. 灌漑 81. 溝渠 82. 搾取 83. 束縛 84. 呻吟 85. 夢寐
[86-112]
86. 매질할(흙바를) 기 87. 하여금 비, 좇을 비 88. 빛날 습 89. 아전 연 90. 끌채끝(멍에막이) 월 91, 막을 어, 악기이름 어 92 1. ① 조롱나무 작 ② 떡갈나무 작 2. ① 발매(벌목)할 책 ② 좁을 책 93. 드터울 탄, 빠를 탄 94. 옥무늬(옥빛) 란 95. 햇빛 현 96. 화할 함 97. 통째로 구울 포 98. 대야 관, (낯)씻을 관. 雞初鳴, 咸盥漱(계초명, 함관수)(예기) 99. 들렐 효 100. 밝을 환(睆, 皖) 101. 막을 한 102. 변할 투 103. 클 장 104. 근심할 병 105. 다리 강, 깃대 강 106. 갈 조 107. 입다물 합 108. 으를 협, 화할 협 109. 등심 매 110. 속일 주 111. 귀막이 옥 진 112. 돼지 체
[113-117]
113. 무지개(虹霓, 虹蜺[홍예]. 螮蝀[蝃蝀, 체동], 虹彩[홍채], 天弓, 帝弓) 114. 이슬비 115. 허리에 차는 수건 116. 포대기(襁褓, 繈緥) 117 알몸, 옷을 벗음
[118-127}
118. 蛟 119. 糞 120. 繹 121. 簞 122. 駒
123. 撐(撑) 124. 芒 125. 顚 126. 掩 127. 喙
[118] 蛟龍得水(교룡득수) 영웅이 때를 만나면 대업을 이룬다. 蛟龍得雲雨(교룡득운우)
[119] 朽木糞牆(후목분장)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부패한 담은 칠할 수 없다. 마음이 썩어 배우고자 하는 뜻이 없는 사람은 가르칠 수 없다. 인도(人道)가 퇴폐해진 난세. 朽木糞土(후목분토)
[참고] 朽條腐索(후조부삭) 썩은 끈과 새끼. 무용지물
[120] 絡繹不絶(낙역부절) 왕래가 끊이지 않음. 連絡不絶(연락부절)
[121] 陋巷簞瓢(누항단표) 누항(누추하고 좁은 거리)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 선비의 청빈한 생활.
[참고]
簞食豆羹(단사두갱) 도시락밥과 제기에 담은 국. 소박한 음식물.
簞食瓢飮(단사표음) 도시락방과 표주박의 물. 변변치 않은 음식. 청빈한 생활.
簞食壺漿(단사호장) 도시띿밥과 병에 담은 음료수. 거친 음식. 백성이 군사를 호궤함.
[122] 白駒過隙(백구과극) 흰 망아지가 달린는 것을 문틈으로 본다. 세월이 대단히 빠름. 隙駒光陰(극구광음) 光陰如箭(광음여전). 光陰如流(광음여류). 石光光陰(석광광음). 駒隙(구극)
[123] 上下撐石(상하택석)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 上石下臺(상석하대). 下石上臺(하석상대). 凍足放尿(동족방뇨). 臨時方便(임시방편). 臨時變通(임시변통). 姑息之計(고식지계). 彌縫策(미봉책)
[124] 舌尖於劍(설첨어검) 혀는 칼보다 날카롭다. 논봉(論鋒)이 날카로움. 舌芒宇劍(설망우검)
[125] 十顚九倒(십전구도) 열 번 엎어지고 아홉 번 거꾸러 진다. 거듭되는 실패와 고통(고초). 七顚八倒(칠전팔도)
[126] 掩耳盜鈴(엄이도령) 귀를 가리고 방울을 훔친다. 나쁜 짓을 하고 그것그것을 생각하지 않으려 한다. 掩耳盜鐘(엄이도종). 揜耳偸鈴(엄이투령)
[참고] 掩目捕雀(엄목포작)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 자기 자신을 기만.
掩卷輒忘(엄권첨망) 책을 덮으면 바로 잊어버린다. 기억력 부족.
[127] 長頸烏喙(장경오훼) 긴 목과 뾰쪽한 잎. 艱難 (간난, 어려움)은 할 수 있으나 즐거움을 할 수 없는 인물.
[128-137]
128. 書帙 129. 差效 130. 獻壽 131. 碑帖(榻本/拓本) 132. 婚需/寶物[嫁資, 嫁裝. 嫁匳) 133. 盛衰/隆替 134. 虛空 135. 昧谷/隅谷, 虞淵 136. 雪憤 137. 堪輿/乾坤/覆載
[138-147]
138. 儉素 139. 勤勉 140. 均霑 141. 後裔 142. 疎遠(疏遠) 143. 羞恥 144 餞送/贐送/折柳 145. 犧牲 146. 間歇 147. 媤宅
[148-157]
148. 虫 149. 艸(艹) 150. 彐(⺕, 彑) 151. 歹 152. 水(氵) 153. 目 154. 心(忄) 155. 皿 156. 心(忄) 157. 車
[158-167]
158. ④ 刺字 159. ③ 漸進 160. ② 典讀 161. ① 借得 162. ④ 浸蝕 163. ③ 妥當 164 ② 罷場 165. ① 飽和 166. ④ 限定 167. ③ 浩氣
[168-170]
168. 歐 169. 尽/𥁞 170. 鉄
[171-180]
171. 奸計 172. 崎嶇 173. 補身 174. 謁廟 175. 裁斷
176. 遷都 177. 脯肉 178. 好喪 179. 斑點 180. 逍遙
[181-200]
181. 和氣 띤 얼굴이 어렵다. 자식이 항상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기기 어렵다.
182. 나이 젊은이, 나이 어린 사람, 연소자
183. 대신 그 일을 해드리다(服 행할 복)
184. 술과 밥(饎)
185. 먼저 태어난 이(연장자, 먼저 태어난 사람)
186. 식사를 (차려 내어) 먼저 들게 하다(饌 차려낼 찬, 음식 찬)
187. 곧(이에)
188. 사리에 어둡다
189. 위태롭다
190. 그를 따라가다
191. 햇볕에 비추다
192. 아이를 배다, 잉태하다. 회임하다.
193. 닷 되들이 만한
194. ~에게 주다
195. 날개로 덮다
196. 이를 싸다
197. 골격이 준수하다. 기골이 장대하다
198. 나이
199. 남달리 뛰어나다, 아주 뛰어나다
200. 활 잘 쏘는 이를 주몽이라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