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3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 11월 금융권 가계대출 6.5조↑..은행 주담대 증가 '올해 최대'...은행 주담대 4.9조원 증가.."안심대출 효과, 3조1000억원 추산"...2금융권 가계대출 4천억원 감소..안심대출 1금융권 전환 주된 요인
☞ 실손보험료 인상률 내년 두자릿수 불가피...공사보험정책協 권고안 발표...비급여 항목 늘며 손해율 129%...보험업계 "20% 가량 올려야"
☞ 동남아 단체관광객 내륙 무비자 입국 가능해진다...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 단체관광객...제주도 입국 전 내륙서 무비자 체류 가능...불법체류자 증가 우려도 커져
☞ 경총·현대硏 공동 "일본과 분업비중 80%…갈등 생기면 피해 클 것"...석유, 화학, 철강, 전자 등 주력산업서...일본과 함께 만드는 비중 최고 87%..."모든 제품 국산화는 비현실적"
☞ 정년연장 부메랑…조기퇴직↑·청년채용↓...2016년 `60세 정년` 도입 후...年평균 조기퇴직자 14만명↑...기업 인건비 부담 급증한탓...신규채용 관문도 더 좁아져...20대 실업자도 7만명 `껑충`..."日처럼 직무급제 도입해야"
《금 융》
☞"동남아도 이미 레드오션…카드사, 수요 높은 '제3국' 노려야"...12일 한국신용카드학회 정기 학술대회...서지용 교수 "폴란드·카자흐 등 동유럽 유망"...박지홍 연구원 "비용 최적화·글로벌 확대 필요"
☞코스피 200 편입요건 완화…지수 변경 연 1회→2회...산업군별 누적 시총비중 80%→85% 이내 종목 선정...코스닥 150 기술주-비기술주 구분 폐지
☞경기부진에...210개 기업 구조조정 수술대 올린다, 작년 대비 10.5%↑...금감원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대기업 1곳 줄었지만 중기 20개 늘어 전체의 96%...기계장비, 부동산, 車 부품 부실화 속도 가팔라
☞"주택연금 가입자, 한계소비성향 높아...소비 증가로 이어져"...주택연금 한계소비성향 0.96...공적연금 한계소비성향 0.76...소득대체율도 주택연금이 높아
☞코스피 1.5%↑ 2130선 회복…"美파월 발언 호재"...코스피 1.51% 오른 2137.35, 코스닥 1.24% 오른 636.94...달러/원 환율 7.9원 내린 1186.8원
《기 업》
☞ 삼성전기, 고부가 `전장 MLCC`로 실적 반전 노린다...연내 車전장용 신원료동 준공...내년 中톈진공장과 함께 가동...5G폰 출시로 MLCC값 오르고...AI로 품질검사해 경쟁력 높여
☞ 위워크 랩스, "위코드·스트릭 등 소속 기업 빠르게 성장"...부산은행·맥도날드·삼일PwC 등과 협업 진행...소속사들 해외진출 등 지원 받아 가파른 성장
☞ 한온시스템, 헝가리를 유럽 車부품 허브로...현지 3공장 내년 상반기 가동...냉매 운반 시스템 생산 예정...알바 컴프레서 공장도 증설...2022년 年생산량 220만대로
☞ 투자금 깎인 무신사...플랫폼시장 조정 오나...글로벌VC 세쿼이아캐피탈차이나...2,000억 투자계획 1,900억으로...기업가치도 20억弗서 19억弗로...소프트뱅크의 우버 투자 실패 등...플랫폼 스타트업 우려 반영된듯
☞ 삼성, 中시안에 80억弗 추가투자…현지 낸드시장 공략 속도낸다...4차산업혁명發 수요대비...3차원 V낸드 내년 양산할듯...사측 "수요따라 탄력적 운용"
《부 동 산》
☞ 주택청약시장 대혼란 오나...결제원 1월부터 신규모집 중단...2월 감정원에 업무 이관 앞두고...법안통과 늦어 청약일정 안갯속
☞ 대입제도 개편 발표후 강남·목동 집값 치솟아...학군 수요에 전세가도 급등...서울 집값 24주 연속 상승...내주 고강도 대책 `만지작`
☞ 해 넘기는 내력벽 철거기준, 멈춰선 수직증축...국토부, 3월→연말 연기했지만...건기硏 실증실험 연구 안끝나...내년초에나 허용 기준 결정...수직증축 리모델링 추진 단지...사업 전면보류·파열음 잇따라
☞ 과열된 강남·목동…학군은 전셋값, 재건축은 집값 밀어올려...서울 아파트값 24주 연속 상승…시중 유동성 몰려들어...학군 수요·재건축 기대감에...일반고 전환 대입 개편 겹쳐...서울 전셋값 1주새 0.14% 상승...양천구 아파트값 최대폭 상승...강남 4구도 상승폭 점차 키워...매매-전세가격 연쇄적 상승
☞ 내년 3월엔 일몰제...38곳 더 사라질 판...정비구역 해제...25만가구 날린 서울시...연장 신청해도 市 거부 가능성 커...해제땐 난개발·방치 등 문제 발생
《사 회 유 통》
☞ 관공서도 제로페이 외면…서울시는 직원 표창...경찰·세무서 고작 4곳 설치...구청서도 사용할때 제한적...법원·검찰청 아예 사용못해...市, 홍보예산만 2년간 100억...일각선 "세금낭비" 지적도
☞ 大入 정시 확대에...더 뚜렷해진 '자사고 서열화'...내년도 입학 원서접수 마감...학령인구 감소·일반고 전환 불구 하나고 2.7대1·김천고 2대1 경쟁률...수능 강한 전국단위 학교 인기상승...서울 지역단위 일부 학교선 미달...이달말 마지막 관문 면접전형 남아 기출문제 확인하고 자소서 점검을
☞ 청량리는 `랜드마크 도서관`…영등포엔 `제2 세종문화회관`...서울시 문화시설 계획 발표...3878억원 투입, 2025년 개관
☞ '영아 학대' 금천구 아이돌보미, 2심서 집유 석방…"자숙했을 것"...하루 10차례 이상 학대한 장면 CCTV에 담겨...1심서 징역 1년 선고됐지만 2심서 판겨 뒤집혀...法 "피고인, 구속 상태서 충분히 자숙했을 것"
☞ 검찰, '유재수 감찰무마 의혹' 조국 소환일정 조율 중...당시 감찰라인 총책임자…출석시 '자기방어' 위해 입 열 가능성도...백원우 "조국·박형철과 '유재수 회의'는 감찰 종료 이후 한 것…감찰무마 아니다"
《국 제》
☞되레 중·러 타박만 들었다···대북 '유엔 제재' 카드 잃은 트럼프...안보리 미사일 회의서 美 "안보리가 행동해야"...중·러 대사 "제재 완화로 북한 진전 유도해야"...전문가 "金, 1단계로 위성 발사해 반응 잴 것"..."대선 앞둔 트럼프 양보도 힘들어 말 폭탄 뿐"
☞'16세 환경 운동가' 툰베리, 타임 '최연소' 올해의 인물..."막연한 기후 불안을 전 세계적 변화 움직임으로 탈바꿈"..."평범한 10대 소녀에서 세대의 아이콘으로"...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인물' 가운데 가장 어려
☞이스라엘서 최초로 1년새 3차례 총선…4월, 9월 선거서 모두 연정구성 실패...의회 연정구성 시한 지나…내년 3월 총선 합의 후 해산...비리 혐의 기소 네타냐후 신변 변화가 다음 총선 최대 변수...잇단 연정실패에 정치 파행 장기화...집권 리쿠드당은 대표 경선 치를 듯
☞"객실 성매매 알고도 외면했다"…유명 호텔업체들 미국서 피소...힐튼·인터컨티넨탈·베스트웨스턴·윈덤 등 글로벌 호텔체인 포함..."성매매 피해자에 아동도 포함…호텔 내 억류당해 폭행까지 당했다"
☞영국 총선 시작…'1월 브렉시트' 운명 가른다...눈비 예고 속 4000여개 투표소에서 투표 개시...존슨 "1월 브렉시트" vs 코빈 "제2차 국민투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