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1.은 이산화탄소만을 생각한것 아닌가요? 보어효과란 쉽게 활동을 많이 하면 이산화탄소가 많아지고 체온이 올라가며, 젖산이 많아져서 산성이 되므로 산소의 해리가 많아진다 즉 산소 해리를 시키는 환경이 보어효과가 아닌가요?
1. pH가 낮아질 때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력이 약해져 해리되는 효과입니다. 그 원인으로는 탄산과 젖산 등이 있겠습니다.
2. 보어효과랑은 좀 다른 거 같은데 이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의 산소결합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산소해리를 촉진하기도 합니다. 일종의 allosteric effect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첫댓글 1.은 이산화탄소만을 생각한것 아닌가요? 보어효과란 쉽게 활동을 많이 하면 이산화탄소가 많아지고 체온이 올라가며, 젖산이 많아져서 산성이 되므로 산소의 해리가 많아진다 즉 산소 해리를 시키는 환경이 보어효과가 아닌가요?
1. pH가 낮아질 때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력이 약해져 해리되는 효과입니다. 그 원인으로는 탄산과 젖산 등이 있겠습니다.
2. 보어효과랑은 좀 다른 거 같은데 이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의 산소결합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산소해리를 촉진하기도 합니다. 일종의 allosteric effect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