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소크라테스식 질문법과 길잡이식 발견법
소크라테스식 질문법은 내담자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부분을 스스로 탐색하고 검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질문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길잡이식 발견법은 소크라테스식 질문법을 사용해서 내담자가 특정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파악하지 못했던 측면을 발견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Beck 박사 역시 소크라테스 처럼 질문을 해서 내담자가 스스로 깨닫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내담자 스스로 찾아낼수 있도록 상담자는 옆에서 산파 역할만 하는 것이다. 좋은 소크라테스 질문은
1) 내담자가 알고 있어서 대답할수 있는 질문을 해야 한다.
2) 논의 되고 있늦 주제와 관련이 있찌만 현재 관심 밖에 있어 자가갛고 있지 않은 정보에 대해 내담자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질문이 좋은 질문이다.
3) 구체적인 정보에서 점차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정보로 옳아가는 질문이다.
4) 그 상황에 돌아간다면 스스로에게 뭐라고 말씀하시겠어요?
내담자의 생각을 바꾸는 것과 내담자의 생각의 오류를 같이 찾아내야 한다.
3. 길잡이식 발견법
길잡이식 발견법은 다음과 같은 네 간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단계 내담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질문을 하라... 사회불안이 심한 사람이 모임에서 불안해 했다고 할때 모임 내내 불안했는지, 모임 중반 이후에도 불안했는지, 중간중간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할때 어땠는지 등을 묻는 구체적인 질문을 던져 봄으로써 내담자의 불안이 계속 이어지지는 않았다는 점을 부각시키룻 있따.
제 2단계 경청하라...
제 3단계 요약하라.
제 4단계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질문을 하라...
상황=> 상황에 대한 관점이나 해석의 검토 => 요약 까지 했다면 마지막 단계에서 내담자의 생각과 기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도록 해야한다.
다음은 Padesky(1993)에 나온 대화 축어록으로서,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길잡이식 발견과정이 어떻게 전개되어 나아가는지를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내 : 전 모든 면에서 완전히 실패했어요.. 저는 망했어요..
상 : 망했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요? (내담자의 말의 구체적인 의미를 물어보는 좋은 질문)
내 : 저는 제 인생을 완전히 망치고 있어요... 제대로 된 일을 해 놓은 게 하나도 없어요
상 : 이런 결론을 내리게 도리 만한 일이 최근에 일어났었나요? 아니면 이렇게 생각하신지 오래되셨나요?
내 : 제 생각에는 요즘 제 자신을 좀더 분명하게 알게 된 것 같아요
상 : 그럼 요즘에 생각이 좀 바뀌신 건가요 ?
내 : 네 최근 모임을 갔었는데... 동생하고 제수씨하고 조카들도 왔었어요... 그집은 모두 행복해 보이더라고요...그때 우리집은
저렇게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어요...그런데 그건 다 제 잘못이에요...제가 우울해서 그런거예요...우리가족들이 그 집에 산다면 훨씬 더 나았을 거예요.
상 : 00씨가 자신의 가족을 잘 돌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들이 충분히 행복할수 없고 그래서 자신이 완전히 실패했다고 되셔꾼요(좋은 요약)
내 :맞아요
상 : 최근 이렇게 생각이 바뀌셨다고 말씀하셨는데.. 지금까지 몇번 우울한 적이 있으셨잖아요...그때도 동생 가족들을 만났을텐데
예전에는 어떤 생각들이 드셨나요?
내 : 이전에는 제가 좋은 남편과 아빠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름 괜찮다고 생각했어요...그러네 지금은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상: 제가 정확하게 이해가 잘 안돼서 그러는데, 어떤 점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이 드시나요?( 내담자의 이런 판단의 근거가 되는 증거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좋은 질문임)-소크라테스식 질문이 길잡이식 발견으로 나아가는 과정
내 : 제가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제 가족들은 다른 사람들과 있을때 만큼 행복하지 않을거예요
상 : 지금 하신 말씀은 가족분들이 하신 말씀인가요(상담자가 다른 의견을 섣불리 말하기보다 실제 데이타를 구하는 좋은 질문임)
내 : 아니요. 그렇지만 저는 제 조카들이 얼마나 행복해 하는지를 봤잖아요
상 : 그리고 00씨 자녀분들이 좀 더 행복하기를 바라시구요.,.
내 : 네
상 : 000씨 생각에 내가 점 더 우울했거나 좀더 좋은 아빠였다면 어떤 다른 것들을 할수 있었을까요?( 길집이식 발견이 내담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동력이 되느게 만드는 좋은 질문임)
내 : 제 생각에 좀더 애들하고 애기를 나누고, 좀 더 웃고, 좀더 격려해 줬을 겁니다. 제 동생이 하고 있는 것처럼요..
상 : 지금 말씀하신 것들을 우울하실때도 할수 있는 것들인가요?
내 : 음...네 아마 할수 있을 것 같아요
상 :그게 기분을 좀 더 나아지게 할까요? 지금까지 똑같은 것들을 하는 것보다 아빠로서 좀 다른 것들을 해보는 것이요?
내 : 네 그럴것 같아요... 그렇지만 제가 우울할때 그렇게 하는 걸로 애들이 충분히 행복해 할지는 모르겠어요...
상 : 어떻게 하면 그걸 알수 있을까요 ? (상담자가 직접 대답해 주기보다 내담자가 직접생각해보게 만든 좋은 질문임)
내 : 얼마간 일주일 정도라면 해보면 알수 있을 것 같아요
상 : 이러한 변화가 아이들을 좀더 행복하게 해줬느지 아닌지 어떻게 확니할수 있을까요(행동의 결과를 확인할수 있도록 구체화시키는 아주 중요한 질문임)
이 대화를 살펴보면 상담자가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내담자의 새악을 바꾸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내담자의 생각의 ㅇ녀쇄를 좇아가면서 내담자가 어떤 관점으로 상황을 바라보는지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그 상황이 바뀔 수 있는지 대화를 이끌어가고 있다. 즉 나는 실패한 아빠다..라고 결론 내린 것이 잘못된 성급한 생각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수정하는데 매달리지 않고, 내담자의 진정한 관심사인 우울하지만 어떠헤 해야 좋은 아빠가 될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 발견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어 나가고 있다. 이 예시에서 나온 것 처럼, 효과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