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동육서·두동미서·좌포우혜·조율이시·홍동백서' '설 차례상'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 차리기'
명절에 촌수·호칭만큼 헷갈리는 게 있다. 바로 명절 상차림이다.
가가례(家家禮)라는 말이 있듯, 집집마다 설날 차례상 차림은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인 규칙은 있다.
명절 상차림은 올리는 음식의 가짓수나 놓는 방법이 지역과 가정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지나치게 형식과 절차에 얽매이기보다는 기본적인 원칙만 지키고 정성껏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
차례상은 북쪽에 두고 다섯줄을 기본으로 한다. 특히 설날 차례상은 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차례 음식은 보통 5열로 놓는다. 병풍에서 가장 가까운 쪽부터 1열에는 술잔, 떡국(국), 밥 순으로 놓는다. 술잔·떡국·밥 등은 집안에서 모시는 조상님의 수만큼 올린다. 2열은 탕류, 3열에는 생선과 고기, 4열에는 포와 식혜 등을 놓는다. 마지막 5열에는 과일과 약과 등을 올린다.

특히 3~5열은 손쉬운 차례상차림을 돕는 용어도 존재한다. 3열엔 '어동육서' '두동미서'로 배치한다. '어동육서'는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두동미서'는 생선의 머리를 동쪽, 꼬리를 서쪽으로 놓는다는 의미다.
4열은 '좌포우혜'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두라는 것이다. 5열은 '조율이시' '홍동백서'다. '조율이시'는 왼쪽부터 대추·밤·배·곶감의 순서로 놓는 것을 의미하고, '홍동백서'는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두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차례상을 차릴 때 몇 가지 금기가 있다. 꽁치, 갈치, 삼치 등 이름에 '치'가 붙은 생선을 올리지 않는다. 잉어나 붕어처럼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도 피한다.
고춧가루처럼 붉은 양념은 쓰지 않고 마늘 같은 강한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 모든 음식은 홀수로 올리고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진 복숭아와 붉은 팥은 올리지 않는다.

진현진2jinhj@mt.co.kr
[시선뉴스 박진아] 설날 아침. 집집마다 차례상을 차리기 분주합니다. 차례(茶禮)는 가정마다 설날과 추석에 아침 일찍이 지내는 제사를 말하는데요. 가풍에 따라 정월 대보름, 초파일, 단오, 백중, 동지에도 차례를 지내는 집이 있지만, 대부분은 설과 추석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례상의 기본적인 상차림은 각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루어지는 차례상 방법은 이렇습니다.
(자세히 보기▶ http://bit.ly/17PuJsb)

바라본 자세에서 오른쪽이 동쪽, 왼쪽은 서쪽으로 합니다. 그리고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첫째 줄에 수저,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립니다.
2열은 ‘어동육서’라고 해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고 ‘두동미서’라고 하여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서쪽에서부터 국수,전(기름에 부친 것),육적(고기 구운 것),소적(두부 부친 것), 전(기름에 부친 것),어적(생선 구운 것),시루떡]
이어 3열은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고, 4열은 좌포우혜라 해서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를 놓습니다. [3열-육탕(육류),소탕(두부,채소류),어탕(어패류) / 4열-포,나물,간장,나박김치,식혜] 마지막으로 5열에는 ‘조율이시’라 해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거나 또는 ‘홍동백서’라고 해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올립니다.
이때 주의 할 점은 차례상에는 절대로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가는 것을 쓰지 않으며,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은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한편 올해 설 차례상 소요비용은 4인 기준 평균 23만3987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보다 3.0% 인상된 것으로, 각 가정마다 7000원가량의 부담이 따를 것으로 분석됩니다. 보다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서는 전통시장이 17만원대에 상을 차릴 수 있어 가장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온 가족이 모이는 즐거운 명절 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박진아 기자 piaozhener@sisunnews.co.kr
단순한 글이 아닌 애틋한 가족애를 담아내는 ‘지방[紙榜]’ [지식용어]
설을 비롯한 대부분의 명절은 주로 가족들이 모여 시간을 보낸다. 또한 세상을 떠난 가족들과도 함께 축복 속에 명절을 보내기 위해 차례와 성묘를 하며 마음을 함께한다.
과거에는 죽음으로 함께 자리하지 못하는 ‘가족’을 위해 예전에는 집집마다 서로의 마음을 연결하는 사당(돌아가신 분의 신주(위패)를 모시는 곳)이 있었는데,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 되었고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를 제사상으로 모셔다 가족들 모두가 함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현대화 되면서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당도 없고 조상의 위패도 차차 없어지게 되었다. 때문에 제사 등을 지낼 때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를 대신 하는 ‘지방[紙榜]’을 만들어 한자리에 함께 하는 풍습이 생겨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명절의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 먼저 부모님의 경우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므로 지방에도 한 분만 쓴다. 그런데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는데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이렇게 부모님을 비롯해 조부모 그리고 더 윗대의 지방을 작정할 때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지방을 적을 때,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는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 ‘조비’, 증조부모는 ‘증조고’, ‘증조비’라 한다. 그에 따라 앞에 현(顯)을 써서 ‘현고, 현비, 현조고, 현조비, 현증조고, 현증조비’라고 쓰면 된다. 그리고 고인이 남편일 시에는 현벽이라고 쓰고 아내일 경우에는 ‘현’을 쓰지 않고 ‘망실’ 또는 ‘고실’이라고 쓴다. 또한 형일 경우에는 현형, 형수는 현형수, 동생은 망제, 혹은 고제, 자식은 망자, 혹은 고자라고 쓰는 것이 보통이다.
지방에 전통적으로는 직위를 함께 적었는데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정경부인, 정부인, 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썼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유인’이라고 쓰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공직이 아니더라도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여자가 공직을 지낸 경우도 흔해 남녀 구분 없이 그 직급을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지막으로 지방을 쓸 때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부군’이라 쓰고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예} ‘김해 김씨’)를 쓰며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생전의 이름을 쓰면 된다. 또한 지방에는 고인 외에 제사를 모시는 후손을 ‘봉사자’라고 함께 기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 큰 아들인 경우 ‘孝子’, 작은 아들인 경우 ‘子’, 큰손자이면 ‘孝孫’, 증손자이면 ‘孝曾孫’, 남편이면 ‘夫’라 쓴다. 예를 들어 봉사자 큰아들의 경우 ‘孝子ㅁㅁ봉사’라고 쓰는데 ㅁㅁ는 이름을 적는다.
최근에는 한문의 쇠퇴로 한글로 지방을 쓰는 집안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때는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쓰기도 하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아버지의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이고 있다.
모든 가족이 함께하는 명절 차례나 고인의 죽음을 기리는 제사상에서 가족의 의미를 생각하며 그리움을 담아 정성껏 제사상에 써서 올리는 지방. 예로부터 가족과의 생사 이별을 슬퍼하며 오랫동안 함께 기리기 위해 전해 내려온 지방의 의미를, 더 나아가 가족의 의미를 곧 다가오는 명절 설을 통해 되새겨 보는 것은 어떨까.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茶禮)는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 지내는 제사이다. 지역이나 각 가정에 따라 대보름날, 한식, 단오 등에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차례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를 보답하고자 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예전에는 차례를 명절을 비롯하여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지냈지만 지금은 대개 설과 추석 명절에만 지낸다. 차례를 지내는 시간은 주로 새벽이나 아침 일찍 지내며 지금은 늦게 지내는 경우도 있다. 장자 또는 장손이 제주가 되어 지내고 차례 음식은 기제사 음식과 비슷하다.
차례를 지내는 마음 가짐 – 인터뷰 영상
차례는 어떤 절차로 지내나요?
차례는 강신(降神), 참신(參神), 헌작(獻酌), 계반삽시(啓飯揷匙), 합문(闔門), 철시복반(撤匙復飯),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복(飮福) 등의 절차로 진행된다. 제사와 다른 점이 있다면 차례는 축문각주 을 읽지 않고 잔을 한 번만 올리는 것이다
강신(降神)

강신(降神)은 조상님을 맞이하는 절차로 차례를 지내는 장소에 조상님의 신을 모시는 의미이다. 제주각주 가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각주 가 술을 따라주면 모삿그릇각주 에 3번 나누어 붓는다. 그리고 2번 절한다.
참신(參神)

참신(參神)은 신위(神位)각주 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이다. 제주를 비롯하여 차례에 참석한 모든 가족이 두 번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하기도 한다.
헌작(獻酌)

헌작(獻酌)은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이때 각 신위마다 잔을 올려야 하며 제주가 직접 바로 술을 따르거나 강신(降神)과 같이 집사자가 따라주기도 한다.
계반삽시(啓飯揷匙)

계반삽시(啓飯揷匙)는 삽시정저(揷匙正箸)라고도 하며, 메(밥)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구이)이나 편에 올려놓는 절차이다. 설날 때에는 떡국에 숟가락을 올려놓고, 추석 때에는 송편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합문(闔門)

합문(闔門)은 조상님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시간을 드리는 절차이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밖으로 나가 문을 닫으며, 어쩔 수 없는 경우 모두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철시복반(撤匙復飯)

철시복반(撤匙復飯)은 수저를 거두고 음식의 뚜껑을 덮는 절차이다. 추석 때에는 송편에 올려 놓은 젓가락을 내린다.
사신(辭神)

사신(辭神)은 모셨던 조상님을 배웅하는 절차이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모두 두 번 절한다. 이때도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을 하기도 한다. 절을 한 후, 차례에 사용했던 지방각주 과 축문을 불사른다.
철상(撤床)

철상(撤床)은 차례 음식을 비롯해 차례에 사용했던 도구를 뒤에서부터 거두어 정리하는 절차이다.
음복(飮福)
음복(飮福)은 차례를 마치고 조상님께서 남기신 음식을 나누어 먹는 절차이다. 제주와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주(飮福酒)각주 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집필자 소개 이혜자|직업교수전체항목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주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