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업시연 준비를 하다가 여쭤볼게 있어서요ㅠ
제가 승화에 대해서 준비를 하던중 기체->고체 로 상태변화하는 예를 찾다가
구름 속의 수증기가 얼음으로 승화되어 눈이 만들어진다.
라는 예가 있던데요. 눈의 결정이 형성되는 원리는 빙정설이잖아요.
중학교 1학년 애들에게 이렇게만 말해도 받아들일까요?
아니면 좀더 쉽게 설명할 방법 좀 꼭 부탁드러요
첫댓글 제가 실습 나갔을 때 터미네이터3(?)를 이용했는데요, 액체질소위를 걸어가던 터미네이터가 점점 몸이 굳어져서 다리가 뜯어지고;; 총에 맞아 부서지는 장면이요~액체질소 때문에 공기중의 기체가 어는 것도 승화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영화에서 주변 공기가 다 얼어버리진 않지만; 제가 쌩뚱맞은 예를 들었던걸까요...;;)애들은 재미있게 잘 알아듣더라구요^^
아아..다들 감사합니다^^
첫댓글 제가 실습 나갔을 때 터미네이터3(?)를 이용했는데요, 액체질소위를 걸어가던 터미네이터가 점점 몸이 굳어져서 다리가 뜯어지고;; 총에 맞아 부서지는 장면이요~
액체질소 때문에 공기중의 기체가 어는 것도 승화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영화에서 주변 공기가 다 얼어버리진 않지만; 제가 쌩뚱맞은 예를 들었던걸까요...;;)애들은 재미있게 잘 알아듣더라구요^^
아아..다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