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랑시인 김삿갓 1부-(49) ●
☆ 고향(故鄕) 앞으로 ☆
이튿날부터 김삿갓은, 모든 것을 다 잊고 故鄕에나 갈 決心을 굳게 하였다.
옛날 걸어온 그 길을 부지런히 걸어
보름 만에 江原道 땅을 밟았다.
가을도 깊어 이제는 조석으로 찬 서리가 내려 겨울을 催促하는 무렵이었다.
늦은 가을 故鄕 山川은 이미 落葉이 지고 五穀을 거두어들인 田畓은 荒涼하기만 했다.
삿갓은 며칠을 더 걸어
寧越 땅 故鄕 마을에 當到했다.
벌써 해지고 黃昏이 깔린 뒤라
아무도 자기를 알아보는 사람은 없었다. 삿갓은 錦衣還鄕도 아닌데
차라리 해가 져서 어두운 것에 마음이 편했다.
삿갓은 초라한 초가집 사립문을 가만히 밀고 들어섰다. 집은 사 년 전 떠날 때 보다 더 낡고
쓸쓸해 보였다.
"어머니!"
마음은 크게 불러야 하겠다고 시켰지만 정작 어머니를 부르는 소리는 모기의 소리보다도 작게 나오고 말았다.
부엌 쪽에서는 그릇 달그락거리는 소리만 들리는데 아내는 지금쯤 설거지를 하고, 있는 모양이다.
"어머니!"
이번에는 조금 힘을 주어 불렀다.
그러자 부엌에 있던 아내가 주발 하나를 든 채,
"누구세요?" 하고 다가선다.
오랜만에 들어보는 아내의 음성이었다.
"나요! 나! 그동안 잘 있었소?“
"에구머니나!"
아내는 사 년 만에 만나는 남편을 보고 이렇게 외마디 소리만을 칠 뿐
장승처럼 멍하니 서 있었다.
"그래 어머니는 안녕하시오?“
"....... 네!"
아내는 겨우 그렇게 대답하고, 그때야
앞장서 방으로 들어가서 등잔불을 댕겼다.
불빛에 언뜻 보이는 아내의 模襲은
그동안 너무도 苦生한 탓인지 더 초라하고 볕에 그을린 검은 皮膚에 야위어 있었다.
"어머니는 어디 가셨소?“
"동네 내려가셨어요."
그렇게 對答하는 아내의 音聲은
울음이 섞인 목멘 소리였다.
삿갓도 눈시울이 붉어져
더는 말을 못 하고 있다가 불현듯
형의 내외가 생각나 물었다.
"형님은 어디 가셨소?"
".... 돌아가셨어요, 그만!"
아내는 솟구치는 설움을 참지 못한 채
그렇게 말하고는 흐느껴 울기 시작했다.
"뭐! 형님이?"
삿갓은 너무도 意外였다. 어려서부터 健康이 좋지 않은 형이었다. 역시 虛弱한 탓으로 昨年 봄에 世上을 떠났다고 아내는 말을 이었다.
더욱이 불쌍한 것은 兄嫂였다.
시집온 지 삼 년 만에 아무 所産 없이
남편이 健康해지면 오겠다고 친정에 가서는 結局 靑孀寡婦가 된 것이 아닌가.
삿갓은 방에 앉지도 못한 채
堪當할 수 없는 괴로움에 어쩔 줄 몰랐다.
"앉으세요! 제가 동네에 가서
어머니랑 익균이를 데리고 올게요!"
"익균이가 누구요?"
"참 모르시겠어요. 당신 아들이지 누구예요?"
"아 참 그렇던가?"
삿갓은 아들의 이름을 알 리가 없었다. 아내가 배 속에다 애를
품고 있을 때 집을 떠났으니.
"돌아가신 큰아버지가 지어주셨어요.
날개 翼자를 써서 翼均이라고요."
"..... 음! 이름도 괜찮군."
그때 마침 어머니가 마을에서 돌아와서 방에서의 인기척을 듣고 물었다. "누가 왔냐?"
그러면서 문을 연 노인은 기다리고 기다리던 아들을 희미한 불빛에서 보자 다시 한번 뚫어지게 쳐다보았다.
그러더니 놀라 눈이 둥그레지며, "아니? 네가." 하고 말을 잊지 못하고 흐느껴 울었다.
"어머니 불효자식이 이제야 왔습니다." 삿갓은 넙죽 하니 절을 하면서 죄스러운 마음에 고개를 떨구고 있었다.
"그래 어디를 다녔기에 그동안 소식이 없었니? 네 형은 그만."
노인은 말을 더는 못하고 다시 울음이 터졌다.
삿갓도 다시 눈물을 글썽이며
"어머니 뵐 낯이 없습니다."하고 무릎을 꿇었다.
"그래! 몸 성히 돌아왔으니 다행이다만 원 사람이 그렇게 무심할 수 있느냐?"
".................. "
삿갓은 달리 말을 할 수 없었다.
"어서 저녁 차려라!"
아직도 우두커니 서 있는 며느리에게
다소 마음을 鎭靜한 노인이 이르면서
"참, 익균아. 네 아비다. 절을 해야지."하고 어깨너머에 영문 모르고 서 있는 손자를 앞으로 끌어 세웠다.
삿갓은 그때야 아이를 보았다.
"그래 네가 익균이구나."
희미한 등잔불 아래 자기 모습을 닮은 사내놈이 토실토실 살이 올라 귀엽게 보였다.
"자! 네 아버지라니까, 절 좀 하라니까." 하지만 처음 보는 낯선 사람에게 절을 하라니까
꼬마가 달갑게 절을 할 리 없었다.
아이는 금방 울상이 되며
할머니 품을 파고들며 울음을 터뜨렸다.
"오냐! 그만둬라. 원~ 아비도 모르고.“
"애가 네 살 되었나요?"
"그렇지! 만 사 년이 다 되었구나."
모자간에는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았다.
삿갓도 금강산으로 해서
안변, 문천, 함흥, 단천을 거쳐
길주 명천까지 갔다가 다시 돌아온
대강의 경로를 말씀드렸다.
아내는 서둘러 저녁상을 차려 들고 왔으나 가난한 집에 반찬인들 별스러운 게 있을 리 없다.
"내일은 닭 한 마리 잡자!"
어머니는 쓸쓸한 얼굴로 말하며 그래도 돌아온 아들이 대견했던지 자꾸 넘겨다 보았다.
이윽고 밤이 이슥해서야 삿갓은
사 년 만에 아내와 나란히 누웠다.
자연히 아내의 입에서는
원망의 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었다.
"원 세상에!... 그렇게 소식도 없이 나가 돌아다니는 양반이 어디 있어요?"
"그러게나 말이오. 할 말이 없구려."
"저는 영 안 돌아오시는 것 아닌가 걱정되어 밤마다 얼마나 울었는지 몰라요."
"허 어! 산 사람이 안 올 수가 있겠소?"
"정말, 이 어린것만 없었더라면."
"오! 왜? 어린것들만 없었더라면 개가라도 하려고 그랬나?"
"아유 무슨 말씀을 그렇게 섭섭하게 하세요."
"그럼?“
"정말, 목이라도 매고 죽어버리려고 했지 뭐예요!"
"허! 허! , 그래? 그러니 다 삼신할머니가 당신을
살리려고 아들을 보내신 것 아닌가?"
"그래 어딜 그렇게 다니셨어요?"
"참 많이도 다녔지, 금강산으로 함경도로."
"이젠 다시는 안 떠나시죠?"
"글쎄 두고 봐야지."
"또 나가시게요?"
"허! 허! 다음번에도 나갈 양이면
또 아들이나 하나 심어주고 나가든지 허지."
"아유 그럼 이번에는 저도 따라나설래요."
"허 어! 아녀자가 그런 소리를 그만하고 잡시다."
"잠이 와요? 그동안 익균이 놈이 왜 난 아버지가 없느냐고
물을 때는 얼마나 難堪했는지 알아요?"
아내는 돌아누워서 다시 훌쩍거리기 시작했다. 삿갓은 難處했다.
그러나 아내를 달랠 方法이 묘연(杳然)했다.
"허 어! 이젠 그만 좀 하오.
낸들 그러고 싶어서 돌아다니다 왔겠소?“
☆☆☆☆☆☆☆☆☆☆☆☆☆☆
模襲 모습
模 본뜰 모, 모호할 모
襲 엄습할 습
皮膚 피부
皮 가죽 피
膚 살갗 부
兄嫂 형수
兄 형 형
嫂 형수 수
{女(여자 녀(여)) + 叟(늙은이 수)}
靑孀寡婦 청상과부
靑 푸를 청
孀 홀어머니 상
{女(여자 녀(여)) + 霜(서리 상)}
寡 적을 과
婦 며느리 부
堪當 감당
堪 견딜 감
{土(흙 토) + 甚(심할 심)}
當 마땅 당
鎭靜 진정
鎭 진압할 진
靜 고요할 정
杳然 묘연
杳 아득할 묘, 아득할 요
然 그럴 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