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적 탐구방법은
1. 제시된 현상에서 의문점을 느낌
2. 가설을 설정
3. 가설을 검증하기위한 실험을 설계
4. 실험설계에 따라 실험을 수행
5. 실험결과를 통해 일반화 도출
1. 관찰 : 에이크만은 각기병에 걸린 닭을 관찰하던 중
2. 문제인식 : 각기병이 든 닭에서 증상이 사라진 것을 보고 의문을 가지게 됨
3. 가설설정 : 현미에는 각기병을 예방하는 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함
4. 탐구설계 및 수행 : 닭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백미를 ,다른 집단에는 현미를 주어 증세를 관찰함
5. 자료해석 : 백미를 먹인 닭은 각기병에 결렸지만, 현미를 먹인 닭은 건강하므로
현미에 각기병을 치료하는 물질이 있을 것임
6. 결론 도출 : 흰 쌀밥을 준 죄수의 40%,흰 쌀밥과 현미밥을 섞어 준 죄수의 4%가 각기병 증세를 보이지만
현미밥만을 먹은 죄수는 1만명당 1명 밖에 각기병 증세를 나타냄
7. 법칙화, 일반화 : 현미(벼 껍질)에는 각기병을 예방하는 물질(비타민D)이 있음
첫댓글 정성에 감동했어요 ㅠㅠ
감사합니다 ㅋㅋ.. 홧팅!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