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포은선생숭모사업회는
~~~정기총회 및 유적지 탐방하다/선교장<3>~~~
언 제 ; 2015년 6월 10일
어디에 ; 강원도 강릉시 일원
사단법인 포은선생숭모사업회원들은 몇곳을 알현 및 탐방을
하였더니 중식 시간이 늦어 시장한 가운데 정기총회를 개최하려니 임원진들의
미안한 마음을 양해 구하고 간략하게 인사와 자료는 유인물로 대처하고 의문사항은 본부에
질의하기로 하고 중식을 맞이하였었다.
===선교장은===
있는곳 ; 강릉시 운정길 63(운정동 431)
1967년 4월 18일 중요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이 지방 명문으로 알려진
이내번(李乃蕃)이 처음으로 살기 시작하여 대대로 후손들이 거처하는 집인데,
열화당(悅話堂)·안채·동별당(東別堂)·활래정(活來亭) 등 모두 4채가 있다.
가장 오래된 안채 주옥(住屋)은 당초에 주거를 정한 때의 건물이라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ㅇ

도로에 세워진 선교장 입간판을~~~
ㅇ

첫대문 월하문도~~~
사랑채인 열화당은 1815년(순조 15)에 오은거사(鰲隱居士)
이후(李后)가 건립한 것이며, 활래정은 그 이듬해 세운 것을
증손인 이근우(李根宇)가 현재의 건물로 중건하였고, 동별당은 약 50년 전에 새로
건립한 건물이다.
ㅇ

전체를 담아 보고~~~
안채는 동편에 있으며 주옥의 평면구조는 ㄱ자형으로서,
동쪽 끝이 부엌이고 건넌방은 서쪽에 있다. 안채와 행랑채 사이에는 담을 쌓아서
막았으며, 행랑채는 남쪽에 있고 서쪽으로 사랑채에 출입하는 솟을대문이 있다.
ㅇ

두 회원님의 기념 촬영을~~~
ㅇ

선교장 설명문도~~~
ㅇ

건물 안으로~~~
사랑채는 높은 석축 위에 서 있고 동별당은 안채의 동쪽 전면에 있는데
2층으로 된 높은 석축 위에 서 있고, 맞은편에 서별당이 있었으나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활래정은 대문 밖인 선교장 입구에 있는 큰 연못 옆에 세워진 정자로서,
연못 속에 돌기둥을 세워 주위에 난간을 돌렸으며, 팔작지붕에 겹처마의 납도리집이다.
강원도 강릉시 운정동 431번지 있다
ㅇ

구석구석을 살피고~~~
**이내번**
조선 정조, 순조대의 양반.
효령대군의 11대 손으로 본래 전주사람이나 어머니가 계실이라,
아버지가 죽고 난 후 전처에게서 난 자식들에게 해를 입을 까봐 어린 내번과
어머니가 강릉 저동으로 이주하였는데, 어느날 이내번이 족제비떼를 쫒다가 선착장
모양의 명당을 발견하여 그곳에 집을 지어 '선교장'이라 명명하였습니다.
ㅇ

선교장 문물관 현판도~~~
ㅇ

문물관안에 몇 장면을~~~
이후 이내번의 집은 크게 번창하여 만석꾼이 되었고, 특히 삼대손인 이후대에
이르러서는 한양의 사교계가 강릉으로 옮겨올 만큼 집안이 번창한 집안을 이루었다고 합니다.
ㅇ

여러가지 생활 용품들이~~~
ㅇ

유물들을 보관도 잘했네~~~
ㅇ

여러가지 교지들도~~~
ㅇ

완전 보물들이다~~~
ㅇ

은다기셋트란다~~~
ㅇ

선교장 가문의 500년 역사가~~~
ㅇ

문물관 앞에 쉼터가~~~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1396∼1486)의 초상화로, 가로 70㎝, 세로 90㎝의
작은 규모의 작품이다. 효령대군은 태종의 둘째 아들로, 세종대왕의 형이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독실한 불교신자로 불경의 간행과 원각사 창건에 참여했다.
ㅇ

활래정 쪽으로~~~
ㅇ

산책로도 있고~~~
그림은 황색의 관모를 머리에 쓰고, 붉은색 홍포를 차려 입고 의자에 앉아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전신좌상이다.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어 다른 부분의 표현보다
중요한데, 여기서는 약간 도식적이고 미숙하게 처리된 감이 있다. 코와 입술은 윤곽을
묘사하는데에는 신경을 썼으나 수염의 표현은 세밀하지 않으며, 또한 무언가를 잡고 있는
오른손의 형태도 불완전하다. 모자와 허리띠, 옷의 무늬 등에는 금칠을 하였는데 무게감을
실으려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ㅇ

좀더 가까이에서~~~
화면이 다소 거칠고 정교하지 못한 것은 조선 전기의 초상화에서는
보기 어려운 모습으로 여러 번 옮겨 그린 탓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몇 번 옮겨
그린 중모본이기는 하지만 조선 전기의 초상화가 거의 전해오지 않는 현 시점에서
소홀히 해서는 안될 작품이다. 현재 그의 초상화는 관악산 연주암에 보존되고 있다.
ㅇ

동편에서도~~~
ㅇ

활래정의 설명문도~~~
ㅇ

좌측도 담아 보고~~~
ㅇ

완전 안체에~~~
ㅇ

동별당의 설명문도~~~
ㅇ

숲속에 사당을~~~
ㅇ

사당 설명문도~~~
ㅇ

행낭체 쪽으로~~~
ㅇ

ㅇ

행랑채 설명도~~~
ㅇ

기~인 모양을 담아 보고~~~
ㅇ

마루에 걸터 앉아 설명을 들으시고~~~
ㅇ

다시 동편쪽을~~~
ㅇ

회원들의 모습도~~~
ㅇ

보리와 꽃울타리 그리고 싱싱한 나무잎들이~~~
ㅇ

금천(돈식씨)형님 기념 촬영을~~~
ㅇ

석류나무에 석류꽃들이 만발하려고~~~
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