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1 수행평가 관련해서 금속의 반응성 크기 비교 실험을 해야 하는데
황산구리수용액에 아연판을 넣는것이랑
질산은수용액에 구리판을 넣는것
실험을 통해 구리, 아연, 은의 반응성 비교 실험을 하는것인데요
문제는 폐수처리및 금속처리 입니다.
폐수는 산도 아니고, 염기도 아니니, 혼합물에다가 버리면 될거 같고,
금속은 어떻게 하는것죠? 아연판하고 구리판에 변화가 일어나면 그 금속들은
어디서 수거해가나요?
이게 참 애매 합니다. 실험은 간단하고 원리도 어렵지 않은데 화학실험은
뒷정리, 폐수처리, 요게 참 복잡해요,
실험경험있으신분들 도움좀 받고 싶습니다. 좀 도와 주세요...
첫댓글 보통의 연구소나 대학에서는 폐액이나 폐시약을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니
양이 많지 않다면 그냥 주변 대학 실험실을 방문하시어
사정을 말하고 처리해달라고 하면 보통은 들어주실 것입니다.
양이 많으면 얘기가 다르구요...
폐수를 사정상 그냥 흘려보내는 것도 좋겠지만 또 다른 실험과 연계해서 활용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한번 더 써먹는 방법도 좋을거 같네요. 간단한 실험을 디자인(또 다른 폐기물을 양산하지 않고도)하여 황산구리 용액의 구리를 침전시켜 본다거나, 질산은 수용액을 은거울 반응 시켜 본다거나 재활용 방법을 연구하면 학생들에게 더 흥미를 유발하게 되고 재활용 마인드로 교육적으로도 좋은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