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점점 깊어간다. 앞마당 은행나무 아래는 온통 금빛카펫을 펼쳐 놓은 듯 황금빛 잎들이 깔려 있다. 뜨락 목련나무 옆에 단감나무가 한 그루 있다. 올해는 유난히 많이 열려 점심 공양 후에 산책하며 잘 익은 것으로 하나씩 따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단맛이 입 안 가득 고이는 것이 제대로 맛이 들었다. 그런데 이 단감도 전에는 이렇게 달지 않았다. 이 감나무 바로 옆에 떫은 감나무가 한 그루 있었다. 그 떄는 익은 단감도 떫은 감이나 진배없을 정도로 떫었다. 맛이 없으니 아예 따먹지도 않고 곶감도 못 만드는 천덕꾸러기가 됐다. 어느 날 지인과 정원을 산책하다가 단감나무 앞에 섰다. 하나를 따먹더니 "아이 맛없어. 퉤퉤" 하며 뱉었다. 내가 이 단감나무는 맛이 없다고 하자 옆에 있는 나무를 가리키며 저 감나무는 뭐냐고 물었다. 떫은 감나무라고 했다. 그 분이 손바닥을 탁 치며 얘기했다. "원인을 알았습니다. 이 단감이 떫은 것은 옆에 있는 저 떫은 감나무 떄문입니다. 감꽃 피었을 때 벌들이 붙어 있는 두 감나무를 오가서 그런 겁니다." 그 말씀을 듣고 떫은 감나무를 옮기고 나니 단감나무는 본래 맛을 회복했다. 불교 논서 가운데 성유식론 이라고 있다. 거기에 중동분이라는 말이 나온다. '같이 어울리는 것들이나 무리;라는 뜻이다. 단감나무도 옆에 떫은 감나무가 있으면 떫은맛으로 변하는데 사람은 오죽하겠는가? 가족이 어떤 마음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면서 살아가는지. 도반이 누구이고 스승은 누구인지에 따라서 그 사람의 삶이 달라지는 것이다. 가까이 있으면 그렇게 물이 들게 마련이다. 운동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들끼리 모이고, 수행을 즐겨하는 사람들은 그들끼리 모인다. 그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늘 긍정적이면서 행복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과 어울리면 나도 자연스럽게 행복해진다. 인생을 아름답고 즐겁게 살고 싶은가? 비결은 영혼이 맑고 순수한 사람들과 끼리끼리 잘 어울리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