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d6 계 전이금속 착물 [M(NH3)5X]^(n+) (X= NH3, CN-, Cl-) 의 전자흡수 스펙트럼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2개의 흡수띠를 나타내는 이유를 설명하고, logε = 0 ~2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처음에는 그냥 별 생각 없이 Cl- 가 리간드로 작용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약장리간드가 배위하면, d6(고스핀) 이므로 비대칭 전자배치로 인하여 Jahn Teller 일그러짐이 생겨 에너지 준위가 갈라지면, 발생하는 3개의 전이 중 첫번째 전이는 가시광선에서 나타나지 못하여 2개만 가시광선 영역에서 나타난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d6 고스핀이 되어야 스핀 금지 전이가 됨으로써(laporte금지는는 당연하구요), 몰 흡광계수가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설명 할 수 있구요.
------------------------------------------------------------------------------------------------------------------
제가 위기에 빠진건....
강장 리간드가 배위할때 입니다.
강장 리간드가 배위하면 d6(저스핀) 이므로 대칭적인 전자배치를 이루기 때문에
Jahn Teller 일그러짐이 발생 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되면 더이상 Jahn Teller 일그러짐은 설명의 효력을 잃게 되는것입니다.
-------------------------------------------------------------------------------------------------------------------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 2010년 기출문제 " 문항 이었는데요

이 문항의 (ㄹ) 보기를 해석 할 때,
화학교육지 교수님 해설을 참고하자면,
d3 에서 t2g(3) -> 비어있는 eg 궤도로 하나의 전자가 전이할 때.
eg의 두 궤도 함수 중 어디로 전이 하느냐(dz2, dx2-y2)에 따라서 반발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흡수 에너지를 갖게 되므로,
(T2g(F), T1g(F))라는 두 개의 그래프가 그려지는 것으로 설명된다고 하셨습니다.
d6(저스핀) 도 그 형태가 d3 와 같기 때문에,
이 설명과 같이 이야기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d6 저스핀도 t2g(6) -> 비어있는 eg 이기 때문이고, 타나베 도표에도d3 처럼 나타나 있기 때문이죠)
**참고로..
타나베 도표에서 d6(고스핀) 은 하나의 흡수띠 밖에 없어서
이 부분으로 d6(고스핀) 을 설명하기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
했습니다.
-------------------------------------------------------------------------------------------------------------------
그렇게 되면, 결론이...
1) d6(고스핀) : Jahn Teller 일그러짐 때문.
2) d6(저스핀) : 두 궤도 함수 중 어디로 전이 하느냐(dz2, dx2-y2)에 따라서 반발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
이렇게 됩니다.
-------------------------------------------------------------------------------------------------------------------
그런데 또 하나의 문제점은 ,
d6(저스핀) 에서는 스핀 금지 전이가 아니기 때문에 낮은 몰 흡광계수를 갖지는 않을텐데...
이 부분은 어떻게 설명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궁금한 점:
1) 제가 풀이한 방법이 맞나요? 혹시 다른 생각을 갖고 계신 분 있나요?
2) 제가 풀이한 방법이 맞다면, d6(저스핀) 에서는 스핀 금지 전이가 아니기 때문에 낮은 몰 흡광계수를 갖지는 않을텐데...
이 부분은 어떻게 설명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첫댓글 우선 글쓴님땜에 다시확인하게되어감사해요ㅎㅎ
제 생각에 글쓴님의 결론중 두번째답안인 d6저스핀경우 z성분유무에따른 전이로2개흡수띠나타남으로 생각하심될듯해요 휴이책 표11.6을보니 스핀허용이지만 라포르테금지인 대부분의 팔면체착물경우 흡수값이 0~10이므로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당ㅎ
다시 생각해 보니, NH3 가 다섯개나 붙어 있어서 강장이라고 봐도 무관할 듯 싶네요ㅠㅠ
그렇게 된다면, Jahn Teller 일그러짐으로는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꼭NH3기가5개붙어있다고 강장이라고생각하면안될듯해요 거의그렇지만..객관식기출에 약장인경우나왔어서요ㅎ제생각이정확히맞는지몰겠지만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