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적도면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염색체들에 양극에서 온 방추사(양극에서 중앙의 염색체쪽으로 방추사 길이 길어질 때는 방추사를 이루는 성분인 미세소관의 중합 일어남)가 염색체의 동원체에 각각 양쪽에 붙어서 방추사가 염색체를 양극으로 끌고 간 후(이 과정에서 미세소관의 탈중합(분해) 일어남) 세포질분열이 일어나 세포 한 개가 두개가 되는 것인데 여기서 방추사형성이 안 되면 염색체가 적도면에서 양극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대로 있겠죠? 그러니까 분열이 일어나지 않고 세포수가 그대로 한개입니다. 방추사를 억제하는 약물을 처리하면 세포분열이 정지되죠. 그 예가 콜히친(중합억제), 택솔(탈중합억제) 등이 있습니다.
첫댓글 적도면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염색체들에 양극에서 온 방추사(양극에서 중앙의 염색체쪽으로 방추사 길이 길어질 때는 방추사를 이루는 성분인 미세소관의 중합 일어남)가 염색체의 동원체에 각각 양쪽에 붙어서 방추사가 염색체를 양극으로 끌고 간 후(이 과정에서 미세소관의 탈중합(분해) 일어남) 세포질분열이 일어나 세포 한 개가 두개가 되는 것인데 여기서 방추사형성이 안 되면 염색체가 적도면에서 양극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대로 있겠죠? 그러니까 분열이 일어나지 않고 세포수가 그대로 한개입니다. 방추사를 억제하는 약물을 처리하면 세포분열이 정지되죠. 그 예가 콜히친(중합억제), 택솔(탈중합억제)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