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H2S(aq) + SO2(g) ---> 2H2O(l) + 3S(s)
이 반응에서 산화제는 SO2이고
환원제는 H2S인데요
산화수가 SO2 -->3S 이니깐 +4에서 0으로 산화수 감소 이고
H2S --->(?) -2에서 0으로 산화수 증가 이던데
산화수 비교가 SO2와 S를 비교하고
H2S와 (?)를 비교하는데 (?) 물질이 먼지 모르겠어여
H2O 아님 S일텐데 S로 해도 상관이 없을까요?
해설을 보니 황의 산화수가 H2S에서 -2에서 0으로 증가하고
황의 산화수가 SO2에서 +4에서 0으로 감소 한다고 한거 보니...
둘다 S를 비교해야 할거 같은데,, 고수님들의 정확한 답변 알려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만약 S를 두고 비교 한다면, H2O는 멀까여? 그냥 물로 생성되고 산화수에는 관여하지 않는건가?
질문 하나더요,, CuSO4용액에 Zn을 넣고 반응 시킬때요,,
이 시험 결과도 알짜이온 반응식이 있나여?
울학교 다른샘이 수행평가지를 만드셨는데 알짜 이온반응식을 나타내는것을
하셨드라고요, 알짜 이온반응식이라면 앙금생성반응이나, 중화반응에서 주로 나타내는것으로 봤는데
이런경우도 가능한지, 어떤 견해로 해석해야 하는지 물화 생지 가족님들과 함께 의견을 나누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 너무 쉽고 간단한 개념이라고 무시하지 마시고 함께 고민하고 화학의 개념을 확실히 익혀봐요^^
첫댓글 반응 전후 수소(+1)와 산소(-2)의 산화수는 변함이 없으므로 H2S와 SO2 모두 S와의 산화수 비교만 하면 될것 같구요
아래 알짜반응은 구리이온이 구리로 환원되고 아연은 아연이은으로 산화되는 것입니다 황산이온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구경꾼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