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수정교회 시온찬양대 원문보기 글쓴이: 임형준
베리칩, 과연 삼성에서 국민들에게 임플란트하려하나?
KT-세브란스, ‘스마트 의료’ 시동
2011년 10월 24일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환자의 건강 정도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는 영화 같은 일이 곧 현실화될 지도 모른다. KT는 10월 24일, 연세대학교의료원과 의료-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사업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상훈 KT G&E부문 사장은 “양사가 추진하게 되는 사업은 서로 다른 사업들이 융합돼 새로운 사업을 창출해내는 컨버전스 사업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KT의 클라우드 컴퓨팅과 모바일 플랫폼 등 IT기술이 의료와 결합돼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어 낼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철 연세의료원장 역시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세브란스가 보유한 헬스케어 분야의 풍부한 경험과 지적 자산을 활용해 의료산업의 전환점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향후 설립될 합작사를 통해 ‘스마트 헬스케어’ 개발, ‘스마트 호스피탈’ 수출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건강관리 솔루션이다. 운동을 하다가 심장에 무리가 와서 쓰러진 환자의 경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응급처치 방법을 알려주거나 119에 신고하게 도와준다.
이 기능들은 모바일 기기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받아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로 제공될 전망이다. ‘스마트 호스피탈’은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의 집합체다. 스마트 헬스케어가 개별 기능이 중심이 된 솔루션이라면, 스마트 호스피탈은 이 솔루션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한다. KT는 연세대학교의료원이 보유한 최고 수준의 의료기술과 자사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해 패키지 형태로 솔루션을 출시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양사는 임상데이터, 개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유전자 분석 등 각종 의료정보를 DB화하고, 이를 지역 1·2차 의료기관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할 방침이다. KT관계자는 “이 모든 솔루션을 KT 혼자서 개발할 것은 아니며, 해당 건강관리 솔루션을 만드는 파트너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며 “현행 의료법이 원격 진단을 허용하게 되면 진단 기능도 덧붙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통신사업만으로는 계속해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KT가 B2B 사업을 통해 새로운 수익 구조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KT를 비롯해 최근 통신사들은 서비스업이나 제조업 등을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해 모바일 오피스 등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베리칩을 이용한 의료사업이 KT, SK, LG 등과 대형의료원들이 앞다퉈 시행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광고가 엄청나게 나올 것이며 베리칩이 좋은 것이라는 선전문구가 등장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 둘로 갈라진다. 베리칩을 받는 다수와 베리칩이 짐승의 표라는 것을 알고 거부하는 극히 적은 소수가 그것이다.
KT관계자는 “의료 부문도 KT의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하면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라며 “이번 사업을 위해 양사가 그동안 꾸준히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양사는 내년초 합작법인 설립을 목표로 협의를 진행중이며,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http://www.bloter.net/archives/80909
삼성전자 바이오 베리칩 관련 기사 들
등록 : 20110727 11:48 |
한겨레 특집] 기업 신성장 전략
|
||||
|
||||
삼성전자가 마련한 신성장 전략의 뼈대다. 삼성전자는 2009년 창립 40주년을 맞아 이런 내용이 담긴 ‘비전 2020’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0년쯤에는 기존 정보통신·가전 분야는 물론이고, 의료·바이오 쪽에서도 세계 1등이 되겠다는 게 삼성전자의 목표다. 삼성전자가 신성장동력으로 의료·바이오 쪽을 선택한 것은 선진국 문턱에 들어서게 되면 의료·바이오 기기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진다는 판단에서다.
흥미로운 점은 삼성전자가 신성장동력으로 추진중인 의료·바이오 사업과 관련해 사업영역을 특정 품목으로 한정하는 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으로 잡고 있다는 점이다. 이른바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솔루션이 모두 사업영역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삼성전자가 ‘에이치엠이(HME)사업팀’을 꾸린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 팀에서는 몸속에 심어 갖가지 몸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바이오칩, 초음파와 엑스레이 장비 같은 의료기기,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유(U)-헬스’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삼성,VeriChip 사람 몸에 넣겠다고 선포했다.
2011년 7월 27일자 한겨레신문에서 삼성전자가 마련한 새로운 선장전략의 뼈대를 “기존의 정보통신과 가전 사업을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위주로 바꾸어서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는 의료・바이오(Med・Bio) 사업에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것이다.【주】밑줄 그은 “의료・바이오(VeriMed)”는 베리칩 회사에서 말하는 “VeriChip Medical”입니다.
삼성전자는 2020년 창립 40주년을 맞아 이러한 내용이 담긴 ‘비전 2020’을 마련하고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 2020년쯤에는 기존의 정보통신과 가전분야는 물론이고, 의료・바이오 쪽에서도 세계1등이 되겠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목표이다. 삼성전자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의료・바이오 쪽을 선택한 것은 선진국 문턱에 들어서게 되면 의료・바이오 기계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진다는 판단이다.【주】이 문장은 베리칩을 넣는 기기와 업무의 수요가 커진다는 판단이라는 뜻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삼성전자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추진 중인 의료・바이오 사업과 관련해서 사업영역을 특정품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질 향상”으로 잡고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삶의 질을 향상시킴에 관련된 솔루션이 모두 사업영역이 될 수 있다는 뜻t이다. 삼성전자가 “HME 사업팀”을 꾸린 것도 이와 무관하지는 않다. 이 팀에서는 사람의 몸속에 넣어서 실시간으로 몸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기기(바이오 칩)와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U-Health”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칠 예정이라고 한다.【주】이 부분에서 베리칩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람의 피부속에 VeriChip을 넣어서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는 칩은 오직 128-DNA Code가 들어있는 VeriChip이기 때문입니다.
의료기기 쪽에서는 지난해 혈액검사를 내 놓았다. 메디슨을 인수해 초음파 장비시장에도 진출했다. 삼성전자는 최근에 자기공명영상(MRI) 스캐너와 엑스레이 장비 전문 업체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이미 이러한 분야에서 앞선 기술을 가진 전문 업체 몇 곳을 골라서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초음파, MRI, X-Ray 장비분야에서 모두 세계1등이 되는 것이 목표”라며 “연말쯤 삼성 상표를 붙인 의료기계를 출시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주】결국에는 삼성전자가 VeriChip을 전 국민에게 넣을 것이고 그것으로 얻은 이익금을 기업을 운영해 나가게 될 것입니다
박선흠 삼성전자 상무, "미래에는 베리칩 사회 될 것"
박선흠 삼성전자 상무, "미래에는 자동차 안에 집이나 사무실이 들어오고 개인화된 바이오칩(베리칩)이 대중화할 것이며 반도체는 점점 더 빠른 속도로 고성능 저전력 요구에 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 "로봇-의료기기-전기차가 미래 반도체 시장"
삼성전자가 향후 10년 내 융합 IT 시장에서 로봇·의료기기·전기차를 반도체 최대 수요처로 꼽았다.
25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지식경제부와 서울 엘타워에서 공동 개최한 `국제 반도체 콘퍼런스(SEMCO 2012)`에서 박선흠 삼성전자 상무는 “로봇과 의료기기, 전기차 등이 반도체 애플리케이션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모바일 시장은 앞으로 3~4년 더 시장을 이끌겠지만 오래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어 “미래에는 자동차 안에 집이나 사무실이 들어오고 개인화된 바이오칩이 대중화할 것이며 반도체는 점점 더 빠른 속도로 고성능 저전력 요구에 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저전력 고성능 △디자인 복잡성 △제품 소형화 △생산능력 확대 △투자 강화를 5대 사업 과제로 삼았다. 3차원 핀펫, 더블 패터닝 등 연구 중인 반도체 신기술도 언급했다.
박 상무는 또 삼성전자가 IBM·ARM·시놉시스 등과 추진해 온 스마트폰 부품 표준화 작업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업계 협력 조직인 `ISDA`를 만들어 반도체 표준화를 주도한다. 시놉시스, ARM과 공동으로 표준 설계자산(IP)을 만들어 팹리스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진행 중인 반도체 산업 협력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가밤 샤히디 IBM 이사와 루디 라우어라인스 IMEC 부사장은 20나노미터(㎚) 이하 차세대 공정기술의 주요 이슈를 분석했다. 마이크 누넨 글로벌파운드리스 부사장과 유경동 SK하이닉스 상무, 황준 동부하이텍 상무 등이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제시했다. 하비바 알사파 칼리파대학 교수는 UAE 반도체산업 현황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베리칩 8,000만개 미국정부로부터 주문받아
(2013년 납품예정)
일전에 10월 7일 국민일보에 나온 강덕영 장로님의 인터뷰 기사에
“국내의 모 재벌기업이 전 세계의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셨는데....
그 기업이 바로 삼성전자라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원래는 LG와 함께 경쟁에 들어갔는데 결국 삼성이 지난 6월에 따냈다고 합니다.
전 세계에서 베리칩 생산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를 우리나라 기업이 받았다고 하는데....
8,000만개라면 내년에 제법 실행을 하는 편인 것 같습니다.
이 소식은 삼성내부에서 나온 소식입니다. 믿으셔도 됩니다.
그럼!
【주】이 내용은 삼성전자가 베리칩을 만들어서 미국에 납품한다는 것입니다.
2013년 중으로 8,000만개를 납품예정이라고 합니다.
---------------------------------------------------------------------------------------------------------------------
She's got the order from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Verichip 80,000,000
Samsung (Scheduled for delivery in 2013)
25//10/2012 23:39
Elder's interview on Oct. 7 days prior to the Kookmin Ilbo, Gang Deok Young
"All chaebol firms in Korea are preparing for the worldwide production Verichip" You've....
Companies was exposed to the SEC grows news.
Eventually went into a bidding war with LG original Samsung last june won.
Korea companies have received for eval!uation from all over the world is most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Verichip.....
80 million next year, seems to be quite run to that side.
This news comes from an internal Samsung News. You can trust.
그리고 다음에 [삼성 베리칩]으로 검색해보세요.
여러 가지 사실들 나옵니다.
베리칩, 의료혜택인가 통제수단인가
Posted on 12월 3, 2012 by ink120
올해 ‘오바마케어’ 합헌 판결로 베리칩 상용화 논란 재점화.
올해 6월 일명 오바마 케어라고 불리는 미국의료개혁법이 합헌 판결을 받으면서 동시에 베리칩 상용화에 대한 논란이 미국사회에서 일고 있다. 베리칩의 실효성을 두고는 기업, 의료계와 시민단체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미국사회에 깊숙이 삽입된 베리칩.
베리칩이란 verification + chip의 합성어로 신원을 증명하는 칩의 줄임말로 인체무선식별장치(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생산하는 미국 회사의 상품명이다. 미국의 베리칩사는 1999년 GPS 위성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칩의 특허를 받아 야생동물을 위치 추적을 하는데 사용하면서 베리칩의 상용화의 첫 발을 디뎠다.
이후 베리칩은 2004년 FDA(미 식품의약국)의 승인 후 다양한 목적으로 우리 삶 속에서 이용되고 있다. 처음에는 유기견 방지의 목적을 가지고 애완동물에게 시범 실시되었다. 이제는 환자 개인의 진료기록을 저장하는 수준까지 확대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활용범위가 넓어져 2009년에는 미국 오하이오 신시네티에 위치한 회사 시티워쳐가 처음으로 보안이 중요한 부서 직원들에게 칩을 삽입하였다. 월마트, 금융기업, 보안회사에서 그 편리성과 보안문제를 내세우며 베리칩 삽입을 하는 직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 뿐 아니라 멕시코에서는 2004년 법무부 장관과 연방범죄방지센터에 출입하는 공무원들이 베리칩 사가 만드는 바이오칩을 삽입하기도 했다. 한국은 현재 삼성이 바이오칩에 대한 특허를 받아 둔 상황이며 내년 1월 1일부터 동물보호법에 의해 애완동물에게 의무적으로 삽입하게 되어있다. 이외에도 네덜란드, 스코틀랜드 등 유럽국가의 기업에서 우수고객 관리를 위해서 베리칩을 사용하고 있다.
베리칩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기업, 의료계와 시민들의 의견이 엇갈려.
베리칩은 애초에 개발된 주된 목적에 맞게 의료분야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이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전역에서 가장 큰 병원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카이저(Kaiser)병원은 당뇨병환자부터 베리칩을 삽입하기로 결정했음을 발표했다. 베리칩으로 미국에서만 4,500만 명의 이르는 환자들이 이식이 가능한 RFID칩의 이점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의료 정보를 칩에 저장해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의학적 경고 팔찌를 분실·손실했을 경우 의료 보조원들과 다른 사람들이 의학적 알레르기 등을 포함한 환자의 개인적인 의료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매매행위를 할 때 현금이나 카드 없이 칩을 스캔하는 것으로 경제활동의 소비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분실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결제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베리칩의 가장 큰 이점으로 내세우는 것은 사회에서 치안유지 기능이다. 베리칩의 자회사 X마크사 역시 유괴로부터 어린이 보호, 범죄자 관리를 베리칩 홍보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요즘 미디어를 통해서 각종 흉악범죄, 성범죄가 보도되고 있기 때문에 범죄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말에 솔깃 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베리칩이 과연 범죄자만을 관리하는 수단으로 사용될까? 오히려 악용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 베리칩 반대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사생활 침해의 소지이다. 아직까지 암호화 처리능력이 부족해 정보유출 위험성이 더 크다. 또한 EPIC(전가개인정보센터) 소장 마크 로텐버그가 말했듯이 베리칩 삽입으로 개인정보가 평생 박히게 되어 오히려 사기나 다른 범죄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측의 주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생활 침해라는 명목이다. IT(정보통신)기술은 시공간에 관계없이 모든 활동의 기록이 남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구글 같은 경우에 미국에서 PC로 한국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기록이 남아 한국제품관련 광고배너가 웹페이지에 뜨는 것처럼 우리의 건강정보와 소비 정보 등이 이용당해 불이익을 받거나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미국에서 UCLA에 화학을 전공하는 3학년에 재학중인 Teny(22)는 “베리칩이 우리의 삶을 더욱 편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칩은 미국이 시민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라고 생각된다. 미국의 국가건강보험이 미국국민에게 그닥 많은 혜택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에서 시민들의 개인과 자유의 사생활이 침해 당하는 걸 감안하면 인간에게 베리칩을 삽입하는 것에 전적으로 반대한다.”고 말했다.
▶미래 베리칩은 어떤 그림을 그릴까?
인체에 삽입한다는 사실 때문에 베리칩에 대한 사람들의 반대가 심하지만 사실 RFID칩은 몇 년 전부터 우리 삶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해외여행을 할 때 항상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하는 전자여권에는 여권기록과 얼굴, 지문 등 개인의 생체정보를 담고 있어 정부가 원하면 언제든지 여행자의 위치 감시가 가능하다. 베리칩은 단순히 들고 다니던 RFID 칩이 우리 몸속으로 들어온 것에 불구하다. 미국에서는 이미 베리칩 생산을 하는 기업을 중심으로 어떻게 하면 베리칩 상용화의 속도를 빠르게 할 것인가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거기다 이번에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의료개혁법안 통과로 인한 베리칩 인체 삽입은 더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베리칩회사 사장 스콜 실버만은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 불법체류자를 막고 신원조회 편리함을 위해 미국에서 일하는 해외노동자에게도 베리칩을 삽입하자는 의견을 내놓기 까지 했다. 아직까지 충분한 논의가 되지 않았음에도 미국에서 베리칩 상용화란 막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전국 공용신분증이 없는 나라이다. 영토도 크지만 개인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신분증이 없기 때문에 그 만큼 국민들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크다. 이미 9.11 테러 이후 보안 강화를 이유로 공용 신분증을 발급하려다 이미 한 차례 국민들의 반대에 부딪힌 경험이 있다. 그러나 의료보험개혁법 개정으로 환자들 사이에 사용인구가 증가, 기업을 중심으로 베리칩 삽입 인원이 늘어난다면 과거 우리나라에서 박정희 군사독재정권시절 1.21사태이후 주민등록증을 발급한 것 보다 더 쉽고 효율적으로 국민들을 추적하고 관리하게 될 것이다.
지난 달 25일 개최된 국제 반도체 컨퍼런스에서 삼성전자 박선흠 상무는 “미래에는 개인화된 바이오칩이 대중화 될 것이다.”라는 예견을 내놓았다. 베리칩 시행을 두고 미국 사회에서 찬반 논쟁이 뜨겁지만 앞으로 전자결제의 간편화, 범죄률 감소 기대 등의 이유로 베리칩의 보급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다이너마이트를 포함한 수많은 기술들이 처음 의도와 다르게 악용되어왔다. 삶의 윤택한 변화를 주는 베리칩이 빛과 소금이 될지 또 다른 다이너마이트가 될지 미국 사회의 이목이 쏠려 있다.
요약하면
1. 베리칩은 위치 추적 의료 및 금융을 하나로 묶어 칩화 살속에 투여
2. 새로운 감시기술로 이용될 수 있고 칩을 해킹을 통한 신종 범죄 및 전자 주파수를 이용한 마인드 콘트롤에 이용될 수 있다
3. 베리칩은 위험하다
정보가 너무 많지만 여기까지만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