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0권 / 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2
【학교】
향교 주 동쪽 3리에 있으며, 사교당(四敎堂)이 있다.
○ 하연(河演)의 기문의 대략에,
“우리 고을 학교에는 본래 강당이 없었다. 전 교관 조보인(趙寶仁)이 주 목사에게 의논하여 재목을 준비하였고,
지금 교관 강원량(姜元亮)이 부지런히 감독하여 완성하였다. 이에 당 이름을 사교라 하고,
나에게 편지를 보내 기문을 청하는 것이었다.
진주 고을은 지리산의 영기와 남해의 정기가 빚고 화합한 것으로서,
토지의 비옥함과 인물의 번화함이 딴 고을과 견줄 바가 아니다.
내 일찍이 들으니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이 이 향교에서 배워서 공업이 빛났고,
그 뒤에 인재가 더욱 성하였다 한다. 근래에 문경공(文敬公) 강보(姜寶)군과, 나의 선조 원정공(元正公) 휘(諱) 즙(楫), 어사대부 휘 윤원(允源) 및 정천군(菁川君) 하을지(河乙沚), 참찬 정을보(鄭乙輔)와, 조선 초기 이래로는 문충공(文忠公) 하륜(河崙), 문정공(文正公) 정이오(鄭以吾), 양정공(養正公) 하공복(河敬復)이, 모두 이 향교에서 공부한 뛰어난 분들로서 문과 무로서 모두 당시에 날렸다.
우리 고을의 지기의 신령함과 인물의 걸출한 아름다움은 세상에서 일컫는 바이다.
그러나 반드시 교양에 말미암지 않은 것이 아니다.
지금 여러 학생에게는 평상시 강독하는 데에도 편리함이 있고,
봄가을 좋은 철을 당하면 성균관에서 과시(課試)하는 방법과 같이하여,
주목(州牧)과 교관(敎官)이 여가 있는 날에 여기에 놀러 와서, 혹 책을 펴서 강문(講問)하며, 혹 제목을 내어 시 짓게 하여,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읊조리며 돌아오던 운취와 비슷하며,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즐거움을 즐기며, 역복(棫樸)과 한록(旱麓)의 흥기함이 있다. 비록 그러나 사교라는 명칭을 붙인 것이 어찌 이것만을 위한 것이리오.
학문하는 데에는 두 길이 있다. 실제를 힘쓰는 학문이 있고, 명예를 힘쓰는 학문이 있다.
실제를 힘쓰고 외면을 돌아보지 않는 것은 자기를 위하는[爲己] 학문이고, 명예를 힘써서 이름을 따르는 습속에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남을 위한[爲人] 학문이다.
사람이 나서 8세가 되면 모두 소학(小學)에 들어가서, 나아가 대학(大學)의 가르침을 받기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먹는 음식과 행동과 언어에 학문 아님이 없다. 근본을 북돋우고 성정을 함양하여 차례를 따라 진보하며, 공부가 성취하기에 미쳐서는 덕성을 높이고 경학을 연마하면, 문장에 뜻을 두지 않아도 그 글이 의리의 근원에서 나오고, 정사에 뜻을 두지 않아도 정사하는 것이 도덕의 작용에서 발하게 된다.
이것은 마음을 바루고 몸을 닦아서,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하게 하는 근본이 되는 것이다.
공자의 4교(四敎)라는 것은, 사람을 가르치되, 글을 배우고 행실을 닦으며, 충신(忠信)을 마음에 간직하게 한 것이니, 이 중에 충신이 근본이다.
당(堂)을 이름한 뜻이 깊고 간절하다. 학문하는 길에 무엇이 이보다 더하랴.
여러 학생이 마땅히 마음에 지녀서 나날이 새롭게 할 바이다. 하물며 성조(聖朝)에서 문을 숭상하는 교화로서 하늘이 선비를 많이 내어 편안하게 되는 때에 있어서 이겠는가…….” 하였다.
○ 강석덕(姜碩德)의 시에,
“10년의 풍속과 교화가 민정에 흡족하니,
봉이 우는 높은 산이 정기를 모았네.
새로 전당(鱣堂 강당)을 여니 학문의 바다가 맑고, 항상 필진(筆陣)을 열어 시성(詩城)을 움직이게 한다.
가을이 깊으니 푸른 대는 바람을 머금어 맑고, 봄이 따뜻하니 청아(菁莪)가 비를 맞아 향기롭다.
성대한 교화로 오늘날에 길한 선비가 많으니, 고을의 선비들이 모두 경서를 궁구하네.” 하였다.
○ 이첨(李詹)이 성진(聖眞 공자의 화상)을 배알하는 시에,
“공해(公廨)의 단청이 한 횃불에 없어졌으나, 완악한 도적들도 오히려 문방(文坊)을 보호할 줄 알았네.
10년 동안 교남(嶠南 영남) 풍진 속에, 홀로 의관 갖추고 소왕(素王 공자)을 배알한다.” 하였다.
【역원】
소촌역(召村驛)주 동쪽 24 리에 있으며 역승(驛丞)이 있다.
본도에 속한 역이 열다섯이 있는데,
상령(常令)ㆍ평거(平居)ㆍ부다(富多)ㆍ지남(知南)ㆍ배둔(背屯)ㆍ송도(松道)ㆍ구허(丘虛)ㆍ관율(官栗)ㆍ문화(文和)ㆍ영창(永昌)ㆍ동계(東溪)ㆍ양포(良浦)ㆍ완사(浣沙)ㆍ오양(烏壤)ㆍ덕신(德新)이다.
○ 승(丞) 1명이다.
○ 정이오의 시에,
“역에 나무 그늘 짙고 시냇물 흐르는데, 오랜 나그네 몸 고달파 잠깐 머문다.
말발굽 남북으로 어느 때나 쉴까나. 강 위 인가에 죽루(竹樓)가 있네.” 하였다.
『신증』 금상(今上) 5년에 승을 없애고 찰방을 두었다.
영창역(永昌驛) 주 남쪽 52 리에 있다.
문화역(文和驛) 주 남쪽 60 리에 있다.
평거역(平居驛) 주 서쪽 10 리에 있다.
정수역(正守驛) 주 서쪽 54 리에 있다.
평사역(平沙驛) 주 서쪽 1백 19 리에 있다.
소남역(召南驛) 소남진 서쪽에 있다.
안간역(安間驛) 주 북쪽 42 리에 있다.
부다역(富多驛) 주 동쪽 59 리에 있다.
○ 정이오(鄭以吾)의 시에,
“바람과 햇빛 맑고 고와서 가을 기운 높은데,
역정(驛程)의 단풍잎이 말 머리에 나부낀다.
전송하고 맞이하는 것은 오직 소나무인데,
길을 끼고 우뚝 서서 허리 굽히기를 부끄러워한다.” 하였다.
개경원(開慶院) 주 동쪽 2 리에 있다.
○ 정이오의 기문에,
“진주의 진산(鎭山)이 높직하게 구름 위에 솟았으며,
양 기슭이 길게 울퉁불퉁 옆으로 동서로 뻗었다가 다시 서로 감쌌다.
감싼 복판이 널찍하여 사방이 편평한데, 거기에 진주가 위치하였다.
두류산 동남쪽 산골짜기 물이 모여서 강이 되어 남쪽으로 가로질렀다.
왼쪽으로 감싼 복판에 긴 두 덕이 북에서 남으로 와서, 강에서 백 보 되는 곳에서 멈췄는데,
《군지(郡誌)》에서 이른바 옥봉(玉峯)이라 하는 것이다.
그 봉우리가 마치 나그네가 되어 절제를 받지 않는 것 같은 기상이 있으므로, 그곳에다가 원(院)을 짓고 개경(開慶)이라 하였는데,
이는 지기(地氣)를 누르려는 것이었다.
그 남쪽에 강물이 돌아 결(玦) 같고 띠 같으며,
멧부리들은 착잡하게 솟아서 병풍과 장자(障子) 같고,
석벽에 불상 같은 무늬의 그림이 있는데,
고을 사람이 불영암(佛影巖)이라 한다.
원이 처음에는 겹으로 된 누각이 층층으로 솟아나서,
맑은 물결과 푸른 석벽에 빛났던 것이나,
고려 말기에 왜구에게 진주가 함락되니 백성이 텅 비었고, 원에도 화가 미쳤다.
지금 경산 부사(京山府使) 하공(河公) 유종(有宗) 호보(浩甫)는 우리 고을의 효성스럽고 우애 있는 군자이다.
일찍이 옛 제택 곁에다가 원 하나를 개설하고,
오가면서 올라다 보며 사정(思亭)의 뜻을 본받고,
또 혜택이 나그네에게도 미쳐서 유숙하는 데에 편리하게 하였는데,
지금 장자원(長者院)이라는 것이 이것이다.
재목과 기와를 모으고 공역을 헤아려 날을 정하는데,
마침 목백(牧伯) 박공 자안(子安)이 부임하여 하공에게 청하기를,
‘개경원이 이 고을에 도움 됨이 가장 크다.
사신이 왕래할 때에 경유하는 곳이고,
수령을 맞이할 때에 휴식하는 곳이다.
또 요충 지대에 해당되므로 나그네들이 잇따라서,
어깨가 맞닿고 소매가 부닥치니,
어찌 다른 역관과 견줄 것이겠는가.
그러니 원을 수리하지 않음은 수령의 허물이다.
그러나 공사(公舍)를 수선하느라고 딴 곳은 돌볼 여가가 없으니,
청컨대 먼저 개경(開慶)에 착수하여, 우리 고을 백성의 힘을 펴게 하는 것이 좋겠다.’ 하였다.
호보가 의롭게 여겨서 허락하고 재목과 기와를 실어 나르며,
옛 제도보다 줄여서 달을 넘겨 완성하였으니, 홍무(洪武) 갑자년이었다.
장엄하고 화려함은 비록 예보다 못하나, 아래위 당과 행랑이 질서 정연하며 산뜻하여 볼 만하였다.
5년 뒤 무진년에 다시 재목과 재력을 갖추어서 장자원을 완성하였으니,
이것은 하공의 본뜻이다. 나는 생각하기를,
선양공(單襄公)이 초(楚) 나라에 사신 가면서 진(陳) 나라를 지나다가 그 나라 냇물과 못에 제방과 돌다리가 없어서 길이 막힌 것 같으며, 나그네가 묵을 곳이 없음을 보고, 마침내 그 나라가 반드시 망하리라는 것을 알았다. 대개 성곽ㆍ도로ㆍ여사(旅舍) 등은 모두 삼대(三代) 시대부터 정사를 하는 요체이며, 주관(周官)에는 더욱 여기에 삼가하였다. 인인(仁人)과 군자가 그것이 황폐한 것을 보고는 모두 차마 그대로 두지 못하는 바이다. 이번에 개경원을 중건한 것을 호보는 자신의 공으로 하지 아니하고 목백(牧伯)에게 돌리니, 또한 착한 것을 남과 함께 하는 마음이다. 우리 고을 산수의 아름다움과 산에 오르고 물가에 임하는 즐거움은, 내가 벼슬에서 물러나기를 청하여 허락된다면 마땅히 가서 눈으로 보고 마음에 얻게 될 것이니, 호보는 기다려 주오.” 하였다.
장박지원(長朴只院) 주 동쪽 49 리에 있다.
축현원(杻峴院) 주 북쪽 30 리에 있다.
분현현(盆峴縣) 주 동쪽 20 리에 있다.
가수개원(可樹介院) 주 동쪽 5 9리에 있다.
섬진원(蟾津院) 섬진 언덕에 있다.
영창원(永昌院) 영창역 곁에 있다.
남제원(南濟院) 주 남쪽 4 리에 있다.
어속원(於束院) 주 동쪽 62 리에 있다.
추모원(楸母院) 주 서쪽 15 리에 있다.
철소원(鐵所院) 주 북쪽 30 리에 있다.
서정자원(西亭子院) 주 서쪽 5 리에 있다.
소남원(召南院) 소남역 곁에 있다.
구라량원(仇羅梁院) 구라량에 있다.
신원(新院) 주 북쪽 40 리에 있다.
차의원(車衣院) 주 북쪽 13 리에 있으며 낙빈루(樂賓樓)가 있다.
응제원(應濟院) 주 서쪽 11 리에 있다.
『신증』【교량】
십수교(十水橋) 주 남쪽 28 리에 있다. 사천(泗川) 경계이다.
【불우】
단속사(斷俗寺)지리산 동쪽에 있다.
골 입구에 최치원(崔致遠)이 쓴 ‘광제암문(廣濟嵒門)’ 네 글자를 새긴 돌이 있다.
또 치원의 독서당(讀書堂)이 있었는데, 뒤에는 중 대감(大鑑)의 영당으로 되었다.
또 신라 병부령 김헌정(金獻貞)이 지은 중 신행(神行)의 비명과, 고려 평장사 이지무(李之茂)가 지은 중 대감의 비명과, 한림학사 김은주(金殷舟)가 지은 진정대사(眞定大師)의 비문이 있다.
○ 강회백(姜淮伯)이 과거하기 전에 이 절에서 글을 읽으면서 매화 한 그루를 손수 심었다.
그 뒤 벼슬이 정당문학에 이르렀으므로, 그 매화나무를 정당매(政堂梅)라 하였다.
불일암(佛日庵)서쪽으로 쌍계사(雙溪寺)와 10여 리 거리이다.
벼랑과 골짜기가 아주 가파라서 길을 낼만한 곳이 없다.
그러므로 절벽 중간을 한 사람이 갈 수 있게 파서 길을 만들었다.
그러나 오가는 자로서 놀라 땀이 나며 머리끝이 쭈뼛하지 않는 자가 없다.
암자는 벼랑에 달아 맨 듯한데, 밑이 수백 길이나 된다.
못이 두 곳인데 깊이를 알 수 없으며, 하나는 용추(龍湫), 하나는 학연(鶴淵)이라 한다.
천불암(千佛庵) 천왕봉 밑에 있다. 돌이 집처럼 생긴 것이 있는데, 수십 명을 들일만하다.
안양사(安養寺) 섬진에서 동쪽으로 고개 셋을 넘어 60 리에 이 절이 있다. 오대사(五臺寺)와 함께 훌륭한 절이라 일컫는다.
묵계사(黙契寺) 안양사 앞 냇물을 따라서 북쪽으로 가면 계곡 사이가 매우 험하고 좁은데, 40여 리를 지나 물의 근원까지 이르면 지역이 조금 트이고 토지도 또한 비옥하며 평평하다. 절이 지리산에서 가장 훌륭한 곳에 있다.
영신사(靈神寺) 지리산에 있다. 절 뒤 봉우리에 깎은 듯한 돌이 섰고,
그 꼭대기에 작은 돌이 평상처럼 놓여 있는데 좌고대(坐高臺)라 부른다.
속담에, “능히 그 위에 올라가서 절을 네 번하는 자는 불성을 깨친다.” 한다.
응석사(凝石寺) 집현산(集賢寺)에 있다. 하연(河演)의 조부의 진영(眞影)이 있다.
청곡사(淸谷寺) 달엄산[月牙山] 서쪽에 있다.
법륜사(法輪寺) 달엄산 동쪽에 있다.
향적사(香積寺) 천왕봉 밑에 있는데, 성모묘(聖母廟)의 향화(香火)를 위해서 세운 것이다.
와룡사(臥龍寺) 와룡산에 있다. 고려 현종(顯宗)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놀고 간 곳이다.
오대사(五臺寺) 살천현(薩川縣) 남쪽에서 고개 하나를 넘으면, 다섯 봉우리가 벌여 서서 그 모양이 대 같은데, 절이 그 복판에 있으므로 절 이름으로 되었다.
또 수정사(水精寺)라 하기도 한다. 따오기알 만한 수정주(水精珠)가 있는데, 여의주(如意珠)라 부르며, 은으로 된 끈으로 얽어서 보배로 전해 온다. 절 중의 말에는, “구슬을 반동이 물에다가 담그면 물이 곧 넘친다.” 한다.
○ 권적(權適)의 기문의 대략에, “절주지 진억(津億)이 일찍이 동문승(同門僧) 혜약(慧約) 등과 더불어 탄식하기를,
‘출가한 자는 오직 한 가지 해탈만을 기약할 뿐인데, 진실로 이것을 빙자하여 높은 명예와 후한 이를 구한다면, 이것이 어찌 출가한 본심이리오.’ 하고, 이로부터 깊이 숨으려는 뜻이 있었다.
이에 이름난 산에 정사(淨社)를 지어서 동림(東林) 서호(西湖)의 유풍을 따르고자 하였으나, 알맞은 곳이 없었는데, 지리산 오대라는 황폐한 절이 있다는 것을 들었다.
지리산은 해동의 큰 진산(鎭山)으로서 높고 깊고 넓고 큰 것이 천하에 견줄 데가 없으며, 오대사는 또 그 산의 남쪽에 있다.
그 산이 일어났다 낮아졌다 한 것이 다섯 겹이어서, 은은하게 대를 쌓아 놓은 듯한 까닭에 그것을 절 이름으로 한 것이다.
천 봉우리가 고리처럼 호위했고, 백 골짜기가 모여들어 현성(賢聖)이 그 속에 숨어 살고 있는 듯하여, 보는 자는 눈이 부시고 마음이 취하였다.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일찍이 남쪽에 갔다가 이곳에 와서 배회하며 두루 돌아보고, ‘여기가 큰 법이 머물 곳이다.’ 하였다.
진억선사(津億禪師)는 이 얘기를 듣고 용기를 내어 가서는 그곳을 발견하였다.
인하여 머물 터를 닦아, 시주를 모집하고, 몸소 목공을 거느리고 도끼를 잡고 빨리 지었는데, 집이 86칸이다.
선사는 수정 하나를 얻어서 아미타불상에 걸어서, 신심을 표명하고, 인하여 수정사(水精社)라 이름하였다.
송나라 선화(宣和) 5년 계묘 7월에 짓기 시작하여, 건염(建炎) 3년 기유(己酉) 10월에 마쳤다.
3일 동안 낙성법회를 베풀고, 엄천사(嚴川寺)의 수좌 성선(性宣)을 청해서 경을 설하였다.
임금께서 동남해 안찰 부사 기거사인 지제고 윤언이(尹彦頤)에게 명하여 향을 올리고, 이어 은 2백 냥을 하사하였다. 이로써 먼 데서나 가까운 데서 신심이 쏠리어 와서 속인이 폭주하였다.” 하였다.
우방사(牛房寺) 우산에 있다.
지거사(智居寺) 지리산에 있다.
○ 정몽주(鄭夢周)가 주지 각경(覺冏)에게 부친 시에,
“남으로 놀아 어느 곳에 시냇 소리 듣는고. 지리산이 높고 높아 만 길이나 푸르네. 봄 원(院)에 해 길고 일 없으니, 사미가 와서 묘법연화경 배우리.” 하였다.
화엄사(華嚴寺)ㆍ신흥사(神興寺) 모두 지리산에 있다.
쌍계사(雙溪寺) 지리산에 있다.
○ 세상에 전하기로는, 최치원이 여기에서 글을 읽었다 한다.
뜰에 늙은 괴목(槐木)이 있는데, 거의 백 아름이나 된다.
그 뿌리가 북쪽으로 작은 냇물을 가로질러 서리서리 얽히어 다리 같으므로 절중이 인해서 다리로 만들었다.
최치원이 손수 심은 것이라 한다. 고을 입구에 돌 두 개가 마주 있어 문 같은데, 동쪽 돌에는 쌍계, 서쪽 돌에는 석문(石門)이라는 글자를 새겼고, 또 옛 비가 있는데 비문은 치원이 지은 것이다.
○ 최치원이 이 절에 있으면서 호원상인(顥源上人)에게 부친 시에,
“종일토록 머리 숙이고 붓끝을 희롱하니, 사람마다 입 다물어 맘속 말하기 어려워라.
진세를 멀리 떠난 건 비록 즐거우나, 풍정(風情)이 없어지지 않으니 어찌할꼬.
개인 놀 단풍 길에 그림자를 다투고, 비 오는 밤 흰 구름 여울에 소리 연했다.
읊조리는 마음 경치를 대해 얽매임 없으니, 사해의 깊은 기틀 도안(道安)을 생각노라.” 하였다.
영대사(靈臺寺) 지리산에 있다.
○ 정추(鄭樞)의 시에,
“이끼 낀 길 지팡이 짚고 굽이굽이 내를 따라 가니, 대숲이 잠겼는데 시냇물 시끄러워 길이 더욱 아득하다.
지는 해 창자 끊어지는 곳, 구름에 연한 높은 나무에 소쩍새 운다.” 하였다.
용암사(龍巖寺) 반성현(班城縣) 영봉산(靈鳳山) 속에 있다. 고려 중 무외(無畏)가 거처하던 곳이다.
○ 고려 박전지(朴全之)의 기문에,
“옛날에 도선(道詵)이 말하기를,
‘만약 세 암사(巖寺)를 창립하면 삼한이 통일되어 전쟁은 저절로 그치게 된다.’ 하였다.
그리하여 선암(仙巖)ㆍ운암(雲巖)과 이 절을 창건하였다.” 하였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주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에 있다.
성황사 주 남쪽 5 리에 있다.
여단(厲壇) 주 북쪽에 있다.
성모사(聖母祠) 지리산 천왕봉 꼭대기에 있다. 성모상(聖母像)이 있는데, 이마에 칼 흔적이 있다.
속설에는,
“왜구가 우리 태조에게 격파 당해서 궁하게 되자,
천왕이 도우지 않은 탓이라 하며 분함을 이기지 못하여 칼로 찍고 갔다.” 한다.
강민첨 사(姜民瞻祠) 주 관청 안에 있다.
천희(天禧) 2년에 민첨이 거란 군사와 싸워서 공이 있었으므로, 본주(本州)를 목(牧)으로 승격시켰다.
그리하여 고을 사람들이 지금까지 제사지낸다.
『신증』
【총묘】
하륜(河崙)묘주 북쪽 오이방(梧耳方)에 있다.
【고적】
흥선폐현(興善廢縣) 곧 흥선도이다.
본래 고려 유질부곡(有疾部曲)인데 뒤에 창선현(彰善縣)으로 고쳐서 본 주에 와서 속하였고, 충선왕(忠宣王)이 지금 명칭으로 고쳤다. 왜구 때문에 인물이 모두 없어졌다. 지금은 직촌(直村)이다.
○ 원종 10년에 일본이 우리 변경을 침략하려 한다는 것을 듣고, 여기에 간직하였던 국사(國史)를 진도(珍島)에 옮겼다.
굴촌폐현(屈村廢縣)주 서쪽 50 리에 있다. 신라 때에 본주에 예속되었다.
가차례부곡(加次禮部曲)ㆍ어아부곡(於牙部曲) 모두 주 남쪽 10 리에 있다.
침곡부곡(針谷部曲) 주 서쪽 15 리에 있다.
율곡부곡(栗谷部曲) 주 서쪽 30 리에 있다.
부곡부곡(釜谷部曲) 주 북쪽 5 리에 있다.
인담부곡(鱗潭部曲) 영선현에 있으며 주와 30 리 거리이다.
송자부곡(松慈部曲) 영선현에 있다.
월아부곡(月牙部曲) 주 동쪽 15 리에 있다.
대야천부곡(大也川部曲) 선천(鐥川)이라는 명칭도 있으며, 주 서쪽 40 리에 있다.
송곡향(松谷鄕) 주 남쪽 30 리에 있다.
복산향(福山鄕) 영선현에 있다.
벌대소(伐大所) 주 서쪽 40 리에 있다.
수곡소(水曲所) 주 서쪽 30 리에 있다.
화곡소(火谷所)ㆍ대곡소(大谷所) 모두 주 동쪽 30 리에 있다.
수대곡소(水大谷所) 주 남쪽 40 리에 있다.
갈곡소(葛谷所) 주 동쪽 20 리에 있다.
시중백(侍中柏)
정이오의 시중백 시의 서문에,
“시중백이란 것은 개국공신 좌시중(開國功臣左侍中) 배극렴(裵克廉)이 심은 것이다.
지정(至正) 계묘년에 공이 진주에 목사로 와서 일으키고 세운 것이 많았다.
고을에 온 다음 해에 산중에서 어린 잣나무를 옮겨다가 관아 북헌(北軒)에다가 심었다.
그가 임기가 차서 갈려 간 뒤에 진주 백성은 공의 덕을 사모하여 그 나무를 사랑하는 것이 소공(召公)의 감당(甘棠)과 같았다.
대개 잣나무는 절개가 있어 사시를 통하고 천년을 지나도록 지엽이 변하지 않으니, 보통 초목과는 아주 다르다. 누구가 사랑하지 않으랴.
부자(夫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날씨가 추워진 뒤에라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안다.’ 하셨는데, 이는 그 절개를 사랑한 것이다. 공의 사랑하는 바가 성인의 뜻과 같으니, 그의 공이 개국의 으뜸으로 벼슬이 총재(冢宰)에 이르렀고, 죽은 뒤에 정절(貞節)이라는 시호를 추증 받음이 마땅하다.
지금 공이 간 지 48년이다. 조그마하던 잣나무가 푸르름이 하늘을 떨치고 뇌우(雷雨)를 밀칠 만큼 되었으니, 그 천연 그대로의 본성을 온전히 한 것이요, 공의 당시 정사 또한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정절공 이후로 이 고을을 다스린 자가 또 몇 사람이었는지 모른다.
그런데 지금 영목사 최공이(崔公迤)가 처음으로 이것을 읊조렸으니, 정절 공에게 가만히 합함이 있는 것이다.
그의 시에,
‘덥고 싸늘함을 반백 년 겪었으니, 세한(歲寒)의 재목이 제세(濟世)의 현인과 합치되네.
손수 영재(鈴齋) 가에 심은 뜻 알고자 할진대, 맑은 바람을 남겨 후세에 전하세.’ 하였다.” 한다.
암석이서(巖石異書) 우리 태조(太祖)가 잠저에 있을 때에, 중이 이상한 글을 바치면서 지리산 바윗돌 사이에서 얻었다는 것이었다.
그 글에는 ‘목자(木子)가 돼지를 타고 내려와서 삼한(三韓)을 바로잡는다.’는 글귀가 있었다.
사람을 시켜 맞아들이려 한즉, 벌써 가버려서 찾지 못하였다.
남지이조(南池異鳥) 신라 헌덕왕(憲德王) 13년에 헌창(憲昌)이 청주 도독(菁州都督)으로서 웅천(熊川)의 진장(鎭將)으로 옮겨 가서 배반하였다.
이보다 먼저 청주 태수의 청사(廳事) 남쪽 못 가운데에 이상한 새가 있었다.
몸 길이는 5척이나 되며 빛이 검고 머리는 다섯 살쯤 되는 아이 같았다.
주둥이 길이는 한 자 다섯 치이고, 눈은 사람 같으며, 목구멍은 다섯 되들이 그릇만 하였는데 3일 만에 죽었다.
당시 사람이, “헌창이 패망할 조짐이다.” 하더니, 과연 그러하였다.
구라량폐영(仇羅梁廢營) 각산(角山)에 있다.
예전에는 수군만호가 있었는데 지금은 고성현(固城縣) 사량(蛇梁)으로 옮겼다.
송대산성(松臺山城) 토축(土築)으로 둘레가 4천 73척이었는데 지금은 무너졌다.
성산성(城山城) 하나는 주 동쪽 44 리에 있는데 토축이며, 둘레는 2천 8백 14척이고, 하나는 주 서쪽 48 리에 있는데 석축이며, 둘레는 9백 77척인데, 지금은 모두 무너졌다.
『신증』
명진부곡(溟珍部曲) 영선(永善) 동쪽 15리에 있다.
고려 말기에 거제현(巨濟縣) 명진포(溟珍浦) 사람들이 여기에 우거하였다.
본조에 들어와서는 그들이 본토에 돌아갔으나 그대로 이름이 되었다.
진성부곡(晉城部曲)주 동서쪽 15 리에 있으며 산꼭대기에 성터가 있다.
【명환】
신라
향영(向榮) 헌덕왕 때에 청주 도독이었는데, 헌창이 자기에게 붙으라고 협박하였으나, 향영은 몸을 빼어 달아나서 적에게 더럽힘을 당하지 않았다.
김흔(金昕) 헌덕왕 때에 강주 도독(康州都督)이 되었다.
복세(福世) 신문왕(神文王) 5년에 청주 총관이 되었다.
김암(金巖) 강주 태수였다.
왕봉규(王逢規) 경애왕 때에 권지강주사(權知康州事)였다.
당(唐) 나라 명종(明宗)이 회화대장군(懷化大將軍)으로 삼았다.
고려
왕해(王諧)부사로 있었는데, 아전이 두려워하고 백성이 감복하였다.
동도 유수로 옮기게 되자 진주 백성은 눈물을 흘리며 유임되기를 원하고, 드디어 간절하게 조정에 청하기를,
“우리 왕 사또를 1년 동안만 빌려 주소서.” 하여, 다시 재임되었다.
사람됨이 굳세고 정직하며 청백하여, 모든 계획한 바가 백성을 편하게 하지 않는 것이 없었다.
김준(金晙) 사록(司錄)으로 왔다가 청백하므로 여러 번 벼슬이 옮겨져서 좌습유 지제고가 되었다.
임민비(林民庇) 의종조(毅宗朝)에 원이 되었다.
채정(蔡靖) 신종조(神宗朝)에 목사였다.
이행검(李行儉) 고종조(高宗朝)에 사록이었다.
전광재(全光宰) 고종조에 부사였다. 안진(安震) 통판이었다.
이우(李瑀) 재간이 있으므로 나와서 목사가 되었는데 유애(遺愛)가 있었다.
배극렴(裵克廉) 목사였다.
설장수(偰長壽).
본조
최이(崔迤) 영목사로 있었다.
안노생(安魯生)ㆍ조세안(趙世安)ㆍ임인산(林仁山)ㆍ정사(鄭賜)ㆍ안지귀(安知歸)ㆍ이영견(李永肩) 모두 목사였다.
『신증』
손소(孫昭) 목사였으며, 옥사를 잘 처결하고 정사가 너그러워서 백성이 애모하였다.
이우(李堣) 목사였다. 청렴하고 간결함으로 다스렸다.
【인물】
고려
하공진(河拱辰) 현종이 거란군(契丹軍)을 피해서 남쪽으로 간 다음, 공진이 표문을 받들고 거란 진영에 가서 군사를 돌리도록 청하였다. 거란 임금이 허락하고 드디어 공진을 억류하였다. 억류되어서는 내심으로 환국하려고 꾀하면서 겉으로 충성을 표시하니, 거란 임금이 매우 총애하였다. 공진이 좋은 말을 많이 사서 동쪽으로 나오는 길에다 두고서 돌아올 계책을 꾸몄다. 사람이 그의 계책을 고발하여 거란 임금이 공진을 국문하니, 공진이 사실대로 대답하고, 또, “신이 본국에 대하여 감히 두 마음을 갖지 못하옵는바, 살아서 대국을 섬기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하였다. 거란 임금이 의롭게 여겨서 용서하고, 절개를 고쳐 자기에게 충성하라 하였으나, 공진의 언사가 더욱 공손하지 않으니, 마침내 죽였다.
강민첨(姜民瞻) 목종조(穆宗朝)에 과거에 올랐다. 현종(顯宗) 때에는 대장군으로서 강감찬(姜邯贊)의 부장이 되어 거란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응양 상장군 주국(鷹揚上將軍柱國)으로 발탁되었다가,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로 전임되었고, 추성치리 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의 호를 받았고, 병부상서로 죽으니,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추증되었다.
강창서(姜彰瑞) 어려서 본주 향교 소속의 생도로서 학업에 힘써서 글을 잘 지으니, 강남 쪽 학자로서는 그보다 나은 이가 없었다. 희왕(熙王) 8년 봄에 성시(省試)에 가려는데, 아버지 사호(司戶)가 마침 죄에 걸려 옥에 갇혔다. 고을에 나아가서 방면하기를 청했으나 관원이 허락하지 아니하고, “네가 만약 장원 급제하면 방면할 수 있을 것이다.” 하고, 옥사를 연기하고 기다렸더니, 과연 장원이 되었다. 금의환향하니, 목백이 막료와 주 아전들을 거느리고 성 밖에 나와서 맞이하고, 그의 집에 가서 크게 잔치를 베풀고 부모에게 술을 권해서 경축하니, 온 경내가 영화롭게 여겼다. 벼슬이 여러 번 옮겨져서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다.
강인문(姜引文) 박사 계용(啓庸)의 아들이다. 부자가 모두 유학으로 이름이 드러났다. 계용이 일찍이 서장관(書狀官)으로 일본에 간 일이 있었는데, 원(元) 나라 조정에서 일본을 정벌하면서 계용이 길을 안다는 것으로 또 서장관으로 천거되었다. 풍파가 험난하였고 또 교전하던 때이므로 여러 번이나 죽을 뻔하였다. 돌아와서는 다시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손에게도 선비노릇은 하지 말도록 경계하였다. 까닭에 아들 감찰어사 사첨(師瞻)과 손자 문하시중 창귀(昌貴)가 모두 아전으로서 벼슬길에 나아갔다. 증손 성민(性敏)이 학문을 좋아하여, 다시 선비로서 과거에 올라 벼슬이 재보(宰輔)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하을지(河乙沚) 충혜왕조(忠惠王朝)에 장원 급제하였고, 벼슬이 계림원수(鷄林元師)에 이르렀다. 하즙(河楫) 벼슬이 찬성사에 이르러서 진천군(晉川君)으로 봉함을 받았고, 시호는 원정(元正)이다. 하윤원(河允源) 즙의 아들이다. 충혜왕 말년에 과거에 올랐다. 공민왕조에 전리총랑(典理摠郞)으로서 여러 장수를 따라 경성을 회복하여서 2등 공신이 되었다. 신돈(辛旽)이 정사를 마음대로 할 적에 홀로 아첨하지 않았다. 신우(辛禑) 초년에 대사헌으로 발탁되어, “그른 줄 알면서 그릇 판결하면 황천이 벌을 내린다.[知非誤斷皇天降罰]”는 여덟 글자를 목판에 써서 헌대(憲臺) 위에 걸어 놓고 일을 보았다. 상주가 되어 시묘하였다. 조서를 내려서 불렀으나 조서가 도착하기 전에 죽었다.
정을보(鄭乙輔) 상서 공부시랑으로 증직되고, 정천군(菁川君)으로 봉함을 받았으며 글을 잘 지었다. 강기(姜蓍) 나이 19세에 성균시에 합격하였다. 판도판서 문하찬성사를 지냈고, 추충보조공신(推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고, 진산군(晉山君)으로 봉함을 받았으며, 시호는 공목(恭穆)이다. 강회백(姜淮伯) 강기의 아들이다. 신우 초년에 과거에 올라 밀직제학을 지냈고, 본조에 들어와서 동북면 도순문사가 되었다. 《통정집(通亭集)》이 있어서 세상에 전한다.
본조
하륜(河崙) 고려 말기 과거에 올라 조정과 외방의 벼슬을 역임하였으며, 경세제민의 재질이 있었다. 우리 태종(太宗)을 도와서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이 되어, 진산 부원군(晉山府院君)으로 봉함을 받았고,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호정집(浩亭集)》이 있다.
하연(河演) 윤원(允源)의 손자이다. 과거에 올라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하경복(河敬復) 무과에 합격하여 벼슬이 의정부 찬성사에 이르렀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하한(河漢) 경복의 아들인데, 또한 무용(武勇)으로써 일컬었다. 벼슬이 중추에 이르렀고, 시호는 강장(剛莊)이다.
정이오(鄭以吾) 과거에 올라 벼슬이 도총제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시를 잘하여 《교은집(郊隱集)》이 있다. 정척(鄭陟) 향공(鄕貢)으로서 과거에 올라, 벼슬이 지중추원사 수문전 대제학(知中樞院事修文殿大提學)에 이르렀고, 시호는 공대(恭戴)이다. 성품이 부지런하고 공손하며 청렴개결로 스스로 지켰으며, 조정의 의례에 건의한 바가 많았다. 세조(世祖)가 일찍이 말하기를, “세종(世宗)께서 ‘청직(淸直)’ 두자로써 경을 칭찬하셨는데, 그 말씀이 아직도 귀에 남았다.” 하고, 의복과 말을 하사하였다.
강석덕(姜碩德) 회백의 아들이다. 벼슬이 지돈녕부사에 이르렀고, 시호는 대민(戴愍)이다. 《완역재집(玩易齋集)》이 있다. 강희안(姜希顔) 석덕의 아들이다. 과거에 올라 벼슬이 인순부윤(仁順府尹)에 이르렀다. 글을 잘한다는 명망이 있었고, 전서ㆍ예서ㆍ해서ㆍ초서 글씨가 그림과 함께 묘하였다.
강맹경(姜孟卿) 회백의 손자이다. 과거에 올랐으며, 지낸 벼슬은 모두 청요한 관직이었다. 세조조에 좌익(佐翼) 공신으로써 진산 부원군으로 봉함을 받았다.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강희맹(姜希孟) 희안의 아우이다. 정묘년 과거에 장원하였고, 익대좌리공신(翊戴佐理功臣)으로써 진산군(晉山君)으로 봉함을 받았다. 벼슬이 의정부좌찬성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시와 문이 정묘하였고, 《사숙재집(私淑齋集)》 17권이 있다.
하숙산(河叔山) 세조조(世祖朝) 친시에 장원하였다. 벼슬이 낙안 군수(樂安郡守)에 이르렀으며, 뒤에 병으로 인하여 벼슬하지 않았다.
강자평(姜子平) 정축년 과거에 장원하였다. 두 번이나 승지가 되었고, 벼슬이 전라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아우 자순(子順)은 옹주(翁主)에게 장가들어 반성위(班城尉)가 되었다.
『신증』
정성근(鄭誠謹) 정척의 아들이며, 사람됨이 충효 정직하였다.
과거에 올라 벼슬이 승지에 이르렀고, 일찍이 성종(成宗)을 위해 3년 동안을 심상(心喪)하였다. 연산조(燕山朝)에 죽음을 당했다. 아들 주신(舟臣)도 과거에 올랐으나 일찍 죽었다.
하숙부(河叔溥) 경복의 손자이다. 무과에 올라 벼슬이 참판에 이르렀다. 청렴하고 간결함으로써 일컬었고, 시호는 경절(敬節)이다.
강귀손(姜龜孫) 희맹의 아들이다. 과거에 올랐고,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유순정(柳順汀) 문무(文武)의 재질이 있었다. 정미년 과거에 장원하였고, 조정과 지방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연산군 말기에 성희안(成希顔)ㆍ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계책을 결단하여 나라를 안정시켰다.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강혼(姜渾) 일찍 과거에 올랐고, 문장을 잘하였다. 연산조에 승지가 되었다가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참여하여 진천군으로 봉함을 받았다. 벼슬이 판중추부사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강형(姜詗)자평의 아들이다. 과거에 올라 벼슬이 대사간에 이르렀다가 연산조 갑자년에 죽음을 당했고, 금상(今上) 초년에 참판으로 증직되었다.
『신증』【우거】
본조
조숙기(曺淑沂) 과거에 올라 벼슬이 관찰사에 이르렀다.
【효자】
신라
성각(聖覺) 스스로 거사(居士)라 호하고, 일리현(一利縣) 법정사(法定寺)에 의탁하였다.
뒤에 돌아와서 어머니를 지극한 효성으로 봉양하였다. 어머니가 늙어서 병이 들자 다리 살을 베어 먹였고, 죽음에 이르러서는 장사를 지성껏 지냈다. 혜공왕(惠恭王)이 벼 3백 섬을 하사하였다.
고려
정유(鄭愈)ㆍ정손(鄭愻) 모두 지선주사(知善州事) 임덕(任德)의 아들이다. 공민왕 때에 아버지를 따라서 하동군(河東郡)에 수자리 사는데, 왜적이 밤에 갑자기 닥쳐 군사들이 다 도망치는데, 임덕은 병들어서 말을 타지 못하였다. 형제가 부축하여 달아나는데 왜적이 뒤쫓아 왔다. 정유가 말을 타고서 두어 놈을 쏘아 죽이니, 왜적이 감히 달려들지 못하였다. 그 중 한 놈이 칼을 뽑아 들고 돌진하여서 임덕의 뺨을 찌르므로 정손(愻)이 제 몸으로 가로 막으면서 또 네 놈을 베어 죽여, 임덕은 화를 면하였으나 정손은 마침내 적에게 죽었다.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서 정유에게 종부승(宗簿丞)을 제수하였다.
강안명(姜安命)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부모가 매양 이웃 늙은이와 술을 마시고 즐거워하였으므로 안명은 아내와 함께 힘껏 준비하고 어려운 빛을 드러내지 않았다. 어버이가 죽자 예보다 지나치게 슬퍼하였고, 죽은이 섬기기를 산 사람 섬기듯 하였다. 홍무(洪武) 경오년에 정문을 세웠다.
하현부(河玄夫) 벼슬은 사직(司直)이다. 90세 된 어머니가 병이 들자, 똥을 맛보고 종기를 빨았다. 전후에 부모상을 6년 동안 입었다.
여효제(余孝悌)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서 어버이를 힘껏 섬겼고, 어머니가 죽은 뒤에 3년 동안을 시묘하였다. 하루는 까마귀가 향안(香案) 위에 있던 사배(砂杯)를 물고 가버렸다. 효제는, “까마귀는 비록 미물이나 반포(反哺)하는 덕이 있는데, 나의 효성이 까마귀와 같지 못하므로 이것을 물고 가게 된 것이다.” 하면서, 깊이 탄식하였다. 꿈에 한 늙은이가, “슬퍼하지 말라. 3일이면 잔을 반드시 찾을 것이다.” 하였다. 기일이 되자 까마귀가 다시 물어다가 향안 위에다 두었다. 이 소문을 들은 자는 모두, “지성스러운 효도가 미물을 감동시킨 것이다.” 하였다. 일이 조정에 알려져서 정문을 세웠다.
본조
모순(牟恂) 세종조에 과거에 올라 좌사간대부를 지냈다. 일찍이 어머니의 종기를 빨아서 낫게 하였고, 뒤에 또 어머니가 병들자 똥을 맛보았다. 일이 조정에 알려져서 정문을 세웠다.
군만(君萬) 광대이다. 그 아버지가 밤에 범에게 물려갔다. 군만은 하늘에 통곡하면서 아침 되기를 기다려서 활과 살을 가지고 산에 들어갔다. 범이 다 먹고 양지 바른 곳에 있다가 군만을 보자 울부짖으면서 앞에 와서 먹었던 사지(四肢)를 토하였다. 군만은 살 한 개로 쏘아 죽이고, 칼을 뽑아 범의 배를 갈라서 남은 뼈를 다 거두어서 화장하였다.
득비(得妃) 그 아버지 김계남(金繼南)이 간질을 얻어 4년 동안을 낫지 않았다. 득비는 산 사람 고기를 먹이면 낫는다는 말을 듣고 제 왼쪽 손 넷째 손가락을 잘라서 먹였더니, 그 병이 드디어 나았다. 성화(成火) 8년에 정문을 세웠다.
『신증』
김백산(金白山) 16세 때에 아버지가 범에게 물려가므로 백산이 낫을 휘두르면서 범을 쳐서 아버지는 죽음을 면하였다. 성종(成宗) 9년에 정문을 세웠다. 박인(朴氤) 아버지가 죽었는데, 마침 연산군 때여서 상복의 기간을 짧게 하는 법이 엄하였다. 그러나 인은 최복(衰服)으로서 시묘살이 3년을 마쳤다. 금상(今上) 4년에 정문을 세웠다.
강응태(姜應台) 아버지가 나쁜 병에 걸렸으므로 손가락을 끊어 약에 타서 먹게 하였더니 병이 나았다. 금상 11년에 정문을 세웠다.
【열녀】
고려
최씨(崔氏) 영암(靈巖) 사인(士人) 인우(仁祐)의 딸인데, 본주 호장(戶長) 정만(鄭滿)에게 시집왔다.
홍무(洪武) 기미년에 왜적이 진주에 침입하여 온 경내가 달아나 숨었다. 이때에 정만은 일이 있어 서울에 갔는데, 왜적이 마을에 마구 쳐들어왔다. 최씨는 30여 세로 자색이 있었다. 네 아들을 안고 산중에 숨었더니, 왜적이 사방으로 나와서 노략질하다가 최씨를 만나 칼을 들이대고 협박하였다. 최씨는 나무를 안고 항거하며 소리질러 꾸짖기를, “나는 죽을 뿐이다. 도적에게 더럽힘을 받고 살기보다는 차라리 의롭게 죽겠다.” 하며, 꾸짖기를 말지 않으니, 왜적이 마침내 해쳐서 나무 밑에서 죽었다. 왜적이 두 아들을 포로로 잡아 갔고, 셋째 아들 습(習)은 겨우 여섯 살이었는데 시체 곁에서 울부짖고, 젖먹이 아이는 기어가서 젖을 빨아 피가 흥건하게 입으로 들어갔는데 잇따라 죽었다. 10년 뒤 기사년에 도관찰사 장하(張夏)가 조정에 알려서 정문을 세우고, 정습에게는 이역(吏役)을 면제하여 주었다.
『신증』 본조
정씨(鄭氏) 조지서(趙之瑞)의 아내이다. 연산군 을축년에 지서는 죽음을 당하고, 재산은 몰수되고 집에는 못을 팠다. 정씨는 그 곁에다가 초막을 얽고, 지서의 입던 옷을 설치하고, 제전(祭奠)을 드리면서 3년을 마쳤다. 금상 2년에 정문을 세웠다.
【제영】
유맹상피진(遺氓尙避秦)
이색(李穡)이 융막(戎幕)에 가는 사람을 전송하는 시에,
“두류산(頭流山)이 좋다는 말 들었다. 정천(菁川)이 막부 이웃이라지. 다만 공무가 적어지게 되면, 자주 나가서 유람함이 무슨 방해되랴. 괴상한 얘기는 진(晉) 나라 적 일을 듣는 것 같으려니, 남은 백성이 오히려 진 나라를 피하였으리. 그대는 능히 그들의 종적을 알겠는가, 사해는 아직도 한창 풍진이로다.” 하였다.
명성천하희(名城天下稀)
이색의 시에,
“기실(記室)은 망년의 벗이요, 이름난 성으로 천하에 드물다. 강루(江樓)엔 서늘함이 좌석에 가득하고, 대숲 속집에는 푸른빛이 옷을 적시네. 홍시에 서리가 처음으로 무겁고, 뱅어는 가을이라 한창 살쪘겠네. 맑은 늪이라 응당 아직 끝남이 없으리니, 남쪽으로 바라보며 돌아가는 사람 전송한다.” 하였다.
영대사원운매곡(靈臺寺遠雲埋谷)
이색의 시에,
“영대사 머니, 구름이 골을 묻었고, 촉석루 높으니, 나무가 하늘에 닿았네.” 하였다.
수점청산침벽호(數點靑山枕碧湖)
정여령(鄭與齡)의 시에,
“두어 점 푸른 산이 푸른 호수 베개 했는데, 공(公)은 이것이 진양도(晉陽圖)라 말하네. 물가에 초옥이 그 얼마인가. 그 중에 내 집 있는데 기울었는지 않았는지.” 하였다.
시원우과금단취(柹園雨過今丹脆)
최해(崔瀣)의 시에,
“감나무 동산에 비 지나니 금단이 물러졌고, 밤나무 언덕에 서리 내리니 옥 껍질이 얼룩졌다.” 하였다.
진양가려증경처(晉陽佳麗曾經處)
민사평(閔思平)의 시에,
“아름다운 진양은 일찍이 지난 곳, 노래하며 피리 불던 누대를 꿈속에 자주 드네. 묻노라, 지금엔 지주(地主)가 없다 하는데, 강에 가득한 가을 달을 누구에게 맡겼는가.” 하였다.
문무영재생락토(文武英材生樂土)
하연의 시에,
“문무의 영재는 낙토에서 나고, 산천 맑은 기운은 이름난 성에 자욱하다.” 하였다.
장천평초풍연호(長川平楚風煙好)
정이오의 시에,
“긴 냇물 질펀한 풀밭에 풍연이 좋고, 호탕한 피리와 애절한 거문고 소리에, 세월이 더디네.” 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치고, 관찰영(觀察營)을 두었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진보】
적량진(赤梁鎭) 흥선도(興善島) 가운데에 있는데, 거리는 주에서 1백 10리, 서쪽 남해로 30리이며, 성의 둘레는 1천 2백 82척이며, 옛날 만호가 있었다. 숙종 14년에 첨사(僉使)로 승격시켰다.
○ 수군동첨절제사 겸 좌조창영운차사(水軍同僉節制使兼左漕倉領運差使)가 있었다.
혁폐
삼천포보(三千浦堡) 남쪽으로 74리, 말문면성(末文面城)이다. 둘레가 2천 50척이며, 권관(權管)을 두었다가 뒤에 사천으로 옮겼고 또 고성(固城)으로 옮겼다.
우수영(右水營) 서남쪽의 남해 가에 옮겼다. 옛날에 만호가 있었고, 뒤에 고성의 사량(蛇梁)에 옮겼다.
각산수(角山戍).
【영아】
우병영(右兵營)
본조 태종 때 창원(昌原)에 설치하여 선조 36년에 촉석산성(矗石山城)에 옮겼는데, 앞은 장강(長江)에 임하였으며, 명승지로 삼았다.
속영(屬營) 진주 우영(右營)ㆍ상주 좌영ㆍ김해 별중영(別中營)이다.
○ 우영 인조 때 설치하였다.
○ 우영장 겸 토포사 1명이다.
○ 속읍은 진주ㆍ거창ㆍ하동ㆍ함양ㆍ곤양(昆陽)ㆍ합천(陜川)ㆍ초계(草溪)ㆍ남해ㆍ사천ㆍ단성(丹城)ㆍ산청(山淸)ㆍ안의(安義)ㆍ의령(宜寧)ㆍ삼가(三嘉)이다.
【관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ㆍ중군(中軍) 곧 병마우후(兵馬虞侯)이다.
심약(審藥)이 각 1인.
【토산】
대나무[竹]ㆍ석이버섯[石蕈]ㆍ오미자ㆍ웅담ㆍ녹용ㆍ백토(白土)ㆍ김ㆍ문어.
【성지】
송대산성(松臺山城) 흙으로 쌓았는데, 둘레가 4천 73척이다.
영선고현성(永善古縣城) 동쪽으로 44 리이다. 흙으로 쌓았는데 둘레가 4천 8백 14척이다.
굴촌고현성(屈村古縣城)서쪽으로 48 리이며, 둘레가 9백 77척이다.
진성부곡성(晉城部曲城) 동쪽으로 45 리이며, 산위에 옛 터가 있다.
월아산목책(月牙山木柵)동쪽으로 15 리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설치하였는데, 옛 터가 있다.
척산성(尺山城)ㆍ당산성(堂山城)ㆍ신령산성(神靈山城)이상 세 곳은 왜인이 쌓은 것이다.
【방면】
주내(州內) 군 안에 있다.
조곡(槽谷) 동쪽으로 처음이 2리, 끝이 25 리이다.
금산(金山) 동쪽으로 처음이 20리, 끝이 30 리이다.
대여(大如) 동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 리이다.
갈곡(葛谷) 위와 같은데 본래 갈곡의 소재지이다.
가주(加住) 위와 같다.
가수개(加樹介) 동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50 리이다.
가좌촌(加佐村) 동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35 리이다.
상사(上寺) 동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60 리이다.
반성(班城) 위와 같다.
오동(於東) 동쪽으로 처음이 50리, 끝이 70 리이다.
용봉(龍鳳) 위와 같다.
양전(良田) 위와 같다.
영이(永爾) 동남쪽으로 끝이 70 리이다.
내진(內晉) 동남쪽으로 끝이 50 리이다.
외진(外晉) 위와 같다.
말문(末文) 남쪽으로 처음이 60리, 끝이 90 리이다.
창선도(昌善島) 곧 흥선도(興善島), 남쪽으로 처음이 1백리, 끝이 1백 20리이다.
적량(赤梁) 흥선도 가운데 있는데, 처음이 1백 10리, 끝이 1백 30리이다.
영이곡(永耳谷) 동남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50 리이다.
오읍곡(五邑谷) 위와 같다.
영현(永縣) 동남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70 리이다.
성을산(省乙山) 동남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60 리이다.
금동오(金洞於) 동남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 리이다.
송곡(松谷) 위와 같다.
소촌(召村) 동남쪽으로 처음이 20리, 끝이 30 리이다.
이곡(耳谷) 위와 같다.
지곡(枝谷) 남쪽으로 처음이 15리, 끝이 25 리이다.
정촌(鼎村) 남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15 리이다.
섭천(涉川) 남쪽으로 처음이 5리, 끝이 10 리이다.
나동(奈洞) 남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20 리이다.
가차(加次) 본래 가차례(加次禮) 부곡인데, 서남쪽으로 처음이 25리, 끝이 30 리이다.
평거(平居) 서남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24 리이다.
신풍(新豐) 서남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 리이다.
부화곡(夫火谷) 위와 같다.
동곡(桐谷) 서남쪽으로 처음이 45리, 끝이 45 리이다.
모태곡(毛台谷) 북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 리이다.
사죽(沙竹) 북쪽으로 처음이 15리, 끝이 30 리이다.
동물곡(冬勿谷) 북쪽으로 처음이 5리, 끝이 10 리이다.
성태(省台) 북쪽으로 처음이 25리, 끝이 50 리이다.
집현(集賢) 북쪽으로 처음이 25리, 끝이 30 리이다.
명석(鳴石) 북쪽으로 40 리이다.
대곡(大谷) 본래 대곡의 소재지였는데, 동북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 리이다.
설매곡(雪梅谷) 동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50 리이다.
비라(非羅) 서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15 리이다.
침곡(針谷) 본래 침곡 부곡이었는데, 서쪽으로 처음이 50리, 끝이 40 리이다.
원당(元堂) 위와 같다.
이하(籬下) 서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50 리이다.
수곡(水谷) 위와 같다.
단속(斷俗) 서쪽으로 처음이 55리, 끝이 60 리이다.
서남(西南) 서쪽으로 35리이다.
정수(正守) 서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45 리이다.
북평(北坪) 위와 같다.
운곡(雲谷) 서쪽으로 처음이 50리, 끝이 55 리이다.
종화(宗花) 서쪽으로 처음이 50리, 끝이 60 리이다.
대야(大也) 위와 같다. 본래 대야천(大也川)의 부곡이었는데, 일명 선천(鐥川)이라고도 한다.
청암(靑巖) 서쪽으로 처음이 60리, 끝이 1백 30리이다.
가서(加西) 서쪽으로 처음이 60리, 끝이 70 리이다.
살천(薩川) 서쪽으로 처음이 80리, 끝이 1백 20리인데, 일명 시천(矢川)이라고도 한다.
삼장(三壯) 위와 같다.
백곡(柏谷) 서쪽으로 처음이 60리, 끝이 70 리이다.
금만(金萬) 서북쪽으로 처음이 60리, 끝이 70 리이다.
사월(沙月) 서북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50 리이다.
진성(晉城) 동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60 리이다.
파지(巴只) 서북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50 리이다.
오산(吾山) 서북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 리이다.
대평(大坪) 서북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35 리이다.
○ 오아(於牙) 부곡은 남쪽으로 10리,
율곡(栗谷) 부곡은 서쪽으로 30리,
부곡(釜谷) 부곡은 북쪽으로 5리,
인담(鱗潭) 부곡은 영선(永善)에 있는데, 주에서 30리 거리이다.
송자(松慈) 부곡은 영선에 있으며,
월아(月牙) 부곡은 동쪽으로 15 리이다.
명진(溟珍) 부곡은 영선에 있으며 동쪽으로 15 리인데,
고려 말에 거제(巨濟) 명진포(溟珍浦) 사람이 여기에 와서 붙어살다가 본군에 와서 거제로 돌아갔다.
진성(晉城) 부곡은 동쪽으로 45리, 지금의 진성면(晉城面)이며, 송
곡향(松谷鄕)은 남쪽으로 30리인데, 지금의 송곡면이다.
복산향(福山鄕)은 영선에 있고,
벌대(伐大)의 소재지는 서쪽으로 40 리이며,
수곡(水曲)의 소재지는 서쪽으로 30 리인데 지금의 수곡면이다.
화곡(火谷)의 소재지는 동쪽으로 30 리이며,
수대곡(水大谷)의 소재지는 남쪽으로 40 리이다.
○ 대야천(大也川) 부곡은 고려 공민왕(恭愍王) 7년에 남해의 왜인들이 토지를 잃고 임시로 붙어살던 곳이다.
【진도】
남강진(南江津)ㆍ황류진(黃柳津) 주의 동쪽이다.
운당진(雲堂津) 동쪽으로 10리, 남강진 하류이다.
정천진(菁川津) 서쪽으로 3리, 남강 상류이다.
소남진(召南津) 서쪽으로 29리 단성(丹城) 신안진(新安津) 하류이다.
라량진(仇羅梁津) 흥선도에 들어가는 자는 이 곳을 경유한다.
【교량】
십수교(十水橋) 남쪽으로 28리, 사천(泗川) 경계이다.
【창고】
읍창ㆍ군향창(軍餉倉)ㆍ제민창(濟民倉) 모두 읍내이다.
가산창(駕山倉) 우조창(右漕倉)이라고 하는데,
남쪽으로 40리 바닷가에 있다. 영조 경진년에 관찰사 조엄(趙曮)이 조정에 아뢰어 설치하여,
진주ㆍ곤양(昆陽)ㆍ하동ㆍ단성ㆍ남해ㆍ사천 및 고성 서북면, 의령 서남면의 전세(田稅)ㆍ대동(大同)을 거두어
수로로 서울에 이르렀다.
○ 진주목사 감봉 적량첨사(晉州牧使監捧赤梁僉使)가 거두어 바쳤다.
별향창(別餉倉)ㆍ통창(統倉) 모두 말문면에 있다.
장암창(場巖倉) 가차례면에 있다.
영현창(永縣倉) 영선 고현에 있다.
반성창(班成倉) 반성 고현에 있다.
북창(北倉) 사상면(寺上面)에 있다.
강창 대산여면(代山如面)에 있다.
서창(西倉) 수곡면(水谷面)에 있다.
별회창(別會倉)ㆍ보군창(補軍倉)ㆍ양무창(養武倉)ㆍ조음포창(助音浦倉)ㆍ유황고(硫黃庫)ㆍ영고(營庫).
【목장】
진주장 흥선도 가운데 있다.
○ 감목관(監牧官) 1명 있다.
【사원】
덕천서원(德川書院) 선조 병자년에 세우고 광해주 기유년에 사액하였다.
조식(曺植) 자는 건중(建中), 호는 남명(南溟)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벼슬은 전첨 증 영의정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최영경(崔永慶) 자는 효원, 호는 수우당(守愚堂)이며, 본관은 화순(和順)이다. 벼슬은 지평 증 대사헌이다.
○ 신당서원(新塘書院) 숙종 경인년에 세우고, 무술년에 사액하였다.
조지서(趙之瑞) 자는 백부(伯符), 호는 지족당(知足堂)이며 본관은 임천(林川)이다. 연산주 갑자년에 화를 입었으며 벼슬은 응교 증 도승지이다.
○ 은열사(殷烈祠) 고려 현종 신유년에 세우고, 광해주 때 사액하였다.
강민첨(姜民瞻) 본관은 진주인데, 벼슬은 병부상서 증 태자태보 상주국이며, 시호는 은열(殷烈)이다.
○ 창렬사(彰烈祠) 선조조에 세우고 뒤에 사액하였다.
김천일(金千鎰) 자는 사중(士重), 호는 건재(健齋)이며 본관은 언양이다. 벼슬은 판결사 창의사 증 영의정이며,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황진(黃進) 자는 명보(明甫)이며,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벼슬은 충청 병사 증 좌찬성이며,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최경회(崔慶會) 자는 선우(善遇), 호는 삼계(三溪)이며 본관은 해주이다. 벼슬은 경상우병사 증 좌찬성이며,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장윤(張潤) 자는 명보(明甫)이며, 본관은 목천(木川)이다. 벼슬은 진주 목사 증 병조판서이며,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이의정(李義精) 벼슬은 현감이다. 이상 5현(賢)은 선조 계사년 6월에 본주에서 전사하였다.
○ 충민사(忠愍祠) 효종 임진년에 세우고 현종 정미년에 사액하였다.
김시민(金時敏) 자는 면오(勉吾)이며, 본관은 안동이다. 벼슬은 우병사 증 영의정 상락부원군이며,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양산숙(梁山璹)양산숙(梁山璹) : 저본에는 양산도(梁山濤)로 되어 있으나, 오류이므로 수정하여 번역하였다.자는 회원(會元)이며, 벼슬은 공조 좌랑 증 좌부승지이다.
김상건(金象乾) 김천일의 법관인데 벼슬은 사포별좌 증 좌부승지이다. 이준민(李俊民) 벼슬은 거제 현령 증 병조 판서이다.
강희열(姜熙說) 의병장이다.
조경향(曺慶享) 벼슬은 진해 현감이다.
최기필(崔琦弼) 벼슬은 판관 증 호조 참의이다.
유함(兪𦛜)저본에는 유함(兪晗)으로 되어 있다. 《능허집(凌虛集)》 권4 〈사우록(師友錄)〉에 근거하여 수정하여 번역하였다.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의병장인데, 주부에 추증되었다.
이욱(李郁)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생원인데, 호조 좌랑에 추증되었다.
강희복(姜熙復) 의병장이다. 장윤형(張胤賢) 벼슬은 수문장 증 호조 좌랑이다.
박승남(朴承男) 벼슬은 판관이다.
하계선(河繼先) 유생인데, 호조 좌랑에 추증되었다.
최언량(崔彦亮) 본관은 삭녕(朔寧)이며 유생으로 호조 좌랑에 추증되었다.
고종후(高從厚)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의병 복수장이다. 벼슬은 임피 현령 증 이조 판서이며 시호는 효열(孝烈)이다. 이잠(李潛) 무과 출신으로, 적개의병장이다.
이숭인(李崇仁) 본관은 송경(松京)이며 무과 출신으로, 벼슬은 김해 부사 증 호조 판서이다.
성영달(成穎達) 본관은 창녕이며 무과 출신으로 벼슬은 경상 우병사이다.
윤사복(尹思復) 본주의 군관인데 벼슬은 첨정 증 호조 참의이다.
이인민(李仁民) 자는 자원(子元)이며 이준민의 아우이다. 유생으로 호조 좌랑에 추증되었다.
손승선(孫承善) 의병대장으로 호조 좌랑에 추증되었다.
정유경(鄭惟敬) 벼슬은 주부이다.
김태백(金太白) 벼슬은 수문장이다.
박안도(朴安道) 유생으로 호조 좌랑에 추증되었다.
양제(梁齊) 선무랑이었다. 이상은 선조 계사 6월에 본주에서 전사하였다.
【고읍】
굴촌(屈村) 서쪽으로 50리, 본래 신라 현의 땅인데, 경덕왕 16년에 굴촌이라 고쳐 강주(康州)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초에 와서 소속되었다.
문화(文和) 동남쪽으로 60리, 본래 신라의 교화량(蛟火良)이었는데, 경덕왕 16년에 문화라 고쳐 고성군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태조 때에 와서 소속되었다.
흥선(興善)흥선도 가운데 있으며, 남쪽으로 70리이다. 본래 고려 유질(有疾)의 부곡이었는데, 현종 때 창선(彰善)이라 고치고 내속되었다. 충선왕(忠宣王)이 흥선이라 고친 뒤에 왜구로 인하여 인물이 흩어져 죽자 인하여 폐해버렸다.
살천(薩川)서쪽으로 80리, 그 설치를 혁폐하여 마치지 않았다. 뒤에 강등시켜 부곡으로 삼았다. 그 우두머리가 머리를 깎았으므로 중대가리[僧首]라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