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중간심념 혹은 핵심신념 바꾸는 방법
핵심신념ㅇ르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많으 치료적 작업이 요구된다. 흔히 성격장애를 치료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도 성격장애의 근간이 되는 자기에 대한 핵심신념이나 대인관계 스키마를 수정하는데 많은 치료적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Dobson과 Donson은 핵심신념을 변화시키려면 내담자도 이런 치료적 목표를 공유하는지를 먼저 확실하게 하고 이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
이베 만해 핵심신념의 경우 핵심신념을 지지하는 경험을 계속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7-2에 나온 것과 같이 내담자가 핵심신념을 지지하는 사건에만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핵심신념에 맞지 않는 사건은 무시하거나 그 의미를 축소해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내담자는 핵심신며을 유지하는 보상전략을 사용하게 되어 결국 핵심신념을 지지하는 경험을 더 많이 하게 된다.
예컨대, 나는 사랑받을 만하지 않다. 라는 핵심신념을 가지고 있는 내담자는 이에 따른 보상전략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매달리고, 상대방이 자기를 사랑하는지 안하는지 계속 확인을 구하기 쉽다. 이런 행동은 시간이 지나면 내담자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을 힘들게 하고 관계가 멀어지게 만들기 때문에 결국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사랑받을 만하지 않다는 핵심신념을 지지하는 증거를 축적하게 만든다. 이와 같이 특정 핵심신념이 어떤 상황을 해석하는 것뿐 아니라 그런 상황을 창출해 내기도 한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핵심신념을 수정해 나가야 한다.
필자는 핵심신념을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핵심신념이 계속 유지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간신념을 변화시키는데 치료적 노력을 기울이근 것이 더 나은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
예컨대, 사람들에게 다가가면, 낭패를 당하기 쉽다. 사람들에게 속 이야기를 한다면, 날 우습게 볼 것이다. 등이 중간신념에 속한다.
이러한 내담자들의 중간신념은 나는 무능하다. 나는 사랑받을 만하지 않다 등의 부정적인 핵심신념이나 회피적 행동 패턴을 강화하고 변화시키기 어렵게 만든다.
----
핵심신념을 지지하는 증거와 반반하는 증거를 찾아서 비교하는 것으로는 오래된 핵심신념이 잘 변하지 않는다.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핵심신념을 유지하는 여러 보상 전략이 작용하고 있어 반박하는 증거가 약하기 때문이다 .
따라서 오래된 핵신신념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핵심신념을 미리 마련하고 이를 강호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
즉 부정적인 현실이 반복되어 일어나지 않도록 사회기술 훈련을 한다든지, 문제해결 훈련 등의 개입을 고려해야 한다. 이와 함게 심상재구성버이나 다른 체험 기법을 활요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떠한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치료적 관계를 활용하여 핵심신념을 이래하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상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2) 새로운 핵심신념 찾기-> 검증=> 강화하기
--- 따라서 오래된 핵심신념 대신에 내담자가 가지기를 바라는 새로운 핵심신념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이 새로운 핵심신념을 지지해주거나 강화해 주는 증거를 찾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즉 부정적인 핵심신념을 없애는 대신, 새로운 핵심신념을 찾아서 이것을 강화하는 접근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새로운 핵심신념이 이전 핵심신념만큼 강해지면 내담자의 생각이 더 융통성을 가지게 된다.
--- 만일 우리가 긍정적인 핵심신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이것은 마치 밑 빠진 독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긍정적인 경험을 담아 놓지 못하기 때문에 금방 사라져 버리고 만다.
-- 마지막 방법으로 새로운 핵신신념을 만들때 오래된 핵심신념을 수용하는 내요으로 갈수도 있다. 예컨대, 사람들은 믿을 만하지 않다. 라는 핵심신념에서 사람들이 믿을 만하지 않아도 괜찮다. 왜냐하면 나는 그것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라고 대안적인 핵심신념을 정하는 것이다 .
상
내
상
내
상
내
상 어떤 일을 완전히 잘할수 있어야지 자신감이 생길 것 같다는 거죠?
내 늘 그런 생각을 해요
상 완벽해져야지만 내가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럴 능력은 없다고 생각하시구요
내 그러니까 괴로운 거 같아요
상: 네, 그 생각을 한번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내 :
상:
내: 그동안은 상담을 받으면서도 나는 못한다는 생각을 되게 많이 했거든요.. 근데 신기한 게 지난주에 친구랑 이야기하면서 사람마다 다 능력이 틀린건데 좀 못하는 것도 있는 거지 뭘 그런 걸 가지고 그랬을까 그런 생각이 드는 거예요..
상
내
상
내 :
상
내 : 맞아요.. 내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나는 못난이야.. 하고 생각하는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