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류불안정도=위치불안정도 이고 기층이 상승시에 상하층 중에서 어느것이 빨리 포화되느냐에따라 대류 안정 대류중립 대류 불안정이 됩니다.
잠재 불안정도는 부력에 의한 상승 가능정도를 가늠하는 것입니다. 처음엔 음의 부력으로 상승하지 못하지만 어떻게든 상승해서 자유대류고도에 이르면 양의 부력을 받게 될 때 그 공기층 전체가 잠재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이구요. 양의 부력이 크면 진잠재불안정 음의 부력이 커서 비교적 안정할때 위잠재 불안정이라고 합니다.
첫댓글 그거내꺼파란색화일에
대기과학끝부분에있을껄?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4.07.15 14:17
어제공부했을땐 역전층에서 비가 내리는과정이 잠재불안정으로 시작해서 대류불안정으로 끝나던데
그거 내 화일에 있을텐데 두개다를껄?
잠재불안정에서 뻥하고터지면 대류불안정이라고하던데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4.07.15 14:43
집에 있음
대류불안정도=위치불안정도 이고 기층이 상승시에 상하층 중에서 어느것이 빨리 포화되느냐에따라 대류 안정 대류중립 대류 불안정이 됩니다.
잠재 불안정도는 부력에 의한 상승 가능정도를 가늠하는 것입니다. 처음엔 음의 부력으로 상승하지 못하지만 어떻게든 상승해서 자유대류고도에 이르면 양의 부력을 받게 될 때 그 공기층 전체가 잠재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이구요.
양의 부력이 크면 진잠재불안정 음의 부력이 커서 비교적 안정할때 위잠재 불안정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왜책에서는같은것이라고했을까요...
대기열역학책빼고는 대부분 단열선도 다룬책에선 대류=위치라고 나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