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은 워낙 장사가 잘돼 많은 분들이 아실거라 생각되긴 하지만
추석도 되고 했으니 고기집을 포스팅해보지요.

김흥국이 자기 고향이라고 강조하는 번동 네거리입니다. 앞에 보이는 고깃집이 바로 오늘
동문들이 모이는 음식점입니다. 이런 류의 화로구이집은 시내에 많이 산재해 있어
체인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데, 이집은 <청보리한우>라는 집입니다.

입구에 들어서자 마자 시원스레 개방된 주방이 있습니다.

정육점 식당을 표방하니 만큼 이렇게 쇼케이스도 있고
그 뒤 커다란 테이블에 묵직한 고기 짝을 올려놓고 해체하고 있습니다.

돼지갈비와 한우가 있는데 한우를 들려면 따로 세팅비를 받습니다.
한우가 그리 싼 것 같지도 않는데 또 세팅비라니~~
그래서 식구끼리 갈 적엔 좀 꺼려지는 부분입니다.

대신 푸성귀는 종류 별로 푸짐하게 갖다줍니다.

이집 쌈장. 콩, 풋고추, 마늘 범벅입니다. 나에겐 약간 싱거운 편.

그리고 항아리째 갖다 주는 백김치. 먹다 남아 버리지 말고 싸달라면 한사코 안된답니다.
따로 팔기도 하는데 왜 그럴까요?

이집 상호가 전에는 <총체보리 한우>였습니다.
보리가 먼지떨이 총채와 비슷하게 생겨 총체보리인가 했더니,
보리 이삭을 포함한 보리 전체를 사료로 쓸 때 총체보리라고 한다는군요.
하여간 보리를 간식으로 먹어 그런지 질은 상당히 좋습니다.
석쇠 밑에 은박지에 싼 건 고구마입니다.
다 타버릴 것 같은데 고기를 다 먹을 때까지 은근히 익습니다.

그런데 왜 숯불구이를 고집하는 걸까요? 보기 좋아서?
숯불은 복사 방식으로 열을 전달하므로 온도가 올라가는 속도가 가스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고
숯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이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게 해주는데, 이때 고기의
단백질과 지방을 용해시켜 표면에 막이 형성되므로 수분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한답니다.
육즙이 고기 속에 갇혀있게 되면 당연히 고기 맛이 좋아지게 되겠지요.
그리고 제발 기름이 떨어져 생기는 그을음 묻혀 잡숫지 마세요.
가위로 잘라내더라도 건강에 안좋고 무엇보다 맛이 떨어집니다.

쌈장의 마늘 한 점 올려서...

옆에서 차돌박이를 먹어야 하겠답니다. 고기구이가 보편화 되지 않았을 무렵
차돌박이는 거의 깍두기나 나박김치 모양으로 두텁게 썰어 먹었습니다.
찌개에 푹 끓여 먹을 것이라면 그런 형태로 썰어 먹는 것도 식감이 좋습니다.
그러나 구이일 때 차돌박이의 지방은 단단해서 이렇게 얇게 써는 게 좋지요.
그런다고 지방이 어디로 가나요? 지방은 지방이지요.

김치찌개를 시켜 남은 차돌박이도 넣고 반찬으로 딸려오는 콩나물도 다 집어넣고

한 숟깔 떠서 밥에 올려 먹고

아예 찌개에 밥까지 집어넣어 꿀꿀이 죽을 만들어 곡기를 채우기도 하고

동문 월례모임이 곗날도 겸해서 공짜로 먹는 것 같지만,
그게 다 문어가 자기 다리 잘라 먹는 꼴이지요.
명절 연휴 잘 지내시길 빕니다.

닥다리 블로그
http://blog.daum.net/fotomani
첫댓글 자기 다리라도 있을 때 잘 먹어야겠지요?ㅎ
해피 추석!!!
네, 작은 일에도 즐겁게 보내시고요. ^^
자기 다리 잘라 먹으려고 바쁘게 살고 있습니다
연식 탓인지 우울해 지기도 하고 장하기도 하고 약간 복잡한 기분 입니다
ㅜ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