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형쌤 책에서 과학지식을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으로 구분하고선언적 지식을 다시 결과적 지식(사실,법칙,이론 등)과매개적 지식(의문, 가설, 검증방법 등) 으로 구분했어요문제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실험과정을 유인물로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실험을 하게 한 점을 구성주의에서 비판하라고 하면학생들의 실험을 설계하는 절차적 지식의 생성을 막았다고 해야 맞는건가요매개적 지식의 생성을 막았다고 해야하나요?
첫댓글 구성주의에서 학습자중심의 학습에서 본다면 실험과정제시는 매개적지식을 막아서 그다음 순서인 절차적지식으로 못넘어갔으니 먼저 막힌 선언적지식의 매개적지식이 아닐까요? 제생각입니당
답변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하나만 쓰라고는 안했어요ㅋ 절차적 지식이랑 매개지식이 헷갈려서 답 구성 때 어찌해야해서요
학습유인물이 있든 없든 실험을 함으로써 절차적 지식은 생성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매개적 지식의 생성을 막은 것입니다. 일종의 확인실험 처럼 절차를 다 제시하였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일이지요.
첫댓글 구성주의에서 학습자중심의 학습에서 본다면 실험과정제시는 매개적지식을 막아서 그다음 순서인 절차적지식으로 못넘어갔으니 먼저 막힌 선언적지식의 매개적지식이 아닐까요? 제생각입니당
답변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하나만 쓰라고는 안했어요ㅋ 절차적 지식이랑 매개지식이 헷갈려서 답 구성 때 어찌해야해서요
학습유인물이 있든 없든 실험을 함으로써 절차적 지식은 생성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매개적 지식의 생성을 막은 것입니다. 일종의 확인실험 처럼 절차를 다 제시하였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일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