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지양!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1.
p. 118에 등압습구온도랑 단열습구온도(위습구온도)나오는데요, 이 두개가 차이점이 무엇이라고 보면 될까요?
단열선도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은 등압습구온도는 아니구 위습구온도라는 차이점밖에 없나요?(<-이것도 맞게 이해한건지는 모르겠어요)
2. 가온도가 혼합비 x를 가지는 습윤 공기와 등압-등비적인 건조대기가 가져야할 가상적인 온도라고 합니다.
뽑아낸 수증기 체적만큼의 건조공기를 넣으면 기압은 같아지나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냥 온도보다 가온도가 높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가온도를 가지는 건조공기는 등압-등비적인 습윤공기보다 밀도는 더 크다라고 보면 되나요?ㅜㅜ
3. 그리고 굳이 가온도는 왜 쓰나요?
4. CCL(대류응결고도)와 LFC(자유대류고도)는 항상 같은가요?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1. 등압습구온도는 제가 잘모르겠습니다ㅠㅠ 그냥 습구온도는 단열선도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2,3. 가온도는 습윤공기를 건조공기로 가정하고 이해하기위해 사용합니다. 그 증거로 건조기체상수 Rd를 사용합니다. 위에 쓰신대로 분자량은 수증기보다 건조공기가 더 크기때문에 건조공기로 가정할 때 습윤공기랑 같게되기위해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게되고 이는 가온도 공식에 비습으로 더해지게됩니다.
4. 자유대류고도는 상승하는 공기덩어리가 강제가아닌 자기스스로 상승하기시작하는 고도입니다. 응결고도는 건조선과 혼합비선이 같은지점이고 자유대류고도는 환경선과 공기온도가 같아지는 지점이므로 같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덧붙이면
1번에서 그냥 습구온도와 상당온도의 차이점은 음 상대습도의 차이일거같아요
습구온도에서 상대습도는 백프로이고 상당온도에서 상대습도는 빵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