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통깨는 소리
산통깨는 소리
통상저렇게 살았나
깨끗한척
는적는적
소름돋는다
리해가 안되네.
*'산통을 깨다' 뜻, 뭔가 했더니..이런 유래가?
한국아이닷컴 이슈팀입력 2014. 2. 27. 16:57수정 2014. 2. 27. 16:57
'산통을 깨다' 뜻
우리는 흔히 분위기 좋게 일이 잘 돼 가는데 누군가 이를 그르치는 상황에서 "산통 깨지 마"라고 말한다. '산통을 깨다'라는 표현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
.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산통을 깨다' 뜻"이라는 제목으로 게시글이 올라왔다.
이 게시글에 따르면 '산통을 깨다'에서 '산통(算筒)'의 의미는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하나는 '산통점(算筒占)'에 쓰인 산통(算筒)이고, 다른 하나는 목돈을 모을 목적으로 조직한 '산통계(算筒契)'의 산통이다.
먼저 산통점은 산통을 이용해 치는 점으로, 여기서 산통은 '산가지를 넣는 통'을 가리킨다. 산가지를 넣은 산통을 대여섯 번 흔든 다음 산통을 거꾸로 들면 그 구멍으로 '산가지'가 나오며, 이 '산가지'의 괘로 점을 치게 된다.
다음으로 산통계의 산통은 계알을 넣고 곗돈을 탈 사람을 뽑는 통을 말한다.
과거에 계원들은 정해진 날에 일정한 곗돈을 모은 다음, 통 속에 계알을 넣고 흔들어 추첨을 했다고 전해진다. '계알'이란 계원의 이름과 번호를 적어 놓은 나무 알이며 추첨에서 뽑힌 계원에게는 많은 할증금이 돌아갔다고 한다.
그렇다면 '산통을 깨다'는 무슨 뜻일까.
산통점을 칠때 산가지를 뽑기 전에 산통을 깨는 것은 점을 치지 못하게 하는 행동이다. 즉 점을 치기 바로 전 단계에서 '산통을 깨는' 행동은 '잘되어 가던 일을 중간에서 망친다'는 의미인 것이다.
또한 산통계는 원칙적으로 계원이 모두 한 번씩 곗돈을 타야 끝나게 되어 있는데, 그 때까지 유지되지 못하고 중간에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는 최종 목적인 곗돈 타는 일이 무산되는 것이기 때문에 '산통 깨다'에 '어떤 일이 이뤄지지 못하게 뒤틀다'라는 의미가 생겨나게 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한편 '산통을 깨다' 뜻을 접한 네티즌들은 "산통을 깨다 뜻, 어원이 이랬구나", "산통을 깨다 뜻, 배경 설명이 재미있네", "산통을 깨다 뜻, 이런 해석이 있었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국아이닷컴 이슈팀 reporter@hankooki.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첫댓글 사용